떡밥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07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서버 점검 공지
|
개인정보 처리방침 개정 안내
KIA 타이거즈/등번호
(r1 문단 편집)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 37 === 90년대 초반까진 코칭스태프가 쓰다가[* 김봉연, 정현발 코치가 37번을 달았었다.] 이후 '''[[임창용]]'''이 달게된 번호[* 신인시절한정 57번]로서 임창용은 이번호로 '''창용불패'''의 신화를 쓰다가 돈 없는 구단 탓에 [[삼성 라이온즈]]로 팔려간다. 이후 [[곽채진]]과 [[신동주(야구)|신동주]]가 이 번호를 달았다. 신동주는 2000년대부터 야구를 보기 시작한 팬이라면 그저 그런 타자로 인식할 수 있으나 90년대 후반에는 대단한 타자였다. 어느 정도 였나면, 20-20을 하면서 외야수비도 평균이상이었기에 여러모로 가치가 높은 호타준족 외야수였다. 임창용은 삼성 이적 후 등번호를 39번을 달아야했는데, 이는 이미 신동주가 달고 있었기 때문, 결국 신동주가 기아로 이적한 2002년부터 37번으로 등번호를 교체한다. [* 그러나 임창용의 애니콜 이미지는 39번이 여러모로 강하다.][* 신동주가 마해영의 보상선수가 되어 삼성으로 이적한 후에는 임창용이 37번을 달고 있어서 40번을 달아야했다.] [[임창용]]이 18년만에 타이거즈로 돌아온 뒤에도 37번이 아닌 육성선수 번호인 '''037'''을 거쳐서 일본 [[야쿠르트 스왈로즈]] 시절의 번호인 12번을 쓰게 되었다. 임창용이 12번을 달면서 임창용의 상징과도 같았던 37번은 [[배힘찬]]이 달고 본래 37번을 달던 [[신창호]]는 44번으로 달았으나, 2016 시즌 후 방출되었다. 이후 [[이우성]], [[션 놀린|놀린]] 등을 거쳐 2023년에는 신인 [[김세일]]에게 번호가 돌아갔으나 김세일이 시즌 중 군에 입대하면서 결번이 되었다. 2024시즌부터는 [[박민]]이 달고 있다. [[양현종]]이 고등학교를 졸업하고 타이거즈에 입단한 뒤 2년간 달았던 번호가 이 번호였다.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또는
기타 라이선스 (문서에 명시된 경우)
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07)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107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