떡밥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07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서버 점검 공지
|
개인정보 처리방침 개정 안내
EZ2ON REBOOT : R/시스템
(r3 문단 편집)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 스탠다드 === >'''INTO THE PROFESSIONAL PLAY''' > 전통적인 스타일의 플레이를 즐기는 모드 [[EZ2ON REBOOT : R]]의 메인 콘텐츠이다. 4, 5, 6, 8키가 있으며[* 이는 DJMAX RESPECT V와 같다. 다만 DJMAX는 추가적으로 2개의 사이드 키를 사용해야 한다는 점 때문에 실질적으로는 6, 7, 8, 10키로도 볼 수 있다.][* 키 배치에 4, 6, 8키가 나오게 된 것은 네오노비스의 전경수 대표가 2007년 RETRO EZ2ON를 출시하게 될 당시 한 기자와의 인터뷰에서 확인할 수 있는데 전경수 대표는 그 인터뷰에서 '5키와 7키를 기준으로 잡았을 때 5키가 어려운 사람을 위해 4키가 나온 것이고 7키가 어려운 사람을 위해 6키가 나왔으며 8키는 7키가 쉬운 사람이 어려운 도전을 할 수 있게끔 하기 위해서 만들었다'라고 언급했었다. 이후 나중에 5키도 나오게 된 것이고 이것이 현재 EZ2ON REBOOT : R에까지 계속 이어진 셈. 스퀘어픽셀즈도 이 점을 존중해서인지 패턴과 패널 스킨을 만들 때 항상 4, 5, 6, 8키에 최적화된 형태로만 제작한다.] KOOL 기본 판정 범위는 22ms이다. 또한 '''PC 플랫폼 기반에 키보드로 플레이하는 시스템'''이기 때문에 이전 [[EZ2ON 시리즈]]와 마찬가지로 스크래치와 페달이 없는 형태의 흰색, 파란색 [* 8키의 경우는 설정에 따라 초록색도 포함] 건반만으로 연주한다. [* 그래서 [[그원경기|원작을 경험하다 온 사람들]] 중에 일부는 이런 플랫폼 시스템에서의 환경 차이를 모른 상태로 플레이해보다가 'EZ2라는 이름을 달고 나왔는데 왜 스크래치와 페달이 없느냐'며 원작을 플레이했을 때 연주하는 손맛이 잘 안 느껴지고 채보 또한 이질적이라며 부정적인 반응을 보이는 이들이 간혹 보인다. 이후에 키보드로 플레이하도록 시스템이 변경되었음을 이해하고 나서는 [[비트콘]]을 키보드 대용으로 연결해서 원작의 감각에 가깝게 플레이하는 것으로 만족하는 이들이 있다. 그러나 이걸로도 성에 차지 않은 유저들이라면 그냥 오락실을 찾아다니거나 비싼 돈을 지불할 각오로 [[홈케이드]]를 구축하면서까지 원작을 하는 게 낫겠다며 EZ2ON을 환불하기도 한다. ] 한 곡에는 EZ, NM, HD, SHD[* RETRO EZ2ON 때부터 이어진 체계이다. [[EZ2DJ 7th|RETRO EZ2ON이 서비스 중이던 당시 아케이드 시리즈]]의 난이도 분류 또한 동일하게 EZ, NM, HD, SHD이었는데, 이후 EZ2ON REBOOT 때도 이 체계를 따랐고 지금까지 이어진 것이다. 여담으로 아케이드 시리즈의 난이도 체계는 EZ2AC EV부터 NM, HD, SHD, EX로 개편되었다. EZ2ON REBOOT : R에서 이 체계를 따르진 않을 것이며 EX 패턴 계획도 없다고 한다.][* 구곡 중에서 아케이드 시리즈 5K ONLY, 5K STANDARD 모드의 EX 난이도 혹은 그와 유사한 특이 패턴들(예시: 5K STANDARD Fire Storm EX 난이도, 5K ONLY R.D.M HD 난이도, 5K ONLY Substance SHD 난이도, 神威의 EX 난이도 등)의 성향은 거의 사라졌으며, 1~2세대 EZ2DJ 당시를 재현하는 형태로 패턴을 짜고 있다. 물론 코스 모드 등 다른 형태로 특이 패턴들이 등장할 가능성이 없는 건 아니다.][* 그렇다고 해서 아케이드 패턴의 특징이 아예 사라진 건 아니며, 오히려 충실히 재현했거나 동일한 패턴도 많다. (예시: [[Finite]] 5K STANDARD SHD 패턴과 EZ2AC 5K ONLY EX 패턴은 완전히 같다. 