떡밥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07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개인정보 처리방침 개정 안내
Dancin' Planet
(r1 편집)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목차] ||<-2><table bordercolor=#000><table align=center>[[DJMAX 시리즈|[[파일:DJMAX 로고(블랙).svg|width=100&theme=light]][[파일:DJMAX 로고(화이트).svg|width=100&theme=dark]]]]|| ||<-2><nopad> [youtube(0V92pzNSzLg)] || ||<width=100> {{{-1 '''수록 정보'''}}} ||{{{-1 [[DJMAX 온라인|DJMAX Online]]}}} {{{-3 (2005)}}} || || {{{-1 '''장르'''}}} ||{{{-1 Hybrid Core}}} || || {{{-1 '''BPM'''}}} ||{{{-1 132}}} || || {{{-1 '''작곡'''}}} ||{{{-1 [[PlanetBoom]]}}} || || {{{-1 '''BGA'''}}} ||{{{-1 Woong}}} || == 개요 == [[DJMAX 시리즈]]의 수록곡. 작곡가 [[PlanetBoom]]이 리듬게임에 처음으로 발표한 곡으로서, 향후 DJMAX 시리즈에 중요한 입지를 펼친 PlanetBoom의 데뷔곡이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는 곡이다. DJMAX 온라인 당시에는 BGA가 없었다. [[Knowledge System]], [[Eternal Memory]], [[Feel So Sad]] 등의 BGA를 제작한 NG가 그린 타이틀 이미지만이 있었는데, 북미 원주민풍의 복장을 한 남녀를 묘사하였다. BGA는 트릴로지에 수록될 때 제작되었으며, Woong이라는 명의의 일러스트레이터가 제작하였다. 온라인 쪽이 아이캐치 때문에 진지한 분위기를 띄운 반면, 신규 BGA는 카툰 스타일의 도시를 지키는 [[슈퍼히어로]]와 반대로 장악하려는 [[악의 조직]]과의 대결을 다룬 [[거대로봇물]]로 파일럿의 댄스 배틀로 로봇의 승패를 좌우하는 유머러스한 스토리다. == [[DJMAX 온라인]] == [youtube(-_9jA68F5Bk)] 7K MX MX 패턴이 나름대로 충실하게 짜여져 있어 의외로 자주 플레이하는 유저가 꽤 있던 곡이었다. 위 영상은 불법 구동기(오투매니아)로 찍은 것으로 보이며, MX 패턴임에도 하드 패턴의 타이틀 이미지가 출력된다. MX 타이틀 이미지는 그 두 사람 뒤로 고층 건물들의 실루엣이 드리우는 모습. == [[DJMAX Trilogy]] == ||<-5><table bgcolor=white,#26282c><table bordercolor=#069><bgcolor=#069> [[DJMAX Trilogy|{{{#white '''DJMAX Trilogy'''}}}]] || ||<rowbgcolor=#eef><color=#373a3c> '''모드''' ||<color=green> '''NM''' ||<color=blue> '''HD''' ||<color=#f80> '''MX''' ||<color=#d0d> '''SC''' || ||<bgcolor=#00a2e8><color=white> '''4K''' || 3 || 6 || - || - || ||<bgcolor=#0c0><color=white> '''5K''' || 7 || 10 || 12 || - || ||<bgcolor=yellow><color=#373a3c> '''6K''' || 5 || 9 || 12 || - || ||<bgcolor=#f08><color=white> '''7K''' || 6 || 11 || 14 || - || ||<bgcolor=#b800b8><color=white> '''8K''' || 9 || 13 || - || - || [youtube(D2GZxNHPYmw)] 7K MX == [[TAPSONIC WORLD CHAMPION]] == ||||<black> [[TAPSONIC WORLD CHAMPION|{{{#gold '''TAPSONIC WORLD CHAMPION'''}}}]] || ||<colbgcolor=#484848><rowcolor=#0f0> '''BASIC''' ||<colbgcolor=#565656> 5 || ||<rowcolor=#f88> '''PRO''' || 6 || ||<rowcolor=#f8f> '''LEGEND''' || 8 || [youtube(gDydw8iXRek)] Emotional Sense Vol. 2 팩에 수록되었다. == [[DJMAX RESPECT]] & [[DJMAX RESPECT V|V]] == [include(틀:DJMAX RESPECT/RESPECT/V)] ||<|2><table width=500><table bgcolor=#fff,#191919><table bordercolor=#d968d8><bgcolor=#d968d8><nopad> [[파일:Dancin' Planet_1.webp|width=100%]] ||<-4>{{{#!