떡밥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07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서버 점검 공지
|
개인정보 처리방침 개정 안내
PDA
(r1 문단 편집)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 과거 === 요즘은 스마트폰을 쓰는 사람이 "전화, [[MP3]], [[동영상]] 시청, [[GPS]], [[디지털 카메라]], 스타일러스 메모, [[Microsoft Office]] 파일 열람, 이메일 열람, 이미지 편집, [[전자사전]], 텍스트 읽기, 음성 녹음, [[슈퍼 패미컴]](SFC) 및 [[게임보이 어드밴스]](GBA) 에뮬레이터, [[공학용 계산기]]를 할 수 있다"고 말하는 것은 당연하게 느껴진다. 하지만 삼성전자의 휴대폰을 통해 음성 인식으로 전화를 걸 수 있게 된 것은 불과 1997년이었고, 4년 후인 2001년 말에는 다양한 소리를 낼 수 있는 16화음이 등장했다. 2002년에는 컬러 화면이 등장하고 2003년에는 휴대폰에 카메라가 달리기 시작했다. 2004년에는 휴대폰으로 음악을 들을 수 있게 되었으나 '''DRM 걸린''' 파일에 한정되었고, 제조사 이어폰을 팔아 주기 위해 당시에도 일반적이었던 3.5mm 규격의 표준적인 이어폰을 쓰지 못하고 2.5mm 규격 제조사 자체 제작 이어폰만 써야 했다. 2009년 말에야 DRM 없이도 음악을 들을 수 있는 휴대폰이 출시되기 시작했고 그 전에는 MP3 플레이어를 써야 했다. Wi-Fi나 MP3는 훨씬 빨리 일반인에게 제공될 수 있었으나 [[데이터 요금제]] 같은 이동 통신사 수익을 위해 '''일부러 못 쓰게 막았다'''. 그 덕분에 한국의 이동 통신사들이 Windows Mobile을 탑재한 날고 기는 외산 스마트폰을 가능한 한 도입하려고 하지 않았다. 하지만 2009년 12월, 한국에 [[iPhone 3GS]]가 정식 출시되었다.[* [[iPhone 3GS]]는 그 당시로써는 세계 최고의 모바일 AP였던 [[삼성전자 허밍버드]](엑시노스 3110)에서 메모리만 잘라내고 사용한 데다가 과거의 [[심비안]]급의 최적화를 보여주면서 그야말로 놀라운 성능을 보여주었다. 당시로써도 [[HTC HD2]] 정도를 제외하면 대적이 불가했다.] 이후에도 [[구글]] [[Android|안드로이드]]가 시장의 반 이상을 잠식하기 전까지는 Windows Mobile 정도를 제외하면 그야말로 대적할 자가 없었다. 여하튼 이런 이유 때문에 PDA를 사용하는 계층은 '''일부 얼리 어답터''' 및 지식 정보 기술에 밝은 일류 기업의 회사원들뿐이었다. 당시 기술은 처참했다. 배터리 기술력이 엉망이었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요즘으로 치면 벽돌과 다름없는 무거운 기계를 들고 다녀야 했다. 기술력의 부족으로 비슷한 무게라 하더라도 배터리 용량이 절반 밖에 안 되었다. 그리고 아직 저전력 환경에서 제대로 작동하는 모바일용 프로세서와 소프트웨어 기술이 제대로 발달되지 않아서 2010년 이후에는 당연하다고 생각되는 기능을 구동하는 동안 전력 소모가 극심했다.[* 2000년대 초반 시기에 모바일 기기들의 프로세서는 SoC라는 개념이 없었다. PDA를 분해해 본 사람들은 알겠지만 메인보드 기판 위에 CPU RAM 사운드 디스플레이 I/O 입출력 칩셋이 전부 다 분리된 채 독자적으로 작동한다. 거기에 전화 기능이 내장된 PDA 모뎀 칩이 박혀있는 도터 보드 크기가 SD 카드만 했으며 메인보드 칩들의 구성은 흡사 초소형 PC 메인보드와 비슷했다.] 사전을 찾고 책을 읽는 정도라면 괜찮겠지만 [[Wi-Fi]]와 [[블루투스]], 동영상, 전화 같은 걸 쓰면 '''정말 배터리가 눈 녹듯 사라졌다.''' 과거의 PDA 유저들은 기본적으로 배터리 2개에, 건전지로 쓰는 간이 충전기에, 충전 케이블까지 두루두루 지참하고 다녀야 했다. 거기다가 Windows CE 4.0까지는 '''전원이 나가면 초기화된다!''' 그래서 주변 기기 장착을 위한 슬롯이 있는 경우에는 아예 그 공간에 배터리를 장착하는 개조를 하기도 했다. 구형 Palm OS 기기 같은 경우 한번 충전지를 교체해서 주 단위로 사용할 수 있었으나 이는 해당 PDA들이 무선 전화 및 인터넷 기능[* 있더라도 텍스트만 나오거나 이미지가 흑백으로 나왔다.(물론 설정에서 끌 수 있긴 했다.)]도 없었고, 단색 LCD에 저전력이었지만 느린 CPU를 사용했기 때문에 가능했다.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또는
기타 라이선스 (문서에 명시된 경우)
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07)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107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