이외에도 [[The Future]]의 재봉틀 구간, [[20000000000]]의 닭갈비 구간, [[Love & Extasy]]의 특유의 짧은 롱노트 기믹 등도 충실히 구현되어 있다. 이외 CV DLC로 나온 [[Wars of the Roses, 1455]]와 [[Stay (TAK Remix)]] 또한 EZ2ON 5K SHD 패턴과 EZ2AC 5K ONLY HD/SHD 패턴이 노트 개수가 겨우 10개만 차이난 정도로 유사하다.) 또, 얼리액세스 당시에는 아케이드의 감성이 덜하다는 의견이 나오자 패턴들을 전반적으로 수정하기도 했다.] 최대 4개 난이도의 패턴이 존재한다. 그러므로 한 곡당 생길 수 있는 최대 패턴의 수는 4×4 16개이다. 모든 키의 곡 패턴에는 난이도를 숫자로 나타낸 레벨(1~20)이 표기되는데, 아케이드 버전보다 평균 3~4레벨 정도는 높게 책정되는 편이다. 패턴은 아케이드 시리즈 패턴을 키보드 입력에 맞춰 최적화와 타협을 하는 방향으로 설계되었으며, 또한 경쟁 모드에서의 플레이와 레이팅 시스템을 고려해 최대한 올콤보가 가능하도록 짜여져서 아케이드 버전보다는 훨씬 쉬운 편이다.[* 주로 4K, 5K에서 그런 경향이 강하다. 유저들의 평가로는 5K STANDARD의 레벨 20 패턴이 5K ONLY의 레벨 15 중상급 ~ 16 정도라는 의견이 많다. 코스 모드의 TIME PARADOX 등 일부 특수 패턴들은 5K ONLY의 레벨 17과도 맞먹거나 더 어렵다는 평가도 나오는 편이다.] 아케이드 시리즈에 비해서는 전체적으로 훨씬 순해진 게 사실이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어지간한 실력이 갖춰져 있지 않는 한 올콤보는 커녕 고득점을 노릴 수도 없을 정도로 여전히 어려운 편이다. 심지어 일부 패턴은 아케이드 패턴보다 더 어렵게 나오기도 한다.[* 대표적으로 [[ApolloN]]의 6K SHD 패턴이 그러하며, 이외에도 리마스터링 음원의 패턴, DLC 패턴 등 훨씬 어려워진 패턴도 종종 찾아볼 수 있다. 또한 여러 DLC가 나오면서 추가된 EZ2ON REBOOT : R 고유 신곡 중에서는 아케이드 5K ONLY 레벨 17에 견줘도 될 정도의 고난도 패턴이 계속 추가되고 있다.] 패턴들의 전반적인 난이도 경향은 기본적으로 밀도가 높은 편이고 고레벨 패턴일수록 처리력이 요구되는 패턴이 많은 편이다. 키별 난이도는 BPM이나 패턴에 따라서는 5K SHD가 4K SHD보다 쉽기도 하며 8K SHD보다 6K SHD가 훨씬 까다롭고 어려운 패턴도 많다. 이와는 별개로 8K에서는 3~4개 이상의 동시치기 패턴의 비중이 다른 키보다 상당히 커지기 때문에 플레이 전 키 충돌이 일어나진 않는지 확인하는 게 좋다. 베이직 모드 추가 전까지는 입문 유저들이 판정에 적응을 못하는 경우가 있었다. 실제로 22ms라는 판정은 일반인이나 입문 유저 기준으로는 상당히 까다로운 축에 속하는데, 비슷한 리듬 게임인 DJMAX RESPECT V에는 래더 매치 한정에 조건부로만 플레이할 수 있는 Hard Judgement(하드 판정)이 있는데 이게 18ms 정도다. DJMAX RESPECT V의 하드 판정과 유사한 수준이니 적응을 못할 수밖에 없는 것이다. 이는 베이직 모드가 추가되면서 해결됐고 종종 DJMAX RESPECT V 유저들이 이지투온으로 디맥 판정실력과 처리력을 연습하는 일명 '''옆집 수련법'''을 사용하기도 한다. 여담으로 과거 [[RETRO EZ2ON]], [[EZ2ON REBOOT]]는 모드의 명칭이 키별로 각각 달랐는데 아케이드 시리즈의 모드 명칭을 차용하여 4키는 루비 믹스 (Ruby Mix), 5키는 스트리트 믹스 (Street Mix), 6키는 클럽 믹스 (Club Mix)로 지정되어 있었다. 8키의 경우 별도 모드는 존재하지 않았고 클럽 믹스의 SHD 패턴을 8키로 플레이할 수 있었다. 이후 EZ2ON REBOOT : R에서는 아케이드 최신 버전의 명칭을 따라서 nK STANDARD로 통일했다. 이 과정에서 별도의 8K STANDARD 모드가 생기는 바람에 6K STANDARD에는 SHD 패턴이 새롭게 추가되었고 8K STANDARD의 부족한 EZ, NM, HD 패턴 또한 대거 추가되었다. [[FOX-B]]에 따르면 키별 유저 중에서는 5키가 가장 많았다고 한다. 