떡밥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07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서버 점검 공지
|
개인정보 처리방침 개정 안내
Mod Organizer
(r1 문단 편집)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 설명 == * [[http://www.nexusmods.com/skyrimspecialedition/mods/6194/?|다운로드(스카이림 스페셜 에디션 페이지)]] * [[https://discord.com/invite/ewUVAqyrQX|디스코드]] [[넥서스 모드 매니저|Nexus Mod Manager]](이하 NMM)를 통한 모드 설치와 기본적인 설치 방식은 게임 폴더 자체에 파일을 그대로 넣는다는 점에서 차이가 없다. 때문에 NMM은 기본 설치 방식의 단점[* 모드 간 덮어쓰기 문제]을 그대로 답습할 수 밖에 없었다.[* DATA 폴더 안에서도 개별 폴더로 독립되어 설치될 수 있도록 한 모드를 쓴다면 NMM도 문제가 없지만, 그렇지 않고 대체하거나 덮어씌우는 형식의 모드일 경우 문제가 생길 수 있다. 대표적인 문제가 스트링 형식의 한국어 패치 설치시 문제이다. 스트링 형식의 한국어 패치를 DATA 폴더에 압축을 푸는 형식으로 설치할 경우 이후에 게임이 업데이트되거나 다른 모드를 설치할 때 해당 스트링 파일들이 변경될 수 있다고 한다.][* 다만 요즘 나온 모드들은 모더들이 최대한 기존 경로와 겹치지 않게 조정해서 만들기 때문에 덮어쓰기 문제는 잘 발생하지 않는다. 물론 그런 모드 제작 기본을 무시하고 그냥 제멋대로 덮어씌우도록 만든 모드들도 있기 때문에 설치시 모드 설명을 잘 보고 파일 경로를 잘 확인한 뒤 설치하는 것이 중요하다.] Mod Organizer(이하 MO)는 이러한 기존의 모드 관리 프로그램들이 갖던 문제를 가상화 구동을 통해 우회하는 방법을 취하고 있다. MO로 설치한 모드는 게임 원본 파일들이 위치한 DATA 폴더가 아닌, MO 자체의 또 다른 DATA 폴더 내에서 다시 각각의 모드 별로 폴더가 분화되어 완전히 독립된 형태로 위치하게 된다. ini 파일[* 게임의 각종 내부 설정들이 텍스트로 저장된 파일이며 모드를 제대로 적용시키려거나 프레임 최적화를 위해서 반드시 수정을 거치게 된다.] 또한 MO 내부의 프로필 폴더에 따로 복사되어 원본을 대신하게 된다. 그래서 게임 폴더 내에 아무런 모드가 설치되지 않았기 때문에 언제나 처음 상태를 그대로 유지할 수가 있다. 이러한 기능 덕분에 모드 간의 간섭이 전혀 없어 설치와 삭제에 있어서 비교적 자유롭고 정렬도 쉬울 뿐 아니라 완벽한 백업을 가능하게 해준다. 모든 모드 설정을 그대로 백업[* 번거로울 것 없이 MO 폴더 통째로 다른 외장하드에 옮겨두고 나중에 복구할 때는 mods, profiles, overwrite 폴더 내용물만 빼오면 더 빨리 모드를 설치할 수 있다.]해 두고 나중에 다시 불러와 적용했 때 즉시 이전에 완성한 모드 정렬 순서 그대로 플레이할 수가 있다.[* 다만 원래 베데스다 게임 구성요소는 BSA 파일로 압축되어 있기 때문에 원본 파일 자체는 NMM이라도 삭제할 수 없다. 문제는 모드를 여러 개 설치했을 때 발생한다. 베데스다 게임은 BSA 압축 파일 안의 파일보다 압축이 해제되어 있는 폴더 안의 파일을 먼저 인식하도록 되어 있다. 이런 상태에서 개별 폴더를 지정해서 겹치지 않게 만들지 않은 모드나 별도로 BSA 파일로 압축한 모드 파일들이 DATA 폴더 안에 있을 경우 이를 덮어씌운 것으로 인식하여 문제가 발생하는데, 이런 모드 간의 덮어쓰기로 인한 간섭 및 삭제 시 훼손 문제가 와전되어 사람들이 NMM가 원본 파일을 제멋대로 건드린다고 착각하게 된 듯하다.] MO는 특히 정렬 순서를 맞춰주는 작업에서 빛을 발한다. MO 프로그램 왼쪽에 있는 설치된 모드 리스트에서 모드를 누른 채 드래그만 해주면 그 순서에 맞춰 파일을 불러온다. 예를 들어 한 모드를 아래로 드래그하면 설령 그 모드를 나중에 설치했더라도 우선권을 준다. 따라서 설치 순서가 잘못되어 문제가 생긴다면 그냥 드래그로 정렬을 바꿔주면 되고, 정 안되면 그냥 지워버리면 된다. 모드질을 시작했을 때 모드 설치, 삭제, 정렬 문제를 간과하는 사람들이 많지만 사실 이는 모딩시에 가장 먼저, 또 자주 직면하게 되는 현실적인 문제이다. 이렇게 모드의 설치, 삭제, 정렬, 백업에 제약이 없다는 점은 MO의 최대 장점으로 이 덕분에 모드 환경을 비교적 수월하게 조정할 수 있다.[* NMM도 가상화 방식을 부분적으로 지원하게 바뀌긴 했으나 이 가상화 방식은 DATA 폴더에 파일을 집어넣으며 모드 설치시에 따로 파일들을 백업해 두었다가 지울 때 이전 모드의 파일들을 다시 복구해주는 방식이라고 한다. 