떡밥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07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서버 점검 공지
|
개인정보 처리방침 개정 안내
KIA 타이거즈/기록 및 인물
(r1 문단 편집)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 역대 사장(대표이사) === [include(틀:KIA 타이거즈 사장)] ---- ||<-3><tablewidth=500px><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ea0029><bgcolor=#ea0029> {{{#ffffff '''KIA 타이거즈 역대 사장'''}}} || ||<rowbgcolor=#06141f> {{{#ffffff 순서}}} || {{{#ffffff 이름}}} || {{{#ffffff 기간}}} || || 초대 || [[박건배]] || 1982~1983[* 구단주 겸 사장. 1983 시즌이 끝나고서 해태그룹 명예회장 및 구단주로 한 발 물러섰다.] || || 2대 || [[강남형]] || 1984~1991 || || 3대 || [[노주관]] || 1992~1995[* [[선동열]] 일본 진출 관련 협상으로 모기업과 마찰 후 [[이상국]] 단장과 같이 경질되었다.] || || 4대 || [[마의웅]] || 1996~1998[* 대표이사 1996년 취임, 사장 취임은 1997년 취임.] || || 5대 || [[정기주]] || 1999~2001 || || 6대 || [[김익환(1950)|김익환]] || 2001~2005 || || 7대 || [[조남홍]][* 1977년 [[현대정공]] 입사, 기아자동차 화성공장장(부사장) 역임] || 2006~2008 || || 8대 || [[서영종]][* 1977년 [[현대정공]] 입사, 현대모비스 부사장, 현대파워텍 부사장 역임] || 2009~2010 || || 9대 || [[이삼웅]][* [[육군사관학교]]를 졸업하고 [[육군특수전사령부]] 장교로 복무 후 소령 전역, 1985년 [[현대자동차]]에 입사했다. 노무, 생산, 마케팅 부서를 거쳤다.] || 2011~2014 || || 10대 || [[박한우]][* 1982년 현대자동차서비스 입사 후 현대자동차로 옮겨 현대차 인도법인장, 기아차 재경본부장을 역임했다.] || 2015~2017 || || 11대 || [[허영택]] || 2018 || || 12대 || [[이화원(기업인)|이화원]][* 1988년 [[기아자동차]] 입사, 현대기아차그룹 홍보실과 [[기획조정실]]에서 근무했다.] || 2019~2021 || || 13대 || [[최준영(기업인)|최준영]][* 1990년 [[현대자동차]] 입사, 2022년 기준 [[기아]] 대표이사 부사장 겸 경영지원본부장] || 2021~ || 1982년 창단 이후 [[박건배]] 구단주가 사장까지 겸임을 했으나 이후 [[강남형]] 사장에게 사장직을 물려주며 구단주로 한 발 물러선다. 강남형 사장[* 2009년 별세.]이 부회장으로 승진하고 동시에 [[노주관]] 단장[* 2018년 별세.]을 구단 대표이사로 내부 승진시켰다. 일을 잘한다는 평가를 받았으나 1995 시즌이 끝난 후 [[선동열]]의 일본 이적 협상을 문제삼아 경질햤다. [[노주관]] 사장 후임으로 들어온 [[마의웅]] 사장은 해태그룹 기획조정실 부사장 출신으로 단장직 없이 1996 시즌을 보내고 1997 시즌부터 사장 - 단장 체제로 다시 환원되는 일을 겪었으며 2번의 우승을 거뒀다. 전반적으로 무난무난하다는 평가였다. [[정기주]] 사장은 해태 원년부터 단장 및 팀 내 여러 보직을 거치며 고생하면서 두 번의 우승을 경험했다. 