떡밥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07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서버 점검 공지
|
개인정보 처리방침 개정 안내
EZ2DJ 2nd TRAX ~It rules once again~
(r1 문단 편집)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 시스템 == EZ2DJ 및 EZ2AC 전 시리즈 통틀어서 시스템적인 기반을 확립한 버전이다. 21년 후 시스템이 많이 변경된 최종작인 [[EZ2AC FNEX]]까지 시스템 기반은 2nd의 것을 사용하고 있다. 최종작까지 그대로 존속했던 시스템은 ★로, 부분적인 존속은 ☆로 표기한다. * 모드별 선곡 화면의 카운트 다운 통일 전작까지 들쭉날쭉했던게 모두 30초로 통일되어 대부분 소폭 연장되었으나 클럽믹스는 전작이 40초였기 때문에 오히려 10초나 단축되고 말았다. * KOOL - COOL - GOOD - MISS - FAIL의 판정 체계 ☆ KOOL이 추가되고, [[간접미스]]가 옐로 페일[* FAIL 글자가 노란색이고 콤보가 끊어지지 않는다. 리절트 창에는 일반 FAIL에 합쳐져서 나온다.]에서 미스로 변경되면서[* 콤보가 끊어지지 않는 것은 동일하지만 색상이 일반 MISS와 동일하다. 마찬가지로 리절트 창에는 일반 MISS에 합쳐져서 나온다.] 직접미스와의 구분이 어려워졌다. * 7키 모드와 14키 모드의 컨트롤러 사용 방식 완성 ★ 스트릿/라디오/클럽/스페이스 등 모드마다 각각 다른 조작계를 사용하게 되었다. 이 작품부터 기존의 5키 입력을 사용하던 라디오 믹스가 7키로 변경되었다. 원래 [[CROOVE]]는 스페이스 믹스의 시초인 'Live Mix'만 추가하고 넘어가려 했으나, [[ponGlow]]에 의해서 7키를 쓰는 라디오 믹스가 최종적으로 기획되었다고 한다. 5키 라디오 믹스는 4th에서 부활한다. * 2인용 전용 패턴 제거 ★ 1st SE까지는 2인용 플레이시 서로 다른 파트를 합주하는 시스템이었으나, 상기한 7키와 14키의 추가로 인해 패턴 제작자들의 부담이 가중되자 결국 2인용 전용 패턴은 삭제되었다. * 롱노트 판정 ☆ 1st SE까지는 롱노트 끝에서 떼어야 인정이 되었으나 2nd부터는 떼지 않아도 인정이 되도록 바뀌었다.[* 같은 스탭들이 EZ2DJ를 벗어나서 개발한 [[DJMAX 시리즈]]는 초기 EZ2DJ 시리즈와 마찬가지로 롱노트 끝에서 떼어야 하는 시스템으로 개발되었다. 단 [[DJMAX TECHNIKA 시리즈]]는 제외.] 이후 7th에서는 신곡에 한해 롱노트 콤보가 추가되었고, EC부터는 전곡에 적용되었다. * 이펙터 기능 단순화/실시간 노트 스크롤 속도 조절 ☆ 전작인 SE까지만 하더라도 스타트버튼을 누르기 전에 스크롤 배속을 미리 걸어놓거나 곡 선택 전에 스크롤 속도를 지정하는 방식이었지만, 본작부터 이펙터 3번과 4번을 이용해서 스크롤 속도를 실시간으로 조절할 수 있게 되었다. 이와 함께 기존의 TREBLE/BASS/키음/플레이 볼륨 부스트 용도로 사용되던 이펙터의 사운드 출력 기능이 단순화되어 BASS/TREBLE 컷오프 조절 방식으로 바뀌어 플래티넘까지 유지되었다. 6th TRAX부터는 컷오프 조절이 다시 부스트 온오프 방식으로 변경.[* 다만 1st와 1st SE 시절 부스트보다 품질이 떨어진다. 