떡밥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07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서버 점검 공지
|
개인정보 처리방침 개정 안내
EZ2AC 시리즈/역사
(r1 문단 편집)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 2008~2011년: 패치 연명기 === 어뮤즈월드가 코나미와의 소송에서 패하고 거액의 배상금, 신작 및 기계 생산 중단 판결을 받음에 따라 모든 유저들은 EZ2DJ 시리즈는 완전히 끝났다고 여겼다. 그런데 2007년 12월, [[EZ2DJ 7th 1.5|EZ2DJ 7th의 1.5 버전]]이 출시되면서 유저들을 발칵 뒤집어 놓았다. 코나미와의 소송도 소송이거니와, 이미 온라인 버전 EZ2DJ로 알려진 [[RETRO EZ2ON]]이 프리 오픈 테스트를 시작한 시점이어서, 갑작스럽게 등장한 아케이드 EZ2DJ의 신작은 유저들을 당황하게 만들기에 충분했다. [[EZ2DJ 7th 1.5|EZ2DJ 7th의 1.5 버전]]의 개발 과정은 역시나 매우 나빴다. 본래 어뮤즈월드 측이 [[M2U]]에게 7th의 패치 버전을 만들어달라는 부탁을 했고 M2U는 [[znpfg]]과 컨택해 함께 개발하게 됐다. znpfg는 디렉터로서 EZ2DJ 7th 1.5의 개발을 주도했는데, 이번에도 개발 관련 인수인계가 전혀 이루어지지 않은 데다가 사무실도 없어서 znpfg의 자택에서 개발이 이루어졌다고 한다. 게다가 개발 기간도 겨우 2주 남짓이었다. [[Lucid]], [[The Prince of Darkness(EZ2AC)|The Prince of Darkness]], [[Legend of Moonlight]] 등 추가 신곡과 어려운 패턴들은 반응이 좋았지만 그것뿐이었다. 비주얼에서는 타협을 안 한 부분이 없었고 난이도 인플레이션 때문에 대중성은 뒷전으로 밀려났다. 게다가 이때부터 게임 플레이에 방해가 되는 버그도 여럿 생겼는데 이 중 대표적인 게 [[음파 크래시 버그|뽁찡]] 버그이다. 이후 2008년 3월, 7th 1.5 버전을 보완하는 성격의 [[EZ2DJ 7th 2.0]]이 발매되면서 불안정했던 시스템이 조금이나마 안정화되었다. 2009년 3월에는 새로운 컨셉의 [[EZ2DJ 7th TRAX CLASS R ~CODENAME:VIOLET~]]가 발매된다. 이전 작품들과는 비주얼이 확연히 달라졌으며 해킹이라는 테마에 어울리게 여러 해금 콘텐츠가 추가됐고 이때 EZ2 시리즈를 대표하는 곡 [[神威]]도 수록되었다. 하지만 EZ2 시리즈 최악의 곡 중 하나로 꼽히는 [[For The Top]]이 수록되기도 했고, 여전히 시스템이 불안정해서 버그가 너무 많았던데다, 해금 관련 패스워드, 포인트에 [[EZ2DJ 7th TRAX CLASS R ~CODENAME:VIOLET~#개인 마일리지와 패스워드|불합리한 부분]]이 있어 유저들의 반응은 굉장히 나쁜 편이었다. 물론 당시에 [[유비트]] 같은 강력한 게임과 경쟁했음을 생각하면 선방한 편이긴 하지만, 후술할 내용을 생각하면 이 선방을 아무래도 긍정적으로 보긴 어렵다. 그리고 2010년 11월 [[EZ2DJ 7th TRAX BONUS EDITION]]이 발매되었다. 그런데 이 작품은 상용 게임이라고 할 수 없을 정도의 저질로 발매되어 압도적인 혹평을 받았다. 우전 비주얼부터 타이틀 화면을 제외하면 전작 EZ2DJ CV를 그대로 가져다 쓰되 색조와 몇몇 폰트만 눈가리고 아웅 수준으로 바꾼 정도고[* 사실 타이틀 화면도 그나마 새로 만들긴 했다는 수준이지 썩 좋다고 할 수는 없다. 7th 계열 작품들이 전반적으로, 튀는 색조를 너무 많이 사용한 편이다. 첫 작품에서 2.0까지는 [[황사]] 색깔이라 불린 원색적인 노란색 위주로, CV는 너무 진한 보라색 위주로 썼다. BE는 빨간색 위주의 색조를 남발했으며, 이는 타이틀에도 적용되어 있다.], 시스템은 이전보다 더 불안정해져서 뭘 할 수 없을 정도로 버그가 속출했다. EZ2DJ BE의 반응이 너무나 나빠서인지 2011년 2월 문제점을 대부분 해결한 [[EZ2DJ 7th TRAX BONUS EDITION revision A]]가 발매된다. 이 작품을 기점으로 나쁜 여론이 전환되었는데 시스템이 확연히 안정화되고 버그가 많이 사라진데다가, 과거 EZ2DJ PT에 이어 또다시 EZ2 시리즈를 집대성하는 듯한 풍부한 콘텐츠가 추가돼 반응이 아주 좋았다. 