떡밥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07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서버 점검 공지
|
개인정보 처리방침 개정 안내
Don't Cry(DJMAX)
(r1 편집)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목차] ||<-2><table bordercolor=#000><table align=center>[[DJMAX 시리즈|[[파일:DJMAX 로고(블랙).svg|width=100&theme=light]][[파일:DJMAX 로고(화이트).svg|width=100&theme=dark]]]]|| ||<-2><nopad> [youtube(ENIEzGmpmTw)] || ||<width=100> {{{-1 '''수록 정보'''}}} ||{{{-2 [[DJMAX RESPECT V]]}}} {{{#aaa |}}} {{{-3 V EXTENSION 4 (2023)}}} || || {{{-1 '''장르'''}}} ||{{{-1 Healing}}} || || {{{-1 '''BPM'''}}} ||{{{-1 94}}} || || {{{-1 '''작곡'''}}} ||{{{-1 [[Nauts]]}}} || || {{{-1 '''BGA'''}}} ||{{{-1 SOHI}}} || == 개요 == [[Nauts]]가 작곡한 [[DJMAX RESPECT V]] 신곡. [[WHY(DJMAX)|WHY]]와 [[Underwater Castle]]을 잇는 차분한 분위기의 곡으로, 앞선 두 곡들보다도 훨씬 더 힐링되는 분위기가 돋보이는 이지 리스닝 곡이다. 이전에 [[BEATCRAFT CYCLON]]에 투고했던 [[아침이 좋은 이유]]와 비슷한 느낌의 곡으로, 제작진 왈 업무적으로 힘들었지만 이 곡을 들음으로 힐링이 되었다고. BGA는 SOHI가 [[STEP(DJMAX)|STEP]]에 이어 독특하고도 감성적인 비주얼을 선보였다. 우주를 배경으로 한 여성의 여행기를 그려내었는데, 마침 라인업 공개일이 [[누리호]] 3차 발사일이었기에 이를 연상하는 반응도 많았다. 곡 자체의 분위기와는 달리 마침 해당 곡이 수록된 V EXTENSION 4 DLC에 빠르고 강렬한 곡들이 주를 이루었기 때문에 오히려 차분한 분위기를 가진 이 곡도 이목을 끌었다. 특히 크로스페이드 기준으로는 직전에 나온 [[The Four Seasons : Summer 2017]], [[Love.Game.Money]], [[Stay Alive(DJMAX)|Stay Alive]]까지 하드한 락 장르의 곡들이 3번 연속으로 나왔기 때문에 더욱 대조가 되었다. == [[DJMAX RESPECT]] & [[DJMAX RESPECT V|V]] == [include(틀:DJMAX RESPECT/V EXTENSION 4)] ||<|2><table width=500><table bgcolor=#fff,#191919><table bordercolor=#820c00><bgcolor=#820c00><nopad> [[파일:Don't Cry_1.webp|width=100%]] ||<-4>{{{#!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d1600, #b11000)" '''{{{#000 V EXTENSION 4}}}'''}}} || ||<-4>'''{{{+5 Don't Cry}}}''' || ||<rowbgcolor=#c11100><rowcolor=white><width=80> 모드 ||<width=100> NM ||<width=100> HD ||<width=100> MX ||<width=100> '''SC''' || ||<colbgcolor=#810c00><colcolor=white> 4B || [[파일:djmax_respect_star_yellow.svg|width=16]] 2 [br] {{{-5 122}}} || [[파일:djmax_respect_star_yellow.svg|width=16]] 4 [br] {{{-5 223}}}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7 [br] {{{-5 375}}} || [[파일:djmax_respect_star_sc5.svg|width=16]] {{{#purple,#f21cc7 '''1'''}}} [br] {{{-5 555}}} || || 5B || [[파일:djmax_respect_star_yellow.svg|width=16]] 2 [br] {{{-5 183}}}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6 [br] {{{-5 386}}}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8 [br] {{{-5 531}}} || [[파일:djmax_respect_star_sc5.svg|width=16]] {{{#purple,#f21cc7 '''1'''}}} [br] {{{-5 627}}} || || 6B || [[파일:djmax_respect_star_yellow.svg|width=16]] 1 [br] {{{-5 125}}} || [[파일:djmax_respect_star_yellow.svg|width=16]] 4 [br] {{{-5 305}}}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8 [br] {{{-5 563}}} || [[파일:djmax_respect_star_sc5.svg|width=16]] {{{#purple,#f21cc7 '''3'''}}} [br] {{{-5 750}}} || || 8B || [[파일:djmax_respect_star_yellow.svg|width=16]] 2 [br] {{{-5 157}}} || [[파일:djmax_respect_star_yellow.svg|width=16]] 5 [br] {{{-5 290}}}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9 [br] {{{-5 500}}} || [[파일:djmax_respect_star_sc5.svg|width=16]] {{{#purple,#f21cc7 '''4'''}}} [br] {{{-5 693}}} || ||<-5>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2px 5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be1207, #5d0801, #270300)" {{{-3 *SC 난이도는 별도 난이도 체계를 사용.}}}}}} || RESPECT V 2.0 업데이트로 SC 패턴들의 난이도가 조정되었다. (4B 3 → 1, 5B 3 → 1, 6B 5 → 3, 8B 6 → 4) === 4B TUNES === || {{{#white NM}}} || {{{#white HD}}} || ||<rowbgcolor=#820c00><table bordercolor=#820c00><table bgcolor=#c11100><nopad> [youtube(8SmpZ9UF8_w)] ||<nopad> [youtube(gE1Y1Rr58LE)] || || {{{#white MX}}} || {{{#white '''SC'''}}} || ||<rowbgcolor=#820c00><nopad> [youtube(mXd9tkBD1tU)] ||<nopad> [youtube(k2jXh8-tM7I)] || 4B SC는 16비트 계단은 짤막하게 3줄만 나오고, 어려운 구간이 전혀 없다. 동 작곡가의 악곡인 [[WHY(DJMAX)|WHY]]와 난이도가 비슷해 체감 난이도는 SC 1까지 떨어진다. === 5B TUNES === || {{{#white NM}}} || {{{#white HD}}} || ||<rowbgcolor=#820c00><table bordercolor=#820c00><table bgcolor=#c11100><nopad> [youtube(lCSMeiz-FsQ)] ||<nopad> [youtube(gmqQCF4B_1k)] || || {{{#white MX}}} || {{{#white '''SC'''}}} || ||<rowbgcolor=#820c00><nopad> [youtube(OpZdrYxM--Y)] ||<nopad> [youtube(AM9zyGEmFg4)] || 5B SC는 중간중간 345 롱노트를 잡으면서 12 동시치기, 123 롱노트를 잡으면서 45 동시치기-롱노트를 잡아야 하는 패턴이 그나마 어려운 구간으로, 3레벨치곤 한참 부족한 패턴 구성으로 인해 체감 난이도는 1~2레벨 정도인 물렙이다. === 6B TUNES === || {{{#white NM}}} || {{{#white HD}}} || ||<rowbgcolor=#820c00><table bordercolor=#820c00><table bgcolor=#c11100><nopad> [youtube(mTvMPH-j9d8)] ||<nopad> [youtube(oYjPS6Py2gQ)] || || {{{#white MX}}} || {{{#white '''SC'''}}} || ||<rowbgcolor=#820c00><nopad> [youtube(xlXhA1GN0Gg)] ||<nopad> [youtube(cuveevJ1aGc)] || 6B SC는 롱노트를 응용한 패턴이 많이 나온다. 한 쪽 롱놋 잡으면서 다른 쪽 떼면서 잡기, 한 손 롱노트+반대편 원핸드 트릴 등 롱잡은 아니지만 롱노트 장난으로 인식되는 패턴을 익히기 좋은 채보. === 8B TUNES === || {{{#white NM}}} || {{{#white HD}}} || ||<rowbgcolor=#820c00><table bordercolor=#820c00><table bgcolor=#c11100><nopad> [youtube(UkoByAvCu0A)] ||<nopad> [youtube(wuV9OQ51ieQ)] || || {{{#white MX}}} || {{{#white '''SC'''}}} || ||<rowbgcolor=#820c00><nopad> [youtube(qWDufUOV93k)] ||<nopad> [youtube(I360tAG_P-g)] || 8B SC는 다른 버튼의 기조와는 달리 세세한 키음을 상당히 반영하는 방향을 취했고, 실제로 네 버튼 중 그나마 레벨이 가장 높다. 특히 트리거 롱노트를 잡은 채로 처리해야 하는 고속 계단 패턴이 총 3번 등장하는데, 이곳에서 판정을 흘리기 쉽다. 만약 피지컬에는 어느 정도 자신이 있는데 계단에서 자꾸 실수하게 된다면 하프 랜덤 이펙터를 통해 계단을 풀어주는 것이 도움될 수 있다. [[분류:DJMAX의 수록곡]]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나무위키, title=Don't Cry(DJMAX), version=44, uuid=51ac31a2-93fa-4da4-9440-1aef7fa96ff8)]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또는
기타 라이선스 (문서에 명시된 경우)
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07)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107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