떡밥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07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서버 점검 공지
|
개인정보 처리방침 개정 안내
EZ2AC 시리즈/역사
(r1 문단 편집)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 1999~2001년: 출발과 성공 === 1999년 4월 20일에 출시된 시리즈 첫 작품 [[EZ2DJ 1st|EZ2DJ The 1st TRACKS]]는 미려한 외관, 당시 오락실용으로는 고사양에 속하는 기판,[* 슈퍼 소켓 7 기반의 [[VIA]] Apollo MVP3 칩셋 메인보드 + [[AMD]] K6-2 CPU + [[인텔]] 740 8MB 그래픽카드 + 64MB SDRAM + [[Creative]] 사운드 블라스터 Live! Value 2 사운드카드 + [[ISA 버스]] 타입의 I/O 카드 등.] 세련된 곡 구성을 보여주며 이전의 국산 아케이드 게임이 가졌던 '싼티', '조악함'같은 부정적인 이미지를 탈피하는 데 성공하였다. EZ2DJ는 출시와 함께 선풍적인 인기를 끌었고 리듬 게임 장르의 대표격 작품이자 먼저 대한민국 시장에 진출해있던 [[비트매니아 시리즈|비트매니아]]를 끌어내리는 성과를 냈다. 이후 같은 해 12월 15일 확장판인 [[EZ2DJ The 1st TRACKS Special Edition|Special Edition]]을 출시했는데, 한국 가요곡을 라이센스하여 추가하는 등의 파격적 시도를 했고, 대중성까지 공략하면서 더 폭발적인 사랑을 받을 수 있었다. 그리고 비슷한 시기에 제4회 [[대한민국 게임대상]]에서 EZ2DJ THE 1ST TRACKS가 대상을 차지하는 영광도 누렸다. 물론 출시 시기나 게임 방식으로 미루어볼 때 EZ2DJ 1st와 SE가 비트매니아의 아류작으로 만들어졌다는 것은 명백한 한계점이다. 그러나 더 세련되고 화려한 비주얼, 괜찮은 퀄리티의 수록곡, 롱노트 도입, 질 높은 콘텐츠 등으로 차별화를 하는 데 성공해냈다. 또한 코나미와의 소송에서 패소한 이유도 특허('처리 시스템'과 관련된 소프트웨어 특허)를 침해했다는 점이 인정되었던 것이지, '표절'(디자인 및 전체적인 게임의 외형에 해당)이라는 표현은 한국 법원 판결로도 '표절이 아닌 것'으로 인정받았다. 이 부분은 대상이 '''5키''' 비트매니아 기체였기 때문으로 보인다. 실제로 비트매니아 IIDX 기체와 EZ2DJ의 기체는 외장 면에서도 유사점이 상당한 편이다. 2000년 11월 1일에는 기존 시스템을 갈아엎은 신작 [[EZ2DJ 2nd|EZ2DJ 2nd TRAX]]가 발매되었다. 그리고 이 작품부터 EZ2DJ는 단순 비트매니아 아류작의 이미지를 탈피하게 된다. 기본적인 비주얼이 이전 작품과 정반대되는 붉은색을 사용해 스타일에 변화를 줬고 여러 퀄리티 높은 신곡들이 추가되었다. 그리고 초보자를 위한 루비 믹스, 더 높은 경지에 다다른 상급자들을 위한 스페이스 믹스가 추가되는 등 콘텐츠가 충실하게 보강되었다. 또, 그래픽카드가 인텔 740에서 엔비디아 RIVA TNT2 M64로, 그래픽 메모리 용량도 8MB에서 32MB로 4배 확장되었으며, RAM 용량이 64MB에서 128MB로 업그레이드되었다. 기존의 BGA 시스템을 완전히 뜯어고쳐 더욱 화려한 영상을 연출하는 등 EZ2 시리즈 시스템의 전반적인 기반을 다졌다. 2001년 9월 17일에 발매된 [[EZ2DJ 3rd|3rd TRAX]]는 시스템 기반을 다져놓은 EZ2DJ 2nd TRAX에서 더 보강된 버전으로, 2년 전 개봉한 영화 [[매트릭스(영화)|매트릭스]]를 의식한듯한 세련되고 속도감 있는 디자인으로 변경되었으며 시스템적인 발전도 이루어졌다. 그리고 '절대음감'이라는 부제에 걸맞게 더 공격적이고 도전적인 장르의 수록곡과 매니아들을 만족시키는 고레벨의 패턴들이 대거 추가되었다. 훌륭한 퀄리티의 곡과 BGA, 고난도의 패턴 등 전반적으로 호평받고 흥행적으로도 성공했지만 이때부터 난이도 인플레이션이 시작됐다는 비판도 있다. 