떡밥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07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서버 점검 공지
|
개인정보 처리방침 개정 안내
Battle Brothers
(r2 문단 편집)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 평가 및 기타 == 출시 당시 스팀 사용자 평가에서 92% 긍정적의 좋은 반응을 얻었으며 수작 턴제 전략 게임으로 인디 게임 커뮤니티에서 상당한 주목을 받았다. 출시 후 상당한 시간이 흘렀으나 2020년 7월 기준 스팀 사용자 평가는 88%로 좋은 평가를 유지하고 있다. 출시 직후 제작진이 차기작 개발에 전념하기로 하며 한동안 업데이트가 없어져 버려진 게임처럼 취급되었으나, 제작진의 예상 이상으로 게임이 크게 성공하자 다시 관리를 시작했다. 린드웜 DLC를 무료로 제공한 것을 시작으로 야수와 탐험 DLC, 북방의 전사들 DLC, 불타는 사막 DLC를 연이어 출시했고, 살점과 믿음 DLC를 무료로 배포하는 등 지속적으로 컨텐츠가 추가되었다.[* 다만 제작사가 차기작 개발을 시작했다는 소식이 있기에 팬덤에서는 살점과 믿음 DLC가 사실상 마지막 DLC라고 보고있다. 살점과 믿음이 작은 볼륨의 무료 DLC로 나온 것도 차기작 개발에 전념해야하니 큰 볼륨의 DLC를 개발하긴 어렵지만 배틀 브라더스 콘솔판 출시와 함께 홍보 효과만 누리기 위해 가볍게 개발한 것이라는 추측이 유력하다.] 다양한 무기와 퍽, 적들이 등장하며, 샌드박스형 게임치고 상당히 다채로운 컨셉 플레이가 가능하고 여러 이벤트들이 있기에 몰입도가 상당하다. 어려운 난이도만큼 도전 욕구를 자극하는 점도 게임의 주요 매력이라 할 수 있다. 다만 치명적 단점을 꼽자면 여러모로 컨텐츠와 게임 메커니즘의 깊이가 부족하다. [[림월드]], [[마운트 앤 블레이드]] 등 다른 명작 인디 게임들이 스팀 창작마당을 통한 모딩 활성화 덕에 대성공한 면이 큰데, 배틀 브라더스는 [[하드코딩]]된 부분이 많아 모딩이 별로 활성화되어있지 않다는 것이 가장 큰 단점으로 꼽힌다. 별다른 모드가 없는 탓에 사실상 모든 후반위기와 전설 던전을 클리어하고 나면 컨텐츠가 고갈되어 기존과는 다른 여러 빌드로 용병을 육성해보는 [[파고들기]]말고는 해볼 것이 없다. 제작진이 겨우 5명[* 프로그래머, 마케팅 담당, 그래픽 담당, 사운드 담당, 스토리 작가], 그 중에서도 프로그래머는 단 1명의 소규모 팀인 관계로 하드코딩 문제를 해결해주리라고는 팬덤에서도 별로 기대하고 있지 않은 상황. 또, 현재 배틀 브라더스의 컨텐츠는 DLC가 5개씩 나와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다지 양적으로 많다는 느낌을 주진 못한다. 전투의 반복과 의뢰 수행을 통해 용병단을 육성하고 장비를 파밍하는 게 게임의 전부라면 전부. 물론 호평을 받는 전투와 육성의 기본 틀은 매우 훌륭한 게임이지만 그걸 반복하도록 받쳐주는 부가 컨텐츠는 그리 많지 않은 편이다. 장비 파밍도 아이템 체계가 아주 복잡하지 않으며, 디아블로처럼 아이템 종류나 옵션이 많은 게임은 아니라 오래가는 컨텐츠로 볼 수는 없다. 전투 그 자체에 꽂혀서 끝없이 게임을 리셋하며 레벨을 올리는데 열중하는 일부 유저, 혹은 아주 어려운 난이도를 자랑하는 전설적인 던전 컨텐츠를 제외하고 통상적으로 엔딩으로 간주되는 첫번째 위기를 클리어한다고 치면, 길게 잡아 100 시간 정도면 끝을 보는 구성이라고 할 수 있다[* 물론 기본 게임 난이도가 워낙 높아 100 시간을 넘겨도 첫번째 위기 클리어에 실패하는 사람들도 부지기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몬스터나 장비 아이템 추가, 탐험 이벤트를 추가 해주는 전투 관련 마이너 업데이트만 있었고, 영지 경영이나 봉신 제도, 정복전쟁 같이 게임의 수명을 늘릴 수 있는 근본적인 업데이트는 결국 이뤄지지 않았다. 