이 --저주받은-- 이펙터는 NT까지 유지되다가 TT에서 개선되었다.] * 스킨 선택 기능 ☆ 초기에는 기어 스킨의 색상만 변경할 수 있는 데 그쳤으나, 3rd 이후 현재의 기어와 노트 둘다 해당되는 스킨 선택 시스템이 확립된다. 그나마 2nd만의 장점이라면 기어 스킨마다 노트가 판정선에 맞출 때 나오는 이펙트 연출이 다르다는 것인데 3rd 이후 노트 스킨에 따라 구별되는 점과는 달리 2nd에서는 노트 스킨 기능이 존재하지 않았기 때문에 노트 모양에 관계없이 이펙트 연출을 다르게 볼 수 있는 특이한 방식이었던 것. [[EZ2AC : EV]]부터는 기어 스킨만 변경되는 시스템으로 바뀌었고, 노트 이펙트는 노트 종류에 따라서 바뀌게 되었다. * BGA 시스템 ★ 원래 EZ2DJ의 BGA는 기본 배경을 흘려놓고 판정이 발생할 때마다 레이어를 덧붙여서 표시하는 방식이었다. [[http://youtu.be/46DG9HqqrRk|이 영상을 보면]] 노트를 누름에 따라 [[BGA]]가 반응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비트매니아]]와 유사하지만, 비트매니아에서는 노트를 틀렸을 때만 미스 레이어가 표시되는 반면 EZ2DJ에서는 COOL 판정이 나도 레이어가 표시되었다.[* 즉 COOL 판정과 FAIL 판정에서만 레이어가 표시되고, GOOD 판정과 MISS 판정에서는 레이어가 표시되지 않는다.] 저난이도 곡에서야 괜찮았지만, 노트가 많이 나오는 고난이도 곡에서는 노트를 맞힐 때마다 레이어가 나오니 BGA의 존재 이유가 없어졌다. 또한 이 레이어 연출이 코나미의 리듬 게임 특허의 하나로 등록되어 있어서 특허 침해 문제로 연결될 수 있었다. 그래서 2nd에서 BGA 시스템을 아예 갈아 엎어서 레이어 시스템을 없애 [[BGA]]는 노트와 관계없이 독립적으로 재생되게끔 하였다. 대부분의 구곡은 새 시스템에 맞게 새로 제작되거나 편집되었지만 [[Quake in Kyoto]]나 [[Dieoxin|DIEOXIN]] 등 일부 구곡은 1st의 시스템에 맞게 만들어진 것을 그대로 사용하였다. 그래서 지금 보면 조금 썰렁해보인다. 원래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레이어가 덧붙을 것을 상정하고 일부러 단순하게 만든 것이기 때문. * 리절트 화면 2nd에서 만들어진 리절트 화면은 [[EZ2DJ 7th BERA]]까지 배경 위주로만 바꾸어서 사용하다가 [[EZ2DJ AE]]에서 Impact 폰트의 랭크만 제외하고 모두 새로 제작하였다. [[EZ2AC : EC]]부터는 랭크의 폰트가 컨셉에 맞게 다시 변경되었고 전용 BGM이 추가되었으며, [[EZ2AC : EV]]부터는 화면 구조가 완전히 바뀌었다. * 곡별 랭킹 시스템 ☆ 선곡 후 로딩 이미지의 우측 상단에 1위부터 3위까지의 닉네임과 점수가 표시되었다. 4th에서는 잠시 삭제되었으나 Platinum부터 부활하여 5위까지 확장되었다. * 랭킹 엔트리 ☆ 1크레딧을 모두 완주하고 랭킹 및 닉네임 입력 화면이 나오는 시스템 자체는 초창기부터 존재했었지만 이번에는 랭킹 숫자의 제한이 없어져서 순위가 세자릿 수 이상까지 서열될 수 있게 되었다. 입력 시간은 50초로 주어진다. 랭킹 BGM은 [[EZ2DJ 7th 1.5]]에서 잠깐 바뀌었다가 [[EZ2DJ 7th CV]]에서 환원되었고, 바로 다음 버전인 [[EZ2DJ 7th BE]]까지 사용되었다. 