이렇게 발매작 3개가 흥행 연타석 홈런을 치면서 중소 개발사에 불과했던 [[어뮤즈월드]]도 유명 게임업체의 자리에 서게 됐다. 정확한 판매량이 공개된 적은 없지만 [[코나미]]와의 2차 소송건을 다룬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5&oid=008&aid=0000803977|기사]]에서 대략적인 수치를 가늠할 수 있는데, 아래 내용은 당시 뉴스 기사 본문 중 일부를 발췌한 것이다. >게임세상은 1999년 4월부터 2000년 7월까지 EZ2DJ 제품 '''7,800대'''를 제작해 785억여원의 매출을 올렸으며, 어뮤즈월드는 이후부터 국내 특허 등록 이전까지 2001년 4월까지 '''2,320대'''를 제작해 232억여원의 매출을 올렸다. 재판부는 이같은 매출과 관련해 피고들이 원고에게 지급할 배상금을 매출액의 10%로 정했다. > [머니투데이] "음악게임 EZ2DJ, 일본게임 표절" (2007.07.08.) 1999년 당시 EZ2DJ 기기의 가격이 1대당 1020만 원의 가격에[* 하드 디스크 + 하드락의 구성이 아니라 통기계 그대로의 가격. 당시로서는 상당한 고사양이었으며, 스피커와 사운드 시스템 또한 최상의 부품을 사용하였다고 한다.] 10,120대가 출하되었다고 한다. 이를 단순 계산하면 '''1천억 원'''에 달하는 수익을 달성했다는 말이 되는데, 이후 2024년 FOX-B의 말에 의하면 이는 실제 판매 수가 아니며 부풀려진 수치라고 한다. 추산을 할 때 실 기기를 세어본 게 아니라 발급된 심의 필증의 수를 세는 바람에 실제보다 훨씬 많이 부풀려졌다고 한다. 비록 뻥튀기 수치지만 이 게임이 당시 얼마나 흥행했는지 참고할만한 지표임에는 변함이 없다. 해외로 수출된 기기의 수는 정확하게 집계된 것이 없지만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1&oid=008&aid=0000006093|머니투데이]],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1&oid=009&aid=0000258256|매일경제]] 등의 기사를 보면 해외에서도 제법 판매고를 올린 것으로 추정된다. 당시 비트매니아 시리즈가 해외에서는 시큰둥한 반응과 함께 흥행 실패했다는 점을 생각하면 EZ2DJ는 나쁘지 않은 판매고를 올린 셈이다. 어뮤즈월드는 EZ2DJ의 대성공을 바탕삼아 사업을 공격적으로 확장하기로 한다. 실제로 시리즈의 파생작인 [[EZ2Dancer]]를 개발하는 등 여러 게임 개발에 착수하였다. 또한 로플넷으로 포털 사이트 사업에도 발을 뻗었고, [[EZ2Dancer]]의 사운드트랙 음반을 일반 음반 유통망을 통해 [[http://isplus.live.joins.com/news/article/article.asp?total_id=766159&cloc=|판매하였는데]], 당시는 물론 오늘날에도 게임 음악 앨범이 일반 소매점을 통해 판매되는 것은 매우 드문 일이다. 또한 신이지라는 이름의 가수를 데뷔시키며 연예계에까지 뛰어들었는데, 신이지의 [[https://www.youtube.com/watch?v=cIMTLuPCZpg|뮤직비디오]]에 [[EZ2Dancer]] 게임 장면을 집어넣고, [[EZ2Dancer]]에는 신이지의 곡을 수록하는 등 게임과 대중 음악을 결합한 마케팅을 시도했다. 하지만 신이지는 방송 활동 한 번 못 해보고 조용히 모습을 감추었으며 다른 확장 사업들도 별 성과 없이 실패의 쓴잔을 마셨다. 이후 EZ2DJ 시리즈는 어뮤즈월드와 함께 침체기에 빠져든다.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또는
기타 라이선스 (문서에 명시된 경우)
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07)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107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