게다가 EZ2DJ BE 기기 한정으로 무료 업그레이드를 지원한 덕분에 [[EZ2DJ BERA]]는 전국으로 빠르게 보급되었다. 어뮤즈월드가 코나미와의 소송에서 패소했는데도 이렇게 신작을 계속 개발했던 이유는 후속작을 별도의 넘버링이 붙은 독립 타이틀로 내놓지 않고 EZ2DJ 7th의 후속 패치 버전이라는 명목으로 꼼수를 썼기 때문이다. 말 그대로 편법이기 때문에 코나미가 우회적 신작 발매 행위로 간주해 가처분 소송을 걸 수도 있었겠지만 추가 소송으로 얻는 이익이 적고 코나미에게 가는 손해도 미약하다고 판단했는지 대응은 없었다. 이런 패치 형식의 개발은 이후 2012년 6월 [[EZ2DJ : AZURE EXPRESSION INTEGRAL COMPOSITION|AEIC]]까지 이어진다. 법적으로 분류했을 때는 AEIC도 7th 계열로 취급해서 패치 형식에서 벗어난 "진짜" 신작은 [[EZ2AC EC]]이다. 단 개발진 입장에서는 EZ2DJ AE를 7th 계열에서 벗어난 신작 취급하고 있고, [[EZ2AC EV]] 2.0 업데이트 발표 이후 [[EZ2DJ 7th CV|EZ2DJ CV]], [[Sabin Sound Star|3S]], [[EZ2DJ 7th BERA|EZ2DJ BERA]]도 7th의 연장 버전이 아닌 별개의 버전으로 취급하고 있다. 이 7th 계열 작품들은 그 자체만으로도 굉장히 특수하다. 어뮤즈월드가 패소의 여파로 정상이 아니었기 때문에 개발 과정은 매우 열악했고 결과물 또한 완성도가 크게 떨어진다. 하지만 개발진들은 나쁜 환경에도 불구하고 하드 유저들의 입맛에 맞는 콘텐츠를 적극적으로 개발했고 이게 유저들에게 먹혀들면서 완성도와는 별개로 계속 시리즈가 이어진 것이다. 또한 당시 EZ2DJ가 오락실 업주들에게는 나름대로 효자 게임이었던 것도 시리즈가 계속 나오는 이유 중 하나이다. 2007년 이후 출시된 펌프 잇 업 FX, DJMAX TECHNIKA, 유비트 등의 기체들은 그 자체로도 상당한 고가였다. 아케이드 기체의 가격은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 가격보다 비싸지만 교체 주기는 꽤 느린 편이다. 특히 PC 기반 내부 기판의 교체 주기와 교체 비용이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 킷보다 장기적으로 저렴하다. 반면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는 업그레이드 비용은 물론 네트워크 유지비[* 코나미의 경우 한 판 플레이 시 일정 포인트 + 네트워크 유지비로 월 8만 원 가량의 비용이 발생한다(4대까지 가능), 테크니카는 자체 유지비는 없지만 [[KT]] 전용 IP 서비스를 사용해야 네트워크 연결이 됐다.]를 요구했는데 이는 오락실 업주에게는 상당한 부담이었다. 하지만 EZ2DJ는 기체 가격이 저렴하고 100여만 원 남짓하는 업그레이드 비용을 제외하면 추가 비용도 없어서 굉장히 경제적이다. 2017년 기준 과금 등으로 코인[* 500원의 경우 120원, 1000원의 경우 240원.]의 24%를 가져가는 [[코나미]]의 게임[* 국내에서 이어뮤즈먼트 서비스를 진행중인 모든 게임들이 과금제에 포함된다.]들과 달리, 추가로 개발사에 지불하는 비용도 없어서 코인 수익도 전적으로 업주의 것이다.[* 사실 최신 버전이 나오기 전까지는 네트워크, 기체 외형, 내부 기판에 관련된 비용없이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 가격만 요구했었기 때문에 소비자 입장인 오락실 업주들에겐 당시 주류 리듬 게임들 중에서는 비용 면에서 유리했던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기체의 입력 컨트롤러(버튼, 턴테이블, 페달 등) 부분의 유지보수 요령을 빼면 딱히 특별한 관리 비용이 요구되지 않는 등 수익률이 높아서 오락실 업주들의 선호를 받은 것이다.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또는
기타 라이선스 (문서에 명시된 경우)
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07)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107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