떡밥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07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서버 점검 공지
|
개인정보 처리방침 개정 안내
M리그/2021-22
(r1 문단 편집)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 정규 시즌 == ||<-3><table align=center> [[파일:M리그 로고.svg|width=150]] 2021-22 M리그 시즌 || || [[M리그#s-5.4.2|2021 정규 시즌]] || [[M리그/2021-22/세미파이널 시즌|2021 세미파이널 시즌]] || [[M리그/2021-22/파이널 시즌|2021 파이널 시즌]] || 2022년 1월 기준, 2021년 정규 시즌은 초반 EX 풍림화산의 독주태세였었지만 독주태세 쇠락 이후 점차 혼전에 가까운 양상이 되었다. 심지어 무라카미의 부진으로 큰 마이너스를 기록했던 아카사카 드리븐즈조차 마이너스를 크게 줄였던 순간이 있었을 정도. 다만 팀 라이덴의 부진은 특히 심각했으며 결국 마이너스 1천점대를 돌파하며 정규 시즌 탈락이 확정되었다. 이하는 2020 파이널 시즌의 결과 순서대로 나열한 2021 정규 시즌의 결과이다. 실시간 팀 포인트 순위를 보려면 [[https://twitter.com/m_league_|M리그 공식 Twitter 계정]], 혹은 [[https://twitter.com/m_league_jikkyo|M리그 실황 Twitter 계정]]을 참고하면 된다. * EX 풍림화산 *10~11월 - 1위 (+595.4) '''말 그대로 독주태세.''' 새로 들어온 마츠가세와 전 시즌 세미 파이널부터 대활약을 펼친 카츠마타가 엄청나게 승수를 쌓으면서 전반부터 둘이서 400포인트 이상을 벌어놓는데 성공. 그렇다고 루미아키도 약한 모습을 보이는 것이 전혀 아닌지라 팀 전원이 플러스를 유지하고 있다. 다만 현지에서도 루미가 플러스인건 [[하라무라 노도카|마작은 결국 운으로 결정되는 의미없는 게임]]이라는 의견이 꽤 많다.[* 플레이 실력에 비해 성적이 높다는 평을 받고 있다. 한 예로 24679만에서 5만 치를 46으로 받고 7만을 버리는 선택을 한 국이 있었는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해당 경기에서 2등을 했다.] *12월 - 2위 (+227.0) 마츠가세와 카츠마타가 12월 들어서 패를 적립하면서 얻어놨던 점수를 많이 깎아먹었고, 루미는 아예 토탈 포인트가 마이너스로 내려갔다. 그나마 아키는 2등만 2번해서 선방했고, 2달간 쌓아놓은 점수가 있어서 아직은 여유가 있지만 11월 이전의 독주태세는 확실하게 꺾인 상태. 결국 12월 23일 1시합에서 루미가 4위, 타키자와가 1위를 하면서 KONAMI 마작 파이트 클럽에게 1위를 넘겨주었다. *1월 - 2위 (+198.4) 여전히 부침이 심한 멤버들의 성적 및 U-NEXT의 약진이 있었으나 코나미쪽이 더 브레이크가 걸렸고 점수 관리는 잘 되어 있어서 여유는 아직 있다. *2~3월 - (+184.4) 3월 10일, 카츠마타가 1위를 기록함으로써 세가사미 피닉스를 미세하게 제쳤다. * KADOKAWA 사쿠라나이츠 *10~11월 - 3위 (+56.2) 지난 시즌에 부진했던 사와자키가 되살아나고 에이스인 호리 또한 잘 나가고 있다. 초반부에 신나게 죽을 쒔던 우치카와마저도 11월 19일에 2연승을 거두며 마이너스 포인트를 상당히 줄여놓은 상태. *12월 - 3위 (+127.9) 사와자키는 여전히 노회한 모습을 보여주며 잘해주고 있지만, 오카다는 여전히 유일하게 1승을 못 거두고 있어서 우려스러운 상황이다. 