떡밥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07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서버 점검 공지
|
개인정보 처리방침 개정 안내
ROX Tigers/2017 시즌
(r1 문단 편집)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 [[2017 LoL Champions Korea Summer]] == ||<-7><tablebordercolor=#000><bgcolor=#000><tablebgcolor=#fff,#1c1d1f><tablealign=center><tablewidth=750> '''{{{#ff9500 ROX Tigers}}}''' || ||<-7><nopad> [[파일:2017 LCK Summer ROX2.png|width=100%]] || ||<bgcolor=#000> '''{{{#ff9500 감독}}}''' ||<-6>[[강현종|강현종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0; font-size: .9em" {{{#ff9500 OnAir}}}}}}]]|| ||<bgcolor=#000> '''{{{#ff9500 코치}}}''' ||<-6>[[신혁(e스포츠)|신혁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0; font-size: .9em" {{{#ff9500 Gosu}}}}}}]]|| ||<-7><bgcolor=#c00707> '''{{{#ffffff 로스터}}}''' || ||<width=22%><bgcolor=#000000> [[파일:TOP_icon_ROX.png|width=25]][br]'''{{{#ff9500 TOP}}}''' ||<-3><width=39%>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허만흥|허만흥[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0; font-size: 1.0em" {{{#ff9500 Lindarang}}}}}}]] ||<-3><width=39%> [[파일:crwn.png|width=15]]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박상면(프로게이머)|박상면[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0; font-size: 1.0em" {{{#ff9500 Shy}}}}}}]] || ||<bgcolor=#000> [[파일:JGL_icon_ROX.png|width=25]][br]'''{{{#ff9500 JGL}}}''' ||<-3>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윤성환(프로게이머)|윤성환[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0; font-size: 1.0em" {{{#FF9500 Seonghwan}}}}}}]] ||<-3>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김민수(1995년 9월 6일)|김민수[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0; font-size: 1.0em" {{{#FF9500 Mightybear}}}}}}]] || ||<bgcolor=#000> [[파일:MID_icon_ROX.png|width=25]][br]'''{{{#ff9500 MID}}}''' ||<-3>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김태훈(1999년 7월)|김태훈[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0; font-size: 1.0em" {{{#FF9500 Lava}}}}}}]] ||<-3>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김선규(프로게이머)|김선규[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0; font-size: 