단적으로 말해 DLC를 모두 설치한다 해도 도시를 왕복하면서 몇개 안되는 패턴의 의뢰를 수행하고 강도나 용병을 때려잡기를 끝없이 반복하는 게임의 단순한 양상 자체는 전혀 바뀌지 않는다. 그나마 불타는 사막 DLC에서 직업, 아이템 추가 외에도 지역, 팩션 추가, 투기장의 추가, 후반위기 추가 등으로 굵직한 컨텐츠가 보강되었고, 살점과 믿음에서 용병 강화와 서약 시스템이 추가되면서 플레이의 다채로움은 증가되었다고 볼 수 있다. 다만 이러한 DLC들이 게임의 근본적인 메커니즘 자체에 변화를 준 것은 아니며, 기존 시스템 및 컨텐츠에서 새롭게 추가된 부분은 별로 없다. 즉, 배틀 브라더스는 이미 완성된 게임이며 지역을 오가며 산적과 몬스터를 썰어가며 육성하다가 후반 위기를 극복하고, 또 육성을 하다가 위기를 극복하고, 심심하면 전설적인 장소에 도전하는 것으로 게임을 마치는 종류의 스타일은 거의 고정된 것이다. 이런 문제점을 해결해 줄, 배틀 브라더스의 대형 모드라고 할 만한 것은 [[https://www.nexusmods.com/battlebrothers/mods/60|레전드 모드]] 하나 정도인데, 그래픽 상 바닐라 컨텐츠와의 이질감이 너무 커서 호불호가 조금 갈리는 모드이다. 스팀 창작마당이 지원되지 않아 설치가 번거롭다는 것도 단점. 그래도 캠핑 활동과 여성 용병, 마법 사용 등 추가되는 컨텐츠들의 양이 많아서 원판의 얕은 플레이에 질린 유저들에게 호평을 받고 있다. 레전드 모드에 대해 알고 싶다면 [[https://legendmod.fandom.com/wiki/Legendmod_Wiki|레전드 모드 위키]]를 참조해보는 것이 좋다. 다만 위키이기 때문에 내용이 완전하지는 않다. 현재 넥서스 모드의 버전은 작동되지 않는 구 버전이고, 신규 버전은 [[https://discord.com/invite/44kFm4P|여기서]] 업데이트 중이다. 인지도가 낮은 게임임에도 국내 커뮤니티가 꽤 활성화된 편이다. [[http://m.dcinside.com/board/battlebrothers|배틀 브라더즈 마이너 갤러리]]는 상주 인구수에 비해 글리젠률이 상당히 높으며 질문도 잘 대답해주는 편[* 다만 완벽주의 성향의 플레이어들이 많아서 어지간하면 절하고 쓸만한 용병을 가져와도 론울프급 유망주가 아니라면 평가가 박한 경우가 많으니 유망주를 봐달라고 할 때에는 적당히 가려듣자.]. 어떤 빌드가 더 좋은지에 대한 토론이 끊임없이 일어난다. 아이템이나 이벤트에 관한 정확한 정보를 얻고 싶다면 나무위키의 각 항목들보다는 [[http://battlebrothers.wikia.com/wiki/Battle_Brothers_Wikia|영문 위키]] 쪽이 업데이트도 더 빠르고 정확하다. 배틀 브라더즈 마이너 갤러리에서 본편의 한글패치와 레전드 모드의 한글패치를 찾을 수 있다. DLC에서 추가된 퀘스트나 장비 명칭을 제외한 기본적인 문장들은 한글화가 거의 되어 있는 편이고 지속적으로 업데이트가 이뤄지고 있다. 그 외에도 판타지 이벤트 모드, 쵸즌 모드, 도적 용병단 모드 등 갤에서 만들어진 모드도 공유중이다.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또는
기타 라이선스 (문서에 명시된 경우)
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07)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107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