떡밥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07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서버 점검 공지
|
개인정보 처리방침 개정 안내
KIA 타이거즈
(r2 문단 편집)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 역대 은퇴식 == [include(틀:KIA 타이거즈 역대 은퇴식)] ||<-4><tablewidth=700px><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ea0029><bgcolor=#ea0029> {{{#ffffff '''KIA 타이거즈 역대 은퇴식'''}}} || ||<width=120px><rowbgcolor=#06141f> {{{#ffffff 이름}}} ||<width=360px> {{{#ffffff 활약 기간[* 현역으로 타이거즈에서 뛰었던 연도만 기록했다.]}}} ||<width=240px> {{{#ffffff 날짜}}} ||<width=160px> {{{#ffffff 비고}}} || || [[김성한]] || 1982~1995 || [[1995년]] [[9월 24일]] || [[https://youtu.be/jYxScjAd6hA|광주 MBC 영상]][* 유일하게 [[해태 타이거즈|해태]]에서 치러 준 은퇴식이자 타이거즈 역사상 첫 번째로 은퇴 경기로 선수 생활을 마감했다. [[대타]]로 출장하여 1타수 무안타.] || || [[이강철]] || 1989~1999 [br] 2001~2005 || [[2006년]] [[4월 12일]][* 원래 4월 11일에 진행하려 했으나 우천취소로 하루 미뤄졌다.] || [[https://youtu.be/gVejemt3WcA|광주MBC 영상]][* KIA 인수 이후 처음 개최한 은퇴식이다. 경기는 접전 끝에 4: 4 무승부로 끝났다.] || || [[김종국(야구인)|김종국]] || 1996~2010 || [[2010년]] [[9월 15일]] || [[https://youtu.be/o9V8nC3L1SQ|영상]][* [[서재응]]의 7이닝 1실점 호투와 [[신종길]]의 4안타에 힘입어 5: 6으로 승리하며 은퇴식을 빛냈다.] || || [[이종범]] || 1993~1997 [br] 2001~2011 || [[2012년]] [[5월 26일]] || [[https://youtu.be/1BcQFWT9UCU|영상]][* 구단 최초 은퇴식과 영구 결번식을 동시에 진행했다. [[선동열]]의 경우에는 [[주니치 드래곤즈]]로 이적하자마자 영구 결번자가 됐다. 은퇴식 날인 [[LG 트윈스|LG]]전에서 KIA 선수들이 전부 이종범 배번인 7번을 입고 뛰었다. 결과는 5:6으로 극적인 승리를 따내며 은퇴식을 빛냈다.] || || [[유동훈]] || 1999~2014 ||<|2> [[2015년]] [[6월 13일]] ||<|2> [[https://youtu.be/LUsk6SOgews|구단 영상]][* 구단 최초 합동 은퇴식. 은퇴식에서 [[기아 K5]] 앞좌석 창문을 열어놓고, 유동훈이 그 사이로 공을 던지고 공이 그 사이로 빠져나와 김상훈이 포구를 하는 퍼포먼스를 선보였다. [[https://youtu.be/vdhWVOJWPow|보기]] 그날 경기 결과는 4: 7로 승리하며 은퇴식을 빛냈다.] || || [[김상훈(1977)|김상훈]] || 2000~2014 || || [[최희섭]] || 2007~2015 ||<|2> [[2016년]] [[5월 15일]] ||<|2> [[https://youtu.be/cVEFHsrxQBY|구단 영상]][* 구단 두 번째 합동 은퇴식. [[2009 CJ 마구마구 프로야구 한국시리즈|2009년 한국시리즈]] 우승 당시 입었던 홈 유니폼을 재현한 2009 챔피언스 저지를 입고 투수들은 서재응의 등번호 26번, 타자들은 최희섭의 등번호 23번을 달고 뛰었다. 경기는 7: 8로 극적인 승리를 따내며 은퇴식을 빛냈다.] || || [[서재응]] || 2008~2015 || || [[이범호]] || 2011~2019 || [[2019년]] [[7월 13일]] || [[https://youtu.be/wfHyDWukIxo|구단 영상]][* 전 소속 구단인 [[한화 이글스]]와의 경기에서 은퇴식을 하길 원해 2019 시즌 전반기 주말 한화전으로 정했다. 은퇴식과 은퇴 경기 및 개인 통산 2,001경기 출장을 같이 진행했다. 6번 타자 3루수로 선발 출장했으며 현역 마지막 타석은 2사 만루에서 좌익수 뜬공으로 경력을 마감했다. 은퇴식과 은퇴 경기가 동시에 열린 사례는 팀 역사로 보자면 김성한에 이은 두 번째 사례.] || || [[윤석민]] || 2005~2013 [br] 2015~2019 || [[2021년]] [[5월 30일]] || [[https://youtu.be/4uDYhrRdiig|구단 영상]] || || [[나주환]] || 2020~2021 || [[2021년]] [[10월 29일]] || [[https://youtu.be/YlIBEB8VOVE|구단 영상]][* 역대 팀 은퇴식 선수들 명단을 보면 나주환이 타이거즈에서 쌓은 공로는 미미하다고 볼 수 있다. 어찌 됐던 팀 내에서 보기 드문 은퇴식이었다.] || || [[나지완]] || 2008~2022 || [[2022년]] [[10월 7일]] || [[https://youtu.be/l9YCGA8Ytao|구단 영상]] || * 프로 야구 초창기에는 은퇴식이라는 문화가 없어서 초창기부터 1990년대 초반까지 선수 생활을 마감한 [[김봉연]], [[김준환]], [[김종모]] 등 타 구단으로 트레이드되지 않고 해태에서 현역 생활을 마무리한 레전드 선수도 은퇴식을 하지 못하고 바로 [[플레잉 코치]]를 해야 했다.[* 더욱이 [[김응용]] 감독의 특성상 선수의 가치가 떨어졌다 싶으면 바로 [[트레이드]]를 해서 타 구단으로 보내 버렸다. 구단에 돈이 없어서 트레이드로 보낸 경우도 많아서 타이거즈에서 은퇴를 한 레전드를 보기 힘들다.]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또는
기타 라이선스 (문서에 명시된 경우)
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07)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107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