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cc00, #ec9f5a, #d968d8)" '''{{{#6c5002 RESPECT/V}}}'''}}} || ||<-4>'''{{{+5 Dancin' Planet}}}''' || ||<rowbgcolor=#ffcc00><rowcolor=white><width=80> 모드 ||<width=100> NM ||<width=100> HD ||<width=100> MX ||<width=100> '''SC''' || ||<colbgcolor=#d968d8><colcolor=white> 4B || [[파일:djmax_respect_star_yellow.svg|width=16]] 3 [br] {{{-5 278}}}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7 [br] {{{-5 484}}}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9 [br] {{{-5 745}}} || [[파일:djmax_respect_star_sc5.svg|width=16]] {{{#purple,#f21cc7 '''5'''}}} [br] {{{-5 1065}}} || || 5B || [[파일:djmax_respect_star_yellow.svg|width=16]] 3 [br] {{{-5 274}}}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7 [br] {{{-5 481}}} || [[파일:djmax_respect_star_red.svg|width=16]] 11 [br] {{{-5 842}}} || [[파일:djmax_respect_star_sc10.svg|width=16]] {{{#purple,#f21cc7 '''9'''}}} [br] {{{-5 1064}}} || || 6B || [[파일:djmax_respect_star_yellow.svg|width=16]] 4 [br] {{{-5 380}}}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7 [br] {{{-5 499}}} || [[파일:djmax_respect_star_red.svg|width=16]] 10 [br] {{{-5 855}}} || [[파일:djmax_respect_star_sc10.svg|width=16]] {{{#purple,#f21cc7 '''8'''}}} [br] {{{-5 1434}}} || || 8B || [[파일:djmax_respect_star_yellow.svg|width=16]] 6 [br] {{{-5 400}}} || [[파일:djmax_respect_star_orange.svg|width=16]] 9 [br] {{{-5 662}}} || [[파일:djmax_respect_star_red.svg|width=16]] 12 [br] {{{-5 970}}} || [[파일:djmax_respect_star_sc10.svg|width=16]] {{{#purple,#f21cc7 '''8'''}}} [br] {{{-5 1116}}} || ||<-5>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2px 5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cba2f7, #f8c25e)" {{{-3 *SC 난이도는 별도 난이도 체계를 사용.}}}}}} || 시즌 8 무료 신곡으로 업데이트되었다. BGA 리마스터는 [[SB_ENGINEER]]가 담당하였다. RESPECT V 2.0 업데이트로 SC 패턴들의 난이도가 조정되었다. (4B 6 → 5, 5B 10 → 9, 6B 10 → 8, 8B 10 → 8) === 4B TUNES === || {{{#white NM}}} || {{{#white HD}}} || ||<rowbgcolor=#d968d8><table bordercolor=#d968d8><table bgcolor=#ffcc00><nopad> [youtube(m_kXjQ2IpjY)] ||<nopad> [youtube(D5hrFXGrbmk)] || || {{{#white MX}}} || {{{#white '''SC'''}}} || ||<rowbgcolor=#d968d8><nopad> [youtube(UqtSqsKSuBA)] ||<nopad> [youtube(nu7yKKwljNU)] || 