1.0em" {{{#ff9500 Crow}}}}}}]] || ||<bgcolor=#000> [[파일:BOT_icon_ROX.png|width=25]][br]'''{{{#ff9500 BOT}}}''' ||<-3>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권상윤|권상윤[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0; font-size: 1.0em" {{{#FF9500 Sangyoon}}}}}}]] ||<-3> || ||<bgcolor=#000> [[파일:SUP_icon_ROX.png|width=25]][br]'''{{{#ff9500 SPT}}}''' ||<-3>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김한기|김한기[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0; font-size: 1.0em" {{{#FF9500 Key}}}}}}]] ||<-3> || 첫 경기인 6월1일 진에어전에서 린다랑, 성환 조합으로 출전하여 졸전끝에 0:2로 셧아웃 당했다.[* 린다랑이 발작을 일으키는 바람에 2세트에선 샤이로 교체됐다.] 6월 3일 삼성전은 같은 린다랑, 성환 조합으로 출전했다. 삼성의 운영에 끌려다니다가 23분경 삼성의 실수를 놓치지 않고 한타에서 크게 이겨 1세트를 가져갔으나 2, 3세트를 내리 내줘 2패를 적립하며 당일 기준 10위로 떨어졌다. 상승세를 타고있는 강팀 삼성에게 한방 먹이면서 '우리가 한타는 잘한다.'를 보여준게 희망이라면 희망. 팬덤의 종합적인 의견으로는 서머에 계속 주전으로 뛰고있는 린다랑이나 성환보다 샤이와 마이티베어때의 조합이 팀 운영 면에서 안정감을 주지 않냐는 이야기가 꽤 나오고 있다. 미키, 키의 경우 게임이 잘 풀릴때는 누구도 못 말릴 정도로 슈퍼 플레이를 밥먹듯이 하는 선수지만 그만큼 기복도 있는 편인데 이러한 점들은 샤이 - 마이티베어때는 이들의 안정감이 초반에 보완해준다는 점은 확실히 팀 플레이면에서 안정감을 실어주는데 린다랑 - 성환의 경우 여전히 팀 플레이적인 부분을 본다면 중구난방이 되기 때문. 덕분에 ROX의 팬덤뿐만 아니라 LCK를 보는 시청자들 사이에서도 린다랑 - 성환 조합에 대해서는 꽤나 회의적인 반응들이 많이 나오고 있다. 다만 ROX에서는 리그 초반이라는 점 때문인지 스프링에선 잘 선보이지 못했던 린다랑 - 마이티베어 같은 조합에 대해서도 실험적으로 등용하면서 변화를 추구하는 모습인지라 아직은 두고봐야할 부분도 있는 것 같다. bbq와의 멸망전 1승 이후 강현종 감독의 인터뷰에 의하면 샤이의 경미한 부상 상태에서 린다랑 - 마이티베어를 맞춰보지 못해 성환이 한동안 강제 출전했다고 한다. 하지만 이후 2연패 과정에서 린다랑 - 마이티베어 조합이 확립된 이후에도 운영적으로 삽질을 하면서 무너지고 있어서 여전히 시즌 전망은 어두운 상황이다. 다행인 것은 bbq, MVP, EEW 등이 골고루 못해서 강등권 탈출 싸움이 아직 끝나지 않았다는 점. 전체적으로 스프링 2라운드의 ROX가 운영을 비교적 잘했다고 하지만 초중반에 미키가 기동력 높고 초중반에 강한 챔프로 라인전을 이기고 이를 바탕으로 전 맵에 강한 압박을 넣으면서 운영적 가짓수의 우위를 가져다 주었기에 ROX가 편안하게 운영을 한 것이지 ROX의 운영이 절대적으로 준수했다고 보기는 어렵지 않냐는 비판적 의견도 제기되고 있다. 실제 미키가 좋아하는 챔프들 일부가 너프되자 남아있는 주챔프를 상대가 집중밴이나 저격 조합으로 견제를 하고, 미키가 한창 잘나갈때의 폼을 보여줄 수 없는 뚜벅이 메이지나 서포팅 챔프에 묶이면 ROX는 남은 더블 에이스 중 하나인 상윤만 바라보다 운영적으로 실점하고 던져서 지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신묘한 한타는 여전하나 그걸로는 LCK에서 강등전을 피할 수 있을 뿐 포스트시즌이나 롤드컵을 바라보기는 어렵다. 물론 마지막 희망인 샤이가 복귀한다면[* 사실 엄밀하게 따지면 스프링 2라운드에 린다랑이나 성환이 출전한 경기에서 소위 샤이티베어 조합보다 운영적으로 크게 나빠졌다고 보긴 어렵다. 