떡밥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07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서버 점검 공지
|
개인정보 처리방침 개정 안내
Grand Theft Auto V/이동 수단
(r3 문단 편집)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 비현실적인 휠스핀과 초반 가속 === 세단부터 슈퍼카에 이르기까지 존재하는 휠스핀. 출력이 낮은 전륜구동 소형 세단도 현실과 다르게 휠스핀이 일어난다. 이 부분은 PC 유저에게 큰 문제인데, 콘솔은 패드의 아날로그 트리거를 이용해 휠스핀을 억제할 수 있지만 W키를 누르면 항상 풀악셀[* 이는 가속 뿐만 아니라 A,D키를 이용한 방향 전환에도 똑같이 적용되며, 비행기나 헬리콥터를 조종할 때도 예외가 아니다.]이 되는 PC는 밟는 족족 휠스핀이 터진다. 이 문제에서 가장 큰 피해자가 바로 [[라이칸 하이퍼스포트|리퍼]], [[람보르기니 가야르도|바카]], [[셸비 코브라|맘바]]. 고출력 슈퍼카가 우천 시, 혹은[* 크리스마스 시즌에만 볼 수 있는] '''눈이 내린 상태에서''' 언덕진 경사에서 정차하면 힘겹게 휠스핀을 일으키고서야 올라간다. 현실의 길거리에서 일반적으로 볼 수 있는 가솔린 차량들은 아무리 세게 악셀을 밟아도 바퀴 한번 헛돌리기 힘들다. 토크가 낮을수록 휠스핀을 해보기 힘든데, GTA 5에서는 가장 저렴한 소형 세단 중 하나인 [[쉐보레 아베오|아세아]]도 슈퍼카에 버금가는 휠스핀을 내니 비판받는 것이다.[* 반대로 마력은 낮아도 토크가 높으면 휠스핀이 비교적 쉽다. 쉬운 예로 마력이 136마력밖에 되지 않지만 토크가 30.6kg/m인 아반떼 디젤도 스톨회전을 사용하면 쉽게 휠스핀을 일으킬 수 있다. 물론 GTA 5 차량처럼 흰 연기를 일으킬 정도로 헛돌지는 않고 잠깐만 돌다가 그립을 되찾는다.] 현실의 고출력 후륜구동 슈퍼카도 휠스핀이 잘 일어나지 않는다. 고가의 차량일수록 OE 타이어[* Original Euipment tire, 출고용 타이어]의 한계 그립이 높은 건 물론이고 휠스핀이 일어날 것 같으면 알아서 구동력을 제어해서 그립을 잃지 않으면서도 최고의 출력을 낼 수 있도록 유지해주는 시스템이 장착된다. 게다다 후륜구동 자동차들은 급가속 시 무게가 뒤로 쏠리는 관성의 특성을 가장 잘 받아 급가속시 무게중심이 뒤로 밀려 뒷바퀴를 꾹 눌러주기 때문에 그립력이 높아지기 때문에 동일한 출력이라면 되려 전륜구동 자동차보다 휠스핀을 일으키기 힘들다. 실제로 [[https://youtu.be/m5_AKjDdqaU?t=3m|람보르기니의 아벤타도르, 맥라렌 12C와 같은 고성능 슈퍼카들의 드래그 레이싱 영상에서 GTA 5 수준의 휠스핀은 볼 수 없다.]] 차량의 조작성을 전반적으로 현실성보다는 아케이드성에 중점을 두고 가속이 현실보다 어려워서 비판을 면치 못하고 있다. 이는 고증을 따지는 [[자동차 덕후|차덕]] 이외에는 이런 점을 지적하지 않는다는 의견이 있긴하나, 사실 이는 좀 많이 다른 문제이다. 이게 단순히 고증의 문제가 아니라 이 점 때문에 비주류로 낙인찍혀 휠스핀이 심한 차량은 관상용으로 전락해서 다양성을 해친다.[* 이 분야의 본좌는 디클라스 맘바. 디자인은 예쁘다는 평가가 압도적이지만 비가 오면 오르막을 오를 수 없을 정도의 휠스핀 때문에 실사용으로 타고 다니기에는 무리가 있다.] 거기다 이를 모르는 뉴비들은 디자인과 표기된 스펙에 넘어가 샀다가 미칠 듯한 휠스핀에 구입을 후회하는 경우가 자주 보인다. 실제로도 수많은 업데이트로 다양한 고성능 차량들이 나왔지만, 실제로 유저들이 주로 사용하는 차량은 아주 극소수인 수준.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또는
기타 라이선스 (문서에 명시된 경우)
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07)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107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