이후 [[EZ2DJ 7th BERA]]에서는 [[EZ2DJ 1st]]의 BGM으로 돌아갔으며, [[EZ2DJ AE]]부터는 BGM을 새로 만들고 있다. * [[EZ2AC 시리즈/테스트 모드|테스트 모드]] ★ 1st SE까지의 테스트 모드는 지금과 좀 달랐다.[* [[https://blog.naver.com/ez2story/220745930963|1st SE 테스트 모드.]] 재부팅 없이 설정값이 바로 저장되는 지금과는 달리 설정이 끝나면 기기를 껐다가 다시 켜줄것을 요구한다.] 오늘날까지 쓰는 테스트 모드는 2nd부터 시작되었다. 한글 메뉴도 이때부터 지원. 다만 설정의 언어를 바꿔도 인게임 언어는 바뀌지 않는다. * 컨티뉴 페널티 시스템 삭제 ★ 1st SE 까지는 게임 도중 게임게이지가 다 소모되어 플레이를 실패해도 해당 스테이지에서 곡을 다시 골라 계속할 수 있는 컨티뉴 페널티가 존재했다. 하지만 2nd부터는 컨티뉴 페널티가 삭제되어 게임 도중 플레이 클리어를 실패하면 무조건 게임 오버가 되어 처음부터 다시 해야 한다. 다만 Club Mix는 논스톱 플레이 특정상 1st부터 컨티뉴 페널티가 없었다. * 라디오믹스 클리어 판정 ☆ 2nd 부터는 라디오믹스에 게이지가 없어지고 청취율 퍼센티지가 등장했다. 게이지가 없어서 플레이 도중에 게임오버가 되지 않고 끝까지 플레이가 가능하다. 대신에 플레이판정에 따라 퍼센티지가 올라가는데, 조건 퍼센티지를 넘어야만 다음 스테이지를 플레이 할 수 있으며 조건 퍼센티지를 넘기지 못하면 게임오버가 된다. 이건 [[비트매니아]]의 클리어판정에 영향을 받은걸로 추정된다. * 스테이지 단축 ★ 1st SE 까지는 스트릿믹스와 클럽믹스는 총 4 스테이지, 라디오믹스는 총 5스테이지로 구성되었는데 2nd 부터는 하나씩 삭제되면서 스트릿믹스와 클럽믹스는 총 3 스테이지, 라디오믹스는 총 4 스테이지로 단축되었다. 새로 생긴 스페이스 믹스는 총 2 스테이지이지만 2 스테이지 까지 높은 판정을 받으면 보너스 스테이지를 더 할 수 있다. 다만 판정이 좋지 않으면 2 스테이지까지 하고 게임종료된다.[* 2스테이지가 정식이기에 게임오버가 아니라 랭킹엔트리로 넘어간다. 보너스 스테이지 에서도 클리어 못해도 랭킹엔트리로 넘어간다.] * 랭킹엔트리 시스템 ★ 1st SE 까지는 10위권만 랭킹네임으로 새길 수 있었지만 이제는 누구나 랭킹네임을 새길 수 있다. (그 대신 1000위권도 존재 한다.) * 엔딩 시스템 ☆ 1st는 스태프 롤이 나왔으며, 1st SE는 그냥 [[어뮤즈월드]] 로고만 나오지만, 2nd부터 BERA까지는 [[Theme of EZ2DJ]] 후렴구의 BGM에 'Thank you for play'라는 문구가 나오는 엔딩으로 바뀐다. AE와 AEIC에서는 [[Theme of EZ2DJ 2]]를 사용하다가 EC부터는 새로 제작한 BGM을 사용한다.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또는
기타 라이선스 (문서에 명시된 경우)
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07)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107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