나머지 둘은 그럭저럭. *1월 - 4위 (+125.3) 오카다가 감격의 1승을 거둔것과는 별개로 사와자키가 맹활약 중이나, 점수차이는 별로 나지 않고 4위로 하락했다. *2~3월 - 6위 (+177.0) * 시부야 ABEMAS *10~11월 - 4위 (▲15.4) 무라카미의 부진에 묻혀서 그렇지 2년간 ABEMAS의 정신적 지주 역할을 맡아왔던 히나타 아이코의 부진도 의외로 심각하다. 그나마 다른 선수들은 그럭저럭 잘 해주고 있다는 점이 다행스러운 부분. *12월 - 5위 (+22.5) 부진하던 히나타가 노도의 7연장 러쉬로 드디어 1위를 달성, 마츠모토도 죽어라 2등하던 답보 상태에서 탈피, 12월에만 3승을 거두며 순위권으로 훌쩍 뛰었다. 그 동안 4위가 없던 시라토리 쇼가 12월 17일에 4위로 마감하여, 그를 마지막으로 전원이 1번 이상 4위를 기록하게 되었다. 팀의 에이스인 [[오오이 타카하루]]의 안정적인 행보도 인상적. *1월 - 3위 (+170.8) *2~3월 - (+328.2) 최종전에서 [[오오이 타카하루]]가 전 시즌 +200 기록을 세우는 것과 함께 정규 시즌 2위로 올라섰다. * 아카사카 드리븐즈 *10~11월 - 7위 (▲176.5) 여기도 소노다, 스즈키, 마루야마가 잘해주고 있지만, 무라카미 쥰이 지독한 불운[* 패산이 밀어서 방총, 리치 걸었는데 추격리치에 방총, 배패는 좋은데 계속 헛쯔모 등등 각종 불운에 불운이 겹쳐서 4연 토비라스라는 대기록을 달성했다. 과거 아사핀의 5연라스에도 비견할 만한 부진. 11월 9일 드디어 4연패를 끊는 승리를 거두었지만 그마저도 타카미야, 오카다, 토죠라는 각 팀 최약체들을 상대로 거둔 거고 다음 경기에서 또 4위.]에 시달리는 중. *12월 - 7위 (▲239.3) 그나마 12월 중에서 전체적으로 무난한 성적이다. 무라카미도 워낙 두달간 심각하게 무너져서 그렇지 12월 성적은 확연하게 나아진 모습이다. *1월 - 6위 (▲26.4) *2~3월 - (▲263.8) 결국 부진에서 완전히 탈출하지 못한 채 7위로 2021 시즌 탈락이 확정되었다. * KONAMI 마작 파이트 클럽 *10~11월 - 2위 (+300.0) 역시 신규 영입인 다테 아리사가 M리그 신기록을 깨버리는 공격력을 과시했고, 타키자와도 상당히 안정감 있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11월에 급격히 패를 적립하고 있는 히사토 빼고 전부 플러스를 거두며 그 풍림화산의 독주태세를 가파르게 위협하고 있는 중. *12월 - 1위 (+350.3) 풍림화산이 흔들리고 있는 것과 함께 다테, 타키자와의 호조로 드디어 1위로 올라섰다[* 믿기지 않겠지만, 이게 팀 창설 이래 '''첫 1위'''이다.]. 히사토도 부진에서 어느 정도 벗어나려는 모습을 보이는 중. *1월 - 5위 (+103.5) 1위를 한 것도 잠시, 히사토의 부진과 다테, 타키자와, 타카미야 또한 저조한 성적으로 어느새 아카사카와 6, 7위 경쟁까지 해야될 처지까지 내려왔다. 타카미야가 1월 후반부에 급성충수염에 걸려 결장이 불가피한 상황이다. *2~3월 - (+249.0) 정규시즌 마지막 시합에서 히사토의 분전을 통해 3위로 정규 시즌을 마무리했다. * TEAM RAIDEN *10~11월 - 8위 (▲543.5) 2021 시즌 첫 전원 1위를 한 건 좋았는데 그게 끝. 직후 첫 전원 4위를 찍고 털린 후로 단체로 부진하며 기어이 최하위로 내려갔다. 피닉스와 함께 4명 전원 마이너스였으며, 새로 영입한 혼다 토모히로도 부진을 면치 못하고 있다. *12월 - 8위 (▲587.0) 여전히 8팀 중 독보적으로 힘든 상황. 