아무래도 아케이드 모드의 가장 대중적이고 일반적인 키가 5키[* 이 5키는 스크래치와 페달을 같이 연주하는 5K STANDARD 모드와 건반으로만 연주하는 5K ONLY를 모두 포함한다.]였다 보니 그대로 유입된 것으로 보인다. 이후 2022년 1월 27일 패치에서는 5키 유저들의 만족도를 더 높이기 위해 5K STANDARD의 470여개의 패턴을 아케이드 느낌이 나도록 수정하는 대규모 패치로 패턴의 질을 더 높였다. [* 여기서 얘기하는 '아케이드 느낌이 나도록 수정한 것은' 5K의 HD 난이도이며, SHD는 HD 난이도를 기반으로 하되, 자체적으로 창작한 요소들이 추가한 형태이다. FOX-B도 5K의 HD 난이도가 진짜배기라 말할 정도로 많은 유저들에게 플레이를 추천해주었으며 본인의 개인 방송에서 직접 5K HD 난이도의 구곡들을 몇 번 플레이하기도 했다. [[그원경기|원작을 경험한 사람들의 기준]]에 좀더 맞추기 위해서인지는 모르겠지만 5키의 패턴은 키보드뿐만 아니라 아케이드 컨트롤러로도 무리없이 연주할 수 있게끔 짜여져 있는 경향이 많다. ]이후 폭스비가 밝히길 2022년 기준으로는 6키 유저 수도 상당히 늘어나서 5키와 비슷한 수준이 되었다고 한다. [* 이와 반대로 [[DJMAX RESPECT V]]의 5키는 이전에 나온 [[DJMAX RESPECT]]가 [[PS4]]로 출시했기 때문에 듀얼쇼크 조작에 최적화된 패턴을 많이 짰고 그것을 거의 그대로 이식한 형태인지라 기존 난이도 체계 HARD, MAXIMUM, 몇몇 SC 난이도 등지에 나오는 '레이저 패턴' 같이 양손을 교대로 번갈아가면서 치는 기믹이 있거나 3+3 가변 배치를 강요하는 불합리한 패턴들이 종종 나온다. 그러다 보니 5키의 선호도는 생각보다 꽤 낮은 편이며 불합리한 패턴이 없는 6키와 4키 유저가 더 많다. EZ2ON REBOOT : R에 6키 유저들도 많아진 데에는 이런 DJMAX RESPECT V 등지에서 6키를 플레이해온 유저들이 유입된 영향도 한몫했을 가능성이 어느 정도는 존재한 셈. 물론 5키 특유의 패턴도 익숙해지기만 한다면 상당히 재미있는 키 모드라고 평가하는 것도 대다수인지라 5키 공략에 도전해보는 이들이 적다고 볼 수는 없으며 특히 [[EZ2ON REBOOT : R]]의 5K STANDARD나 [[EZ2AC 시리즈/5K ONLY]]를 주로 하고 온 사람들이 DJMAX 시리즈를 처음 접할 때도 익숙한 키 모드라는 이유로 5키부터 건들기도 한다. DJMAX 제작진들도 이걸 의식하고 있기에 EZ2ON REBOOT: R 콜라보레이션 DLC로 나온 곡들만큼은 EZ2ON의 5키 특성을 리스펙트하여 가변 배치나 레이저가 나오는 패턴의 가짓수가 상당히 적다.] 8K의 전반적인 성향이 이전 작품에 비해서는 크게 바뀌었다. 13투온까지의 8키 모드는 [[비트콘|컨트롤러]]를 사용하는 플레이어들을 배려해 1+7배치에 가까운 양상을 띄고 있었고, 이에 영향을 받아 1~4번 라인에는 무리한 동시치기가 나오지 않았다. 21투온의 8키도 처음에는 1+6+1 배치로 짜여졌는데, 굳이 PC게임에 비트콘을 배려한 패턴을 넣을 필요가 있냐는 의견과 고렙패턴이 재미가 없다는 평가가 돌면서 TT DLC 발매를 기점으로 전부 4+4 배치로 갈아 엎어졌다. 이로 인해 1, 8번 라인이 아케이드의 스크래치 페달 같은 보조 키의 느낌은 사라졌으나, 1, 8번 라인의 노트 배치가 자유로워지면서 [[10K MANIAC]]의 색이 짙어지고 패턴도 더 재밌어졌다는 평가가 많아졌다.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또는
기타 라이선스 (문서에 명시된 경우)
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07)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107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