때문에 모드 오거나이저 2나 보텍스가 나온 2020년 이후에 굳이 NMM을 쓸 이유는 없어졌다.] 헤비 모더들 중에서는 관리면에서 완전 가상화 방식을 적용한 MO가 더 깔끔하고 편리하다고 여기는 사람이 많다. 예를 들어 dds나 nif 등의 개별 파일을 수정하거나 비활성화 해야 할 때, MO는 각 모드 별로 파일들을 별도 분리해서 관리하기 때문에 경로를 찾아 들어가 수정하거나 hidden파일로 처리하는게 좀 더 쉽다. MO로 모드를 많이 설치하면 게임 퍼포먼스에 영향을 준다고 생각하는 사람이 있는데, 사실 퍼포먼스나 로딩 속도에 영향을 주는 건 파일 용량이나 스크립트 충돌 여부가 더 크다. 자기 컴퓨터 ram이나 vram은 2기가도 안되면서, SKSE 메모리 패치나 Crash Fixes 같은 성능 개선 모드도 안깔고, 무턱대고 4K(4096×4096) 해상도 리텍 파일로 도배하거나, 클로킹 스크립트를 남발하는 모드를 마구 설치하면 당연히 퍼포먼스에 타격을 줄 수밖에 없다. 로어 프랜들리를 표방하는 모드라도 이렇게 무거운 모드가 있을 수 있기 때문에 모드 설명을 잘 살펴봐야 한다. 웬만하면 4K 해상도 풀 리텍은 gtx1080도 버벅이니 주인공 캐릭터 피부나 하늘같이 큰 파일들만 4K로 하고, 나머지는 2K, 1K, 512 해상도로 타협을 보는게 좋다. 스크립트를 많이 쓰는 모드는 모드 설명을 자세히 보고 모더가 호환 안된다 적어둔 모드는 설치하지 말아야 한다. 또한 모드를 설치한 뒤 새로운 세이브를 만들었다면 그 세이브 파일을 기점으로 새로 추가된 모드의 흔적이 남게 된다. 단순히 esp 파일, 텍스처, 매쉬로만 구성된 모드는 삭제하고 해당 세이브를 그대로 불러와도 별 문제가 없지만 스크립트를 사용하는 등 구조가 복잡한 모드는 문제를 야기할 가능성이 클 수 밖에 없다. 이렇게 세이브 파일에 스크립트 찌꺼기가 남는 문제는 Save Game Script Cleaner나 FallrimTools 같은 프로그램을 쓰지 않고는 해결하기 어렵다.[* 사실 이런 스크립트 정리 프로그램을 써도 해결세이브 파일을 살리지 못하는 경우도 많다.] 근본적으로는 이렇게 스크립트 찌꺼기가 생기지 않도록 모드 정렬 순서를 잘 맞춰주는게 중요하다. MO라고 모드의 근본적인 오류 문제까지 해결해 주지 않는다는 점을 명심하자. 스카이림 레전더리 에디션판용 모드 오거나이저는 지원이 끊긴 상태라서 넥서스 로그인과 nxmhandler, 즉 넥서스 모드에서 모드매니저로 다운로드 기능을 제공하지 못하는데, 최신 버전인 Mod Organizer 2에 메인 파일말고 기타 파일에 Mod Organizer 1 Legacy 버전 파일이 있다. 이것을 받으면 기존에 Mod Organizer 1이 제공하던 기능을 모두 활용할 수 있게 된다. MO2 출시 초창기에는 NMM에 비해 여러 개의 게임을 다루는데 취약한 것으로 알려져 있었다. 예를 들어 같은 드라이브에 스카이림과 폴아웃 4를 동시에 설치하는 경우 가끔 MO 설정이 엉망이 되는 경우가 있다고 알려져 있었다. 그리고 Script Extender나 FNIS 등의 외부 프로그램을 등록해서 쓸 때 최적화가 제대로 안되어 있을 경우 오류가 날 가능성이 있었다. 그리고 2015년부터는 MO 개발자 Tannin이 MO를 64비트 환경에 맞게 최적화시키는데 신경을 쓰지 않고 Vortex 개발에 매진하기 시작했다.([[https://www.youtube.com/watch?v=uKruFbr_nGc|#]]) 그래서 Mod Organizer 2 개발자는 Tannin이 아니라 다른 사람이 맡게 되었다. 이 때문에 64비트 기반 게임의 경우 호환성 문제가 있어 폴아웃 4나 스카이림 스페셜 에디션부터는 MO2보다는 NMM을 사용하는 것을 더 추천하는 사람도 있었으나 이건 완전히 옛날 이야기다. 2020년 이후 기준으로 보면 NMM은 완전히 사장되었으며, 차라리 보텍스를 쓰는걸 추천하는 상황이다. 2018년 이후부터 넥서스는 [[Vortex(NexusMods)|보텍스]]를 밀고 있다. 어느쪽도 장단점이 있지만 모드 오거나이저는 완벽 지원 게임이 베데스다 게임으로 한정되기 때문에, 모드 오거나이저가 지원하지 않는 게임은 보텍스 사용이 강제된다.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또는
기타 라이선스 (문서에 명시된 경우)
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07)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107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