떡밥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07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서버 점검 공지
|
개인정보 처리방침 개정 안내
PDA
(r1 문단 편집)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 초창기 === 그 이후 [[Microsoft]]가 1996년 후반 [[Windows CE]] 1.0을 개발하면서 1997년에 4MB 롬과 2MB 램을 갖춘 NEC Mobilepro 200, CASIO Cassiopeia A-10, HP 300LX 등의 [[핸드헬드 PC]]들이 나오기 시작했다. 그런데 정작 PDA라는 이름이 유명해진 것은 1996년에 출시된 [[팜#s-3.1]]의 PDA, 파일럿 1000이다. 회사에서 자신의 제품을 PDA라고 부르는 곳은 팜뿐이다. 때문에 지금도 PDA를 생각하면 이 용어를 처음 만든 Apple 따위는 기억의 막차에도 오르지 못하고 팜이 떠오르는 것은 이 이유이다. 팜의 초기 PDA들은 Windows CE 계열보다 기능이 훨씬 떨어지는(128KB 램을 주 저장소로 쓰며 [[모토로라 68000]]을 기반으로 한 저전력 프로세서인 모토로라 드래곤볼 프로세서 16MHz CPU를 사용하는 등) 하드웨어를 사용했지만 기기가 작아 휴대하기 편했고 배터리도 오래갔을 뿐 아니라, 인터페이스가 직관적이었고 간단했기 때문에 상업적으로 큰 성공을 거두었다. 당시 팜이 MP3 재생도 안 되고 겨우 [[전자책]]이나 보고 있을 때 윈도우 CE 계열은 놀랍게도 동영상까지 지원할 정도로 사양이 훨씬 뛰어났는데도 상술한 이유 때문에 팜에게 밀릴 수밖에 없었다. 또 1997~2002년에는 핸드헬드 PC, [[Windows Mobile|포켓 PC]] 등 서로 호환성이 없는 다양한 플랫폼이 출시되어 사용자를 환장하게 했던 점도 있었다.[* 사실 이건 포켓 PC 2002의 삽질이 매우 큰 역할을 했는데, 인텔의 새 모바일 CPU [[XScale]]를 포켓 PC 2002에서 사용하려면 오히려 [[StrongARM]]보다 더 나쁜 성능을 기록했다. 이 문제는 후속 운영 체제인 Windows Mobile 2003에서 해결되었다.] 게다가 백업 배터리 문제도 Windows CE 계열 사용자들을 좌불안석으로 떨게 했다. [[Windows Mobile]] 2003 세컨드 에디션이 나오기 전에는 백업 배터리까지 전부 방전되면 모든 데이터가 소실되는 문제점을 안고 있었다.[* 특히 일반 PDA가 아닌 전화 기능이 결합된 모델의 경우엔 끔찍한 문제가 된다. 저장된 모든 연락처와 문자 메시지가 사라진다고 생각해 보자.][* 이 문제에 대해선 나름대로 대비책은 있었는데, 저장된 전화번호는 PIMS에서 백업 파일을 생성해서 SD 카드에 저장 후 다시금 램에다가 불러들이면 된다. 문자 메시지도 PIMS를 이용해서 따로 백업해 두어야 한다.] 이 문제는 [[Palm OS]] 계열 PDA도 마찬가지였으나 m100 등을 제외하면 일반적으로 배터리 수명이 길어 어지간해서는 배터리를 완전히 잃기 전에 교체가 가능했고, 백업 배터리가 없는 기종은 내장 콘덴서로 배터리 교환 시간을 버틸 수 있었다. 이 배터리 방전 문제는 팜과 셀빅 시대 일반인이 PDA를 쓰기 어렵게 만드는 결정적인 단점이었다.[* 일례로 [[TOEIC]] 시험을 볼 때 배터리를 분리하고 시험을 보고 나면, PDA가 초기화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었다.] HP 조나다 등의 포켓 PC는 요즈음 쓰는 PDA로 진화하였으며, 삼성 이지프로, NEC 시그마리온 등의 핸드헬드 PC는 도태되었다. 윈도우 CE를 사용하는 삼성전자 [[NEXiO|넥시오]] 등의 모델도 도태되었다. 아직 중국 계열에는 저가형 넷북 대안으로 윈도우 CE 6.0을 사용한 비슷한 솔루션이 출시되고 있긴 하다. 이 외에 리눅스를 사용하는 요피나 자우루스, 자체 운영 체제를 사용하는 셀빅 등도 있었지만 모두 도태되었다.[* 요피와 셀빅은 자체적으로 한국어를 지원했다.] 이쪽은 리눅스를 쓰는 장점으로, 그리고 비교적 후기에 나와서 무선 랜과 프로그램 사용에 있어 비교적 자유로웠다. 특히 요피는 당시 기준으로 몇 년 전 리눅스 x86하고 비슷한 식으로 쓸 수 있었다.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또는
기타 라이선스 (문서에 명시된 경우)
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07)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107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