떡밥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07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서버 점검 공지
|
개인정보 처리방침 개정 안내
EZ2DJ 4th TRAX ~Over Mind~
(r1 문단 편집)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 평가 == 몇 가지 기획상의 실책으로 인해 평가 절하를 당했다. * Ruby Mix 모드 삭제 / Street Mix 모드의 EZ MIX 추가 EZ MIX를 고르는 방법이 설명되지 않아 처음 기기를 잡는 초보자들은 EZ MIX의 존재조차 알 수 없었다. 루비 믹스가 굳이 모드 선택 맨 처음에 위치했던 것도 조작법을 모르는 신규 유저, 일반인들을 배려했기 때문이었다. 게다가 스트릿 믹스와 루비 믹스는 게이지 증감량이 다르기 때문에, 채보는 동일한 채보라고 해도 난도가 기존의 루비 믹스보다 더 높아졌다. 1st의 모드 선택 화면에서는 설명 문구와 음성으로 친절하게 가이드했었고 1st SE는 설명 문구는 사라졌지만 음성이나마 남아 있었는데[* 다만 설명 문구와 음성은 영어라서 대부분의 플레이어들에게 별 의미 없었다.] 2nd부터는 모드별 BGM과 비주얼만 추가되고 부연 설명이 표시되지 않아 플레이어가 알아서 찾아가야 했었다. 그래도 난이도만큼은 루비 믹스를 통해 그나마 배려했던 게 사라졌으니 초보 유저들을 위한 컨텐츠는 더이상 찾아볼 수 없게 된 셈. 그 결과 당연히 플레이 성향이 S/E 때와 같이 급격히 매니악해져 초심자들이 수없이 나가 떨어지게 만든 원인이 되었다. * 모드별 디자인 요소 폐지 각 모드별 선곡 화면의 테마 루프가 사라지고 모든 모드에 같은 루프[* 이 BGA는 노란색깔을 입힌 형태로 7th TRAX의 7street mix 모드 전용 BGA로 등장한다.]를 사용해서 밋밋해졌다.참고로 이후 7TH TRAX에서 다시 부활했으나 기존의 배경을 어설프게 짜깁기한 것에 불과하다.[* 유심히 보면 색깔만 노랗게 바꾼 것을 알 수 있다.] 2nd에서 도입되었던 모드별 결과창 배경 구분[* 결과창의 곡 제목은 EZ2AC EC부터 표기되었다.] 또한 사라져서, 무슨 모드를 플레이한 것인지 구별할 수가 없게 되었다. 이는 EZ2DJ AEIC까지 모두 모드에 관계없이 결과창 배경을 공유한다. * 부실한 히든 커맨드 올송이 Street Mix에만 걸리는 등, 히든커맨드도 부실하다. 당시 EZ2DJ 공식 홈페이지와 어뮤즈월드 공식 홈페이지가 모두 폐쇄되었기 때문에 히든커맨드가 공식적으로 공개되지 못한 것으로 추정되며, 이에 대해서는 출처 불명의 괴담[* 인컴테스트 당시 직원이 관련 자료를 담아놓은 서류가방을 누군가가 들고 도망가서 다른 커맨드들이 공개되지 않았다, 혹은 그 유일하게 알려진 Street 올송이 인컴에 나온 직원을 폭행해서 알아냈다고 하는 내용. 유저들 사이에서 떠도는 설이나 출처나 진위여부는 불분명하다.]만이 떠돌고 있다. * 곡별 랭킹 폐지 매니아 유저들에게 안 좋은 평을 들었다. 그 외에도 수많은 단점이 존재한다. 예를 들면 커맨드 거는 시간이 부족해지고 라디오믹스의 경우 각 패턴의 종류를 설명하던 요소가 사라졌다. 4TH TRAX의 결점들을 후속작인 PLATINUM 및 그 뒤의 작품이 메꿔주었으면 좋았겠지만 그 뒤에 나온 작품들도 문제가 많을 뿐더러 무엇보다 늘어나는 곡과 작업물에 비해 기체 사양은 기존과 같거나 비슷한 수준이었기에 매 작품마다 퀄리티가 떨어지게 된다. 무엇보다 이후 [[EZ2DJ]]는 개발진의 분열과 아케이드 [[리듬 게임]] 시장의 일시적인 사양, 자회사의 철수 시도로 기나긴 침체기를 걷는다.[* 이런 현상은 [[펌프 잇 업]]도 피할 수 없는 흐름이었다. 다행히 1년 전부터 진출했던 해외 시장의 성과가 괜찮아서 재정적인 위기를 모면할 수 있었고 아예 주력 시장을 수익성이 더 높은 해외로 옮기기 시작했다.] 하지만 리듬 게임의 중심 요소인 곡, BGA, 패턴은 이전 작품 못지 않게, 또는 이전 작품에 비해 더 질이 높았다. 특히 신곡의 퀄리티에 관해서는 아무도 비판하는 이가 없을 정도로 상당히 훌륭한 편이다. [[Aquaris]], [[Fire Storm]], [[Lovely Day]]는 4th를 상징하는 3대장으로 취급받고 있으며 이 중에 [[Lovely Day]]는 이듬해 말 장나라가 '나도 여자랍니다'라는 대중가요로 편곡이 되어 많은 일반인들의 사랑을 받기도 하였다. 3대장 말고도 [[Complex]], [[Mad Robot]], [[Climax(EZ2AC)|Climax]], [[Blue(EZ2AC)|Blue]], [[J.M.J]]도 당시 4th를 빛낸 인기곡들로서 유저들이 많이 플레이하였으며 상대적으로 인기가 없는 편인 [[Delight]], [[Feel So Sad]], [[Metagalactic]], [[Futurist(EZ2AC)|Futurist]], [[Ready to Yah]], [[Go!]]에 대해서도 음악성이 매우 뛰어났다.[* 이런 점 때문인지 차후에 [[EZ2ON REBOOT : R]] 콜라보레이션을 진행한 [[DJMAX RESPECT V]]의 게임 디렉터인 juking이 '4th 수록곡들은 워낙 명곡이 많아서 어떤 곡들을 골라야 할지 한참을 논의했을 정도'라고 말했으며, 개인적으로 좋아하는 아케이드 버전도 이 EZ2DJ 4th라고 말하였다.] 신곡의 퀄리티가 좋은 만큼, 패턴의 질 또한 높았다. 그래서 4th 출신곡들은 후속작에도 지속적으로 추가 패턴이 제작되며, 시리즈가 완결된 EZ2AC FNEX까지도 많은 사랑을 받았다.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또는
기타 라이선스 (문서에 명시된 경우)
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07)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107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