떡밥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07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개인정보 처리방침 개정 안내
I'M ALIVE
(r1 문단 편집)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 4B TUNES === || {{{#white NM}}} || {{{#white HD}}} || ||<rowbgcolor=#d968d8><table bordercolor=#d968d8><table bgcolor=#ffcc00><nopad> [youtube(LJ0hoyvMj2g)] ||<nopad> [youtube(zKgEwFR08Og)] || || {{{#white MX}}} || {{{#white '''SC'''}}} || ||<rowbgcolor=#d968d8><nopad> [youtube(guRT28diUF8)] ||<nopad> [youtube(HTdrBftq_EI)] || 4B SC는 상술했던 대로 32비트 드르륵 계단으로 퍼펙트 난이도를 높였다. 극초반 등장하는 드르륵 파트의 경우 1234 이후 바로 3번 롱노트를 잡아야하는 데다가, 최후반의 12-43 고속 트릴 역시 까다롭기 때문에 주의가 필요한 패턴. 드르륵 구간들 때문에 묻힌 감이 있지만 최후반 마무리 구간의 밀도 높은 폭타 역시 상당히 까다로운 구간이다. 단순히 정계단/역계단만 등장한다면 미러 이펙터 사용으로 각자 유리한 배치를 뽑아 넘길 수 있는 패턴이지만 정계단이 4차례, 역계단이 2차례로 각각 번갈아 등장하기 때문에 미러 이펙터로 넘기기에도 변변치 않으며, 170BPM의 32비트 계단인지라 하프 랜덤 및 랜덤 이펙터 사용 역시 까다롭다.[* 14-23 형식의 폭타로 넘길 수 있다고 생각하겠지만 빠르기 때문에 제대로 처리하기가 쉽지 않다.] 이때문에 역계단을 잘 처리하지 못하는 유저들 입장에선 상당히 골 아파질 수 있는 패턴이다. 만약 퍼펙트 플레이를 노리고 있는데 역계단을 죽어도 못 치겠다면 이론상으로는 43-21 동시치기로 뭉개도 얼추 100%로 넘어가지기는 한다만, 성공 난이도가 쉽지는 않으므로 43을 빠르게 처리한 이후 21을 동시치기로 처리하거나 하는 편이 더 나을 수 있으니 참조하자. [[Angelic layer#s-3.2.4|드르륵 구간들을 제외한 나머지 패턴들(특히 초~중반)의 배치가 단조롭고, 오직 드르륵만으로 난이도를 높였다는 이유로 퀄리티에 대해 일부 왈가왈부가 오갔던 패턴이다]].[* 다만 아쉬움이 있다는 평이지 [[Ruti'n#s-2|Ruti'n (GOTH Wild Electro Remix)]] 4B SC나 [[KICK IT]] 8B SC의 사례처럼 유저 전반적으로 납득이 힘든 수준의 패턴은 아니므로 단순 왈가왈부 수준에서 그쳤다. 일반적으로 디제이맥스가 '''퍼펙트 플레이'''를 목표로 하는 게임이기 때문에 더더욱 이러한 양상의 패턴이 유저들에게 예민하게 여겨지는 경향이 있다.] 상술한 대로 뭉개기가 가능하기에 전반적으로 99% 및 맥스 콤보 기준으로 보았을 때는 불렙 선까지는 아니더라도, 모든 요소들을 종합적으로 보았을 때는 반박의 여지 없는 12레벨급의 [[불렙곡|불렙]]으로 여겨진다는 의견이 중론.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또는
기타 라이선스 (문서에 명시된 경우)
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07)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107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