떡밥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07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개인정보 처리방침 개정 안내
MP3 플레이어
(r1 문단 편집)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 [[iPod nano]] 이전(2001~2004년)과 이후(2005~2009년) === * 주요 배경 - [[iPod nano]] 전후로 [[플래시 메모리]] 가격이 급격하게 하락함.[* [[플래시 메모리]] 가격 추이는 [[드림어스컴퍼니#s-3.2|아이리버 몰락의 시작]], [[USB 드라이브]], [[microSD]] 문서 참고.] 애플의 아이팟이 큰 인기를 끌기 전인 2001~2004년, 한국 중소기업인 레인콤이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5&oid=031&aid=0000035584|세계시장의 상위권]]을 차지하고, 동시에 한국 점유율 1위에 세계 2위[* 2004년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1&oid=028&aid=0000039766|플래시 메모리형 MP3는 세계 시장 1위]]]이기도 했다. 초기에는 수많은 벤처기업들이 MP3 플레이어 사업에 뛰어들었으나 수년 간의 경쟁 끝에 레인콤이 시장을 장악했으며, [[코원]]을 제외한 대다수의 중소기업들이 사업을 접었다. [[파일:S1 MP3 플레이어.jpg|width=350]][* 흔했던 저가형 중국산 MP3 플레이어. S1 MP3 플레이어라 부르며 USB 드라이브처럼 [[아이팟 셔플|단자가 일체형]]이었다. [[https://www.youtube.com/watch?v=U0O-lCbDC6Y&t=2s|일부 대기업들이 판촉물로 쓰기도 했다.]]] 2004년까지는 단색 [[LCD]]에 [[건전지]]를 사용하는 제품을 썼다. 심지어 2004년까지도 MP3 플레이어의 비용이 지금처럼 만만치 않았으며, 저장 공간 또한 비싸 MP3 CD 플레이어도 인기가 많았다. 2002년 초에 512MB가 탑재된 모델, 2003년 초에 1GB가 탑재된 모델이 처음 등장했음[* 심지어 2003~4년까지는 기가바이트 단위로 출시된 모델도 매우 적었다. 해봐야 겨우 2~3 회사 정도,]에도 2004년에 가장 많이 팔린 모델은 512MB였는데 이런 작은 용량도 가격은 20만원 정도였거나 그 이상이었다. 때문에 기가바이트 모델의 판매량은 처참했다. 그러나 곧이어 애플이 2005년 [[아이팟 나노]]를 저렴한 가격에 내놓으면서 레인콤도 큰 타격을 입고 시장 점유율을 잃고 만다. 결국 [[Apple|애플]]>>>[[넘사벽]]>>>타업체가 되었으며 이내 디자인을 획기적으로 갱신한 [[삼성전자]]의 강력한 추격으로 인하여 아이리버는 세계 2위에서 한국 2위로 추락한다. 잠시나마 삼성전자, 아이리버와 함께 2강 1중의 구도를 구성하며 3위를 달리던 코원(당시 거원)도 MP3 플레이어 사업에서 PMP 사업으로 노선을 변경하면서, 사실상 한국의 MP3 플레이어 시장은 세계 1위 애플과 한국 1위 삼성전자의 독주 체제가 되었다. 아이팟 나노 출시의 영향으로 2006년부터 1GB 이상 용량의 MP3 플레이어가 팔려 나가기 시작했다. 이때부터 보급형 MP3 플레이어가 크게 늘고, 용량도 전보다 선택의 폭이 넓어지면서 MP3 CD 플레이어가 쇠퇴했다. HDD형 MP3 플레이어도 고용량 [[주크박스]]형으로 몇 년 더 살아남았으나 [[iPod classic|아이팟]]의 예를 보듯이 1.8인치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가 플래시 메모리에 밀려 쇠퇴했다. 게다가 컬러 화면에 사진을 넣을 수 있고 거기에 [[DMB]] 기능까지 탑재된 제품이 출시되면서 유행하기 시작한 덕분에 2006년에는 한국 MP3 플레이어 시장의 최전성기를 맞이했다. 2007년에는 MP3 플레이어에 카메라를 추가하고 큰 화면에 터치까지 할 수 있는 최신 기능이 들어가는 등 계속 발전을 했다. 또한 애플, 삼성전자 같은 대기업들의 강세로 MP3 플레이어 시장이 점점 고착화되기 시작했다.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또는
기타 라이선스 (문서에 명시된 경우)
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07)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107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