그나마 11월까지만 해도 전원 마이너스였던 피닉스마저 우오타니, 콘도가 플러스로 부활하면서 유일한 전원 마이너스 팀이 되었다. *1월 - 8위 (▲885.3) 이쯤되면 이제 세미파이널 진출이 아니라 팀 -1000 포인트 돌파가 가능할 지가 주목되는 팀이 되었다(...) 세토쿠마하고 쿠로사와가 마이너스로 들어서니 답이 없는 상황. *2~3월 - (▲1256.1) 2월 10일자로 마이너스 4자리를 찍은 건 둘째치고 이 후로도 계속 마이너스만 적립하며 사실상 탈락이 확정된 상태. 결국 정규시즌에서 마이너스 1200 이상을 기록하며 안 좋은 의미에서의 역사를 썼다. * U-NEXT Pirates *10~11월 - 6위 (▲113.3) 초반부터 코바야시 고가 최하위를 2번 찍고 이시바시는 부진, 아사쿠라는 10월엔 쾌진격하다가 11월에 주춤하는 모습을 보여주며 1위 1번, 2위 5번을 기록한 미즈하라가 최고 성적이다. 그나마 코바야시는 11월 들어서 살아나는 모양새. *12월 - 6위 (+6.5) 12월에 들어서 아사쿠라가 M리그 두번째의 10만점 이상 스코어를 내며 (최고 스코어 갱신은 실패) 다시금 박차를 가하고 있으며, 미즈하라도 선전중에 있다. 그러나 이시바시가 여전히 부진한 모습을 보여서 살짝 주춤한 상황. 12월 23일 2회전에서 코바야시가 1위를 차지하는 등 분전하며 플러스로 2021년을 끝냈다. *1월 - 1위 (+333.4) 12월이 코나미와 세가사미의 약진이었다면 1월은 해적들의 약진이라 봐도 될 정도로, 여전히 답보중인 이시바시를 제외한 3명이 우수한 성적을 남기며 급격히 선두로 올라섰다. *2~3월 - 1위 (+377.1) 레귤러 시즌 최종전에서 코바야시와 미즈하라가 좋은 결과를 남기며 시즌 1위를 기록했다. * 세가사미 피닉스 *10~11월 - 5위 (▲102.9) 별로 좋지 않았다. 신입 토죠 리오는 두번째로 등판한 시합에서 8만점 가까이나 되는 큰 점수로 1위를 차지하며 놀라운 실력을 선보였지만 그 이후로는 부진한 성적을 보여주고 있고, 나머지 3인도 비슷비슷. *12월 - 4위 (+92.1) 12월에 들어서 가장 팀 성적이 오른 팀이라 볼 수 있겠다. 우오타니가 12월 20일 오라스에서 희대의 대역전승을 거뒀고[* 당시 2위였던 스즈키 타로와 겨우 '''100점차'''였다.] 콘도와 토죠도 12월 들어 호조를 보이며 전망이 어둡지는 않은 편이다. 부진했을 때도 4위를 최대한 줄여 마이너스를 크게 만들지 않았던 것이 컸던 모양. 그리고 2021년 마지막 시합에서 60포인트 넘게 획득하며 4위로 순위 상승. 더불어, 8팀 중 유일하게 팀 전원이 4위를 하지 않았다! *1월 - 7위 (▲39.7) *2~3월 - (+184.2) 3월 10일에 팀 에이스인 [[우오타니 유미]]의 연투에도 불구하고 연속 라스를 기록하여 정규 시즌 5위가 되었다. 지난 3시즌과는 달리 2021 레귤러 시즌은 역만이 전혀 나오지 않았다[* 결국 세미파이널로 가서야 사사키 히사토에게서 오야 역만이 나오게 되었다.]. 역만 텐파이 자체는 여러번 나왔지만, 번번이 유국 내지 타가 화료로 인해 다 무산되었다. 또 하나 주목해 볼 것은, 두 자릿 수 1위를 차지한 선수가 나오지 않았다는 것으로, 9승을 달성한 선수가 꽤나 많이 나왔다.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또는
기타 라이선스 (문서에 명시된 경우)
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07)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107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