이후 모기업으로 이동하여 일했고 1998년부터 [[해태그룹]] 구조조정본부장을 맡다가 타이거즈 사장으로 복귀했다. [[1997년 외환 위기]] 이후 무너져 가는 해태 타이거즈를 어떻게 손 쓸 도리도 없이 구단이 무너져 가야하는 걸 지켜봐야 했다. 2001 시즌 중반 [[기아자동차]]의 타이거즈 인수가 확정되자 인수를 며칠 앞두고 자진 사임했다. [[정기주]] 사장이 모기업이 바뀌면서 용퇴하고 [[현대그룹]] 출신[* 1977년 [[한라건설]]에 입사해 현대그룹과 연을 맺었다. 이어 1986년 [[현대정공]]으로 자리를 옮겼다. 이어 [[두산건설|고려산업개발]], [[현대산업개발]] 사업개발·홍보담당 이사 및 상무를 맡다가 2000년에 기아자동차로 자리를 옮겼다.] [[김익환(1950)|김익환]] [[부산 기아 엔터프라이즈]] 단장 겸 현대기아자동차그룹 홍보실장(상무이사)이 새 대표이사로 취임했다. 김익환 대표는 야구단 인수를 총괄했고 협상을 했다. 대표이사 선임과 함께 전무이사로 승진했고 홍보실장을 겸임했다. 이후 2003년에 부사장, 2005년에 사장 승진 및 국내영업판매본부장을 겸임하게 됐지만 KIA 타이거즈 대표이사직은 그대로 유지했다. 그러나 그룹 인사에서 김익환 사장을 1년 만에 경질했고[* 이후 2006년에 현대기아자동차그룹 인재개발원장으로 복귀했고 2007년 10월에는 부회장으로 승진했다. 이후 2008년 12월을 끝으로 용퇴했다.] [[조남홍]] 사장이 새롭게 취임했다. 이 시기의 구단 대표는 전무이사 내지 사장급이었다. [[김익환(1950)|김익환]] 구단 대표이사가 기아자동차 사장을 겸임하기 시작한 2005년부터 허영택 구단 대표이사가 취임하는 2018년까지, [[조남홍]], [[서영종]], [[이삼웅]], [[박한우]] 사장 시기에는 [[현대자동차그룹 스포츠단]]과 비슷하게 [[기아자동차]] 국내 판매부문 사장이 KIA 타이거즈의 사장도 겸했다. 같은 산하 스포츠 구단인 [[전북 현대 모터스]]도 [[현대자동차]] 국내 판매부문 사장이 구단 대표이사도 겸하고, 나머지 [[현대자동차그룹]] [[현대자동차그룹 스포츠단|산하의 구단]]은 계열사 CEO가 구단주를 맡고 있다. 하지만 회사 업무만으로도 업무량이 막중한 회사 대표이사 입장에서 회사 산하 스포츠구단의 운영에 간섭할 여력이 되지 않는다는 문제가 있다. 이 때문에 [[프로야구 제10구단 관련 논란]]과 관련해서 이사회에 2번 연속으로 KIA 사장이 불참한 것을 놓고 억측기사가 나오기도 했는데, 사실 [[KBO 윈터미팅]] 등 오래 전부터 KBO 이사회 관련해서는 [[한화 이글스]] 사장에게 결정권을 위임한 상태였다. 따라서 한화 이글스 구단의 의견 곧 KIA 타이거즈의 의견인 셈이었다. 그러다가 현대자동차그룹 스포츠단의 효율성 제고를 위해 전임 구단 대표이사를 두는 것으로 변경해 KIA 구단의 의견을 적극 반영할 것으로 보인다. 즉 전임 대표이사로서는 초대. 그 첫 타자는 바로 3대 단장이었던 [[허영택]]이다. 그리고 공석이 된 단장에 [[조계현]] 전 수석 코치를 내정했다. 이후 2018 시즌에는 허영택 단장이 전무에서 부사장으로 승진함과 동시에 구단의 대표이사를 맡아 지휘했다. 하지만 임명한 지 1년 정도가 지난 2019년 3월 말, 그룹 인사에 따라 허영택 대표가 물러나고 신임 대표이사인 [[이화원]] 전무이사가 부사장 승진과 함께 임명되었다. 그러나 이 시기의 성적은 신통치가 않았다. 2021년 11월, [[맷 윌리엄스]] 감독 퇴진과 동시에 이화원 사장, [[조계현]] 단장이 동반 퇴진했다. 그룹에서는 후임으로 [[최준영(기업인)|최준영]] 기아 부사장을 내정했다. 사실상 전임대표이사제를 폐지하고 모기업인 기아의 등기 임원이 구단 대표이사를 겸임하는 구조이며 그룹 내에서의 대우는 부사장이다.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또는
기타 라이선스 (문서에 명시된 경우)
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07)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107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