4B SC는 연타가 많이 나와 6레벨 중에서는 꽤나 어렵다고 평가받는다. === 5B TUNES === || {{{#white NM}}} || {{{#white HD}}} || ||<rowbgcolor=#d968d8><table bordercolor=#d968d8><table bgcolor=#ffcc00><nopad> [youtube(8x4YOhNe7X4)] ||<nopad> [youtube(KGh7t43RoZs)] || || {{{#white MX}}} || {{{#white '''SC'''}}} || ||<rowbgcolor=#d968d8><nopad> [youtube(Y3zFIW0EJTc)] ||<nopad> [youtube(7PyWlR1IV6c)] || 5B SC는 레이저와 롱잡 따닥이로 난이도를 올린 패턴이다. 초반부터 등장하는 레이저 패턴의 경우 1-3을 동치로 처리하고 이후 트릴로 처리하면 무난히 넘어갈 수 있지만, 롱잡 따닥이는 빼도박도 못하게 깡 지력으로 처리해야 하는데다가 심지어 등장하는 빈도도 높기 때문에 손에 가는 부담이 큰 편이다. === 6B TUNES === || {{{#white NM}}} || {{{#white HD}}} || ||<rowbgcolor=#d968d8><table bordercolor=#d968d8><table bgcolor=#ffcc00><nopad> [youtube(ILh-XxREEs8)] ||<nopad> [youtube(kQB2CusM4GI)] || || {{{#white MX}}} || {{{#white '''SC'''}}} || ||<rowbgcolor=#d968d8><nopad> [youtube(AArzOi5U6Lc)] ||<nopad> [youtube(LvQMdGys9D4)] || 6B SC는 무난한 10레벨 패턴으로, 어느 한 군데에서 두드러지게 어려워지거나 쉬워지는 구간이 없이 적당한 밀도의 패턴이 계속된다. 초반부에 연타가 많이 나와 연타에 약하다면 살짝 어려울 수 있으나 대체적으로 무난한 편이고, BPM이 낮기 때문에 겹계단-겹트릴 연습 곡으로도 사용하기 좋은 패턴이다. 다만 타 버튼 SC 패턴들에 비해 롱노트 사용을 간소화하였고 뒤에 깔리는 신스음이나 스크래치같은 키음들을 적극 차용했기 때문에 단노트 수가 많은 편. === 8B TUNES === || {{{#white NM}}} || {{{#white HD}}} || ||<rowbgcolor=#d968d8><table bordercolor=#d968d8><table bgcolor=#ffcc00><nopad> [youtube(spQjGPvLpfg)] ||<nopad> [youtube(dltbqO6DU_U)] || || {{{#white MX}}} || {{{#white '''SC'''}}} || ||<rowbgcolor=#d968d8><nopad> [youtube(W2sJoGzYw2E)] ||<nopad> [youtube(xl45SOAmQik)] || 8B SC는 타 버튼 SC 패턴들과는 판이하게 다른 방향성을 가진 패턴이다. 곡 내에 존재하는 박자들을 대부분 간소화하다시피 해 타 버튼 SC 패턴들과는 다르게 키음들이 메인 멜로디를 따라간다. 초반의 롱노트 패턴도 당황스러울 수 있지만 킬링 파트는 1:33초부터 등장하는 롱노트 구간으로, 떼는 타이밍은 디맥의 후한 판정 때문에 어느 정도 참작되는 경향이 있으니 일찍 떼지 않고 꼭꼭 눌러주는 것이 중요하다. 극초반 등장하는 R트리거 8연타 / L트리거 6연타 역시 주의해주자. BPM이 그렇게 빠르지 않기 때문에 최대한 정확하게 처리한다는 느낌으로 쳐주는 것이 중요. == 기타 == [youtube(JjoWZv9cbcY,start=2477)] 국내 게임 [[어스토니시아 스토리 2]]의 던전 BGM 중에 이 곡의 도입부와 상당히 유사한 것이 존재한다. 이에 대해서 표절이나 리마스터 라이센스 등 여러 추측이 가능하겠지만, 당사자들이 직접 밝힌 바는 없기에 정확한 내막을 알 수는 없다. [[분류:DJMAX의 수록곡]][[분류:TAPSONIC 시리즈의 수록곡]]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나무위키, title=Dancin' Planet, version=62, uuid=666972a5-609f-446c-af42-b633dfec6a6e)]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또는
기타 라이선스 (문서에 명시된 경우)
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07)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107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