떡밥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07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개인정보 처리방침 개정 안내
L(Ice)
(r6 문단 편집)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 Hard ===== [youtube(VS8mkKk4oN0)] TP 100 영상. 플레이어는 Quit으로, 이 곡을 세계 최초로 TP 100 달성한 플레이어다. --중간에 자막 귀엽다-- [youtube(yH_PZYvXDlQ)] TP 100 캡쳐 영상. 플레이어는 ふ?. ||[[파일:B1.webp|width=100%]]||[[파일:B2.webp|width=100%]]|| ||[[파일:B3.webp|width=100%]]||[[파일:B4.webp|width=100%]]|| ||<-2> '''위 패턴들이 초반부다.'''[* 참고삼아 말하자면 이전의 노트들을 전부 쳤을 때를 기준으로 대략 100콤보~200콤보 구간에서 볼 수 있다. 그런데 이 곡의 노트 수는 1570개라는 걸 생각해보면(...) ] || * 분석 * 극초반에는 조용하게 시작했다가 드래그 노트를 크게 한 번 돌리고 나서부터 '''지옥의 시작'''. 개막 폭타부터가 16비트 단타 폭타+짧은 홀드노트라는 심히 [[막장]]스러운 구성이다. 그 후엔 한 손 드래그+한 손 연타, [[Biotonic|지그재그 동시치기]], [[Hay Fields|겹노트 폭타]] 등 오만가지 괴상한 단타 폭타가 등장해 플레이어의 멘탈을 잘게 다진다. * 그 다음이 압권인데, 한 손으로 홀드를 잡으며 '''[[In Memory of Maneo.|남은 한 손으로 단타+드래그를 처리해야 한다]]'''. 미친 듯이 나오는 클릭노트+짧은 드래그의 조합은 가히 이 곡의 상징과도 같은 패턴으로 처음 하는 사람들을 모두 멘붕하게 한다.[* 사실 이건 당시 추가된 신곡들 다수에 들어가 있는 패턴으로 난이도를 올리는 주범이었다. 이는 이후에 나오는 고난도 곡에도 많이 적용된다. 물론 이들은 L2B보단 규칙성을 가지고 있는 단슬이라 단슬의 난이도 자체는 규칙성이 결여되다시피한 L2B보단 낫다.] 더구나 중간에는 슬쩍 24비트 초고속 [[트릴]]을 끼워넣어 삑사리를 유도한다. 이런 정신나간 노트배치가 30초가 넘도록 계속된다. * 다음 패턴은 왼손으로 홀드노트를 길게 잡으며 오른손으로는 12비트 연타를 쳐내야 한다. 왼손잡이이거나 연타력이 좋지 않다면 이 또한 통곡의 패턴.[* L2A의 포도밭 연타와 속도가 '''정확하게''' 똑같다. 다만 이동거리가 있어 L2A의 포도밭쪽이 상위패턴 취급.] 후반부에 접어들어서는 이전과 비교하여 다소 잠잠해졌다가, 마지막에는 양 손 드래그에 이은 '''16비트 양손 13연타'''라는 최후의 발악 패턴으로 대미를 장식한다. [* [[Entrance#s-2.2.2]]의 폭타보다 더 빠르다. 0.1초도 되지 않는 짧은 간격의(약 0.09초) 폭타를 쳐야된다!] * 평가 및 공략 * Cytus 역사상 9.x 업뎃 이전의 '''최강 난이도의 곡'''이었으며, 당시 유저들에게 큰 화제가 되며 엄청난 충격을 안겨준 채보이다. 그야말로 '''기존에 있던 모든 곡들의 악랄하다는 하드모드 패턴을 싸그리 다 모아 강화하여 섞어 낸 [[Cytus]] 최악의 곡.''' 굳이 MM을 달성하고 싶다면 유튜브에서 검색을 하여 밀리언 마스터 영상을 보고 손배치를 참고하자. 또한 중간에 함정 노트가 여러 군데 있기 때문에 검색을 하여 알아보는 것이 좋다. Hard 레벨의 경우 단타, 드래그 노트를 일일이 치려하지 말고 단타를 누르고 바로 그다음에 나오는 드래그 노트를 이어가는 게 좋다.[* TP작을 노리는 게 아닐 시, 손가락 10개를 모두 이용해서 통째로 뭉개버리자. 그러면 드래그노트를 포함해서 클릭노트 Good 판정까지도 챙길 수 있다. 위키에서는 새끼손가락(!)까지도 쓰라고 했다.] 가장 중요한 것은 이런 종류의 [[폭타]] 계열이 그렇듯이 '''손에 과도한 힘을 주지말자'''. 손에 과도한 힘을 줄 경우 연타 구간이 매우 힘들어지고, 체력이 부족하게 되므로, 플레이하기에 좋지 않은 방법이다. 리듬게임 탑스코어러, 이 곡을 전 세계 세 번째로 TP 100 달성한 DLight가 작성한 공략이 있다. 상당히 자세해서 밀마나 TP 100을 노리는 사람은 읽어볼만 하다. [[http://blog.naver.com/wnsdnblue/220485725974|L2 Ver. B 공략]]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또는
기타 라이선스 (문서에 명시된 경우)
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07)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107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