그냥 린성환 둘의 종합적인 개인 기량이 부실했지.] 운영이 나아져서 2라운드에 반격을 할 가능성도 있고, 메타가 다시 돌아 미키가 플레이 메이커 역할을 다시 맡을 수 있다면 스프링 2라운드의 포스를 보여줄 가능성도 충분하나 이미 서머 1라운드에 너무 빠르게 패를 쌓고 있다. 게다가 경미한 부상이란 말과 달리 1라운드 다 지나도록 샤이가 출전하지 못한 걸 보면 부상이 꽤 심각하다고도 추측이 가능한 상황. 그와중에 폼이 떨어졌던 팀의 미드 미키가 6월 28일부로 계약이 종료되어 팀을 나왔다. 그리고 미키의 빈 자리에는 [[Rising Star Gaming]] 출신의 크로우와 완전 신인인 라바를 영입했다. 미키의 주사위가 1아니면 -인 상황에서 방출 자체는 당연한 수순이라고 생각하는 사람들도 있지만, 팀의 주전 선수를 내보내고 CK 출신과 완전 신인 선수를 시즌 중반에 데뷔시킨다는 것은 리스크가 너무 큰 결정이었기에 미키의 이탈에 대해서는 팬들 사이에서도 잡음이 많은 편이다. 2라운드 첫 경기였던 kt전에서 승리했다. 1세트는 린다랑이 혹시나 했는데 역시나 거하게 집어던지며 게임을 말아먹었지만, 2세트 샤이 - 성환 듀오가 교체 출전하면서 상윤 - 키 듀오의 캐리력이 폭발해 세트를 가져오더니, 3세트에선 드디어 성환이 엄크펀성블을 탈출하며 바텀 듀오의 하드 캐리를 잘 보조해줘 승리했다. 그렇게 미키와 결별하고 분위기를 바꾸는 것처럼 보였으나 아프리카, 진에어, 심지어는 EEW에까지도 패배하였다. MVP를 중간에 한 번 잡으며 중위권까지는 올라갔으나 포스트시즌 가능성은 거의 희박해졌고 자칫하면 승강전으로 몰릴 위기에도 처했다. 그래도 bbq를 잡아내며 승강전도 탈출하고 매치 연패도 끊는 등 조금이나마 유종의 미를 거두긴 했으니 다음 시즌을 노려야 할듯. 2라운드에 들어서 믿었던 샤이는 부상의 여파로 라인전이 약해졌음에도 불구하고 린다랑처럼 던지진 않아서 명백하게 훨씬 낫지만 그렇다고 팀을 캐리할 정도로 뛰어난 플레이를 보이지는 못 하고 있고, 마이티베어는 간만에 출전했으나 1렙에 버프몹을 뺏기는 고통을 겪긴 했지만 여전히 샤이와 비슷하게 성환보단 던지진 않지만 그렇다고 뛰어나지도 않은 폼을 보여줬다. 성환은 폼이 올라오나 했더니 진에어 전에서 엄티에게 압살당하는 등 여전히 기복이 있으며, 미드에선 크로우가 출전 기회를 못 잡고 있는 와중 고정 출전하는 라바가 쓰로잉과 미스 플레이를 남발하고 있다. 린다랑은 초가스로 최악의 플레이를 보여주며 잼다랑을 벗어나지 못하는 등 여전히 저코스트. 해설가 클템은 개인 방송에서 손목 부상에 나이까지 적지 않은 샤이가 오랜 친구 잭스를 꺼내는 것은 절박함에서 비롯된 것이라고 평가했다. 바텀은 후반을 위한 안전망이지 매번 플레이 메이커가 되기를 기대할 수 없고 미키가 떠난 지금 쉔 궁을 통한 변수 창출이 어려워졌기에 젊은 선수들과의 라인전이 버거움에도 불구하고 피지컬을 타는 챔피언을 어렵사리 꺼내게 된다는 것. 결국 기복이 심한 성환, 무장점의 린다랑, 단단하긴 한데 미묘한 샤이, 마이티베어, 행방불명의 크로우, 갓 데뷔한 신인다운 부족한 라인전, 솔랭식 판단을 보여주며 한계가 명확한 라바 덕분에 승강전팀 공식인 바텀만 믿고 가는 굉장히 애매한 팀이 되어버렸다. 상윤은 2017 서머의 가장 눈물나오는 영고라인이고, 서포터인 키의 경우 멘탈이 약한 점은 지적받고 있지만 뛰어난 슈퍼 플레이로 이니시면 이니시, 잘라먹기면 잘라먹기등 팀이 불리할때 해야할 플레이는 또 굉장히 잘해줘서 팬덤에서의 평가는 꽤 좋은 편인지라 상체의 안정성이 굉장히 시급하다. 샤이의 부상이 얼른 낫거나 린다랑이 샤이에게 얼른 운영 능력을 깨우치길 기대하고 덤으로 신인 미드 둘도 얼른 LCK에 적응해야 할 것이다.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또는
기타 라이선스 (문서에 명시된 경우)
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07)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107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