떡밥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07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서버 점검 공지
|
개인정보 처리방침 개정 안내
Arcaea
(r6 문단 편집)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 여담 == * 본디 [[osu!]]의 태고 비트맵을 안드로이드에서 구동시켜주는 [[T-Aiko!]] 앱의 개발진들이 모여서 만든 게임이다. 스탭 롤에도 Special Thanks 란에 All T-aiko! users라는 문장이 있다. * 게임명인 'Arcaea'는 아케아로도 부른다. 공식 명칭은 아르케아이나 이 역시 일부 혼용되고 있다. * 게임 자체가 '''개인차가 너무 심하다'''고 평가를 받는다. 레벨과의 괴리가 큰 곡은 그리 많지 않아서 [[Arcaea/난이도 표기 문제]] 문서에는 상대적으로 명시되어 있지 않으나, 레벨 내에서의 난이도 평가는 유저들이 모두 제각각 평가가 다를 정도. 그 이유로 크게 두 가지를 들자면, 같은 위치에서 좌우로만 이동하는 리듬게임만 하던 유저들이 이런 '''상하로 이동하는''' 리듬 게임에 적응하는 것이 1차로 난관이 되고, 터치 디바이스에 비벼서 쳐야 하는 아크 노트가 구동 기기와 플레이 환경에 따라 인식 정확도가 요동치는 것이 2차로 난관이 되기 때문이다. * 구버전 게임 아이콘은 [[PRAGMATISM]] 자켓의 일부분, 3.0 아이콘은 [[Lost Desire]] 자켓의 일부분이다. 4.0 이후 현재 아이콘은 [[Last(Arcaea)|에필로그 팩의 두 번째 악곡]] 자켓의 히카리 얼굴. * 닉네임은 [[https://arcaea.lowiro.com|이곳]]에서 로그인을 하고 변경이 가능하며, 100메모리가 소모된다. * 파트너 캐릭터들이 흔히 말하는 미소녀 풍에다가 파트너 이름도 일본어인 경우가 많고 수록곡도 일본 노래가 대부분이다 보니 이 게임을 일본산 게임으로 착각하는 사람들이 몇몇 있지만 사실 영국 게임이다.[* 다만 메인 일러스트레이터 시에라는 일본인이 맞다.] * 16:10 화면비율을 오랫동안 지원하지 않아서[* 게임 자체는 아이패드의 4:3 비율에 최적화되어 있다.] 갤럭시 탭S 시리즈의 경우 위아래로 [[레터박스]]가 생겼었는데, 2021년에 v3.9 업데이트로 이 문제는 해결되었다. * 게임 결과창에서, 같은 Pure Memory라도 이론치일 때와 이론치가 아닐 때에 표시에 아주 약간의 차이가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사실 결과창에 진입하기 전에도 마지막 노트 처리 후에 표시되는 점수에 음영이 변한다.] || [[파일:Arcaea_Theoretical Maximum_Edited.png|height=250]] || [[파일:Arcaea_Theoretical Maximum_Comparison_Edited.png|height=250]] || || 이론치 달성 시. 점수 뒤편의 음영이 파란색이다. || 이론치 미달성 시. 점수 뒤편의 음영이 회색이다. || * 게임 제목이 [[고균]]을 뜻하는 "Arc'''h'''aea"와 이름이 매우 흡사해 YouTube나 Google 검색 시 Archaea로 자동수정되는 경우가 있다. * [[사운드 볼텍스]]와 유사한 점이 많다. 사운드 볼텍스의 노브와 비슷한 아크 노트의 존재[* 몇몇 채보에서는 아예 직각으로 꺾이는 구간이 있어 더욱 사운드 볼텍스와 비슷하다.], 일반 노트 레인이 4개인 점, 아크 노트 따라 좌우로 기울어지는 트랙, 게이지가 70%이상일 때 클리어, Far 판정 시 Early, Late 판정의 존재, 해금을 위한 '조각'의 존재 등등. 실제로 게임을 직접 플레이해본 플레이어들의 반응을 들어보면 "이거 모바일판 사볼 아니냐"라는 말이 많이 나온다.[* 물론 완전히 같지는 않다. 예로 들자면 사운드 볼텍스에서 직각노브 처리 후 레일이 회전하는 악곡이 있으나, Arcaea에서는 [[Ignotus#AFD|Ignotus Afterburn]], [[Red and Blue#s-1.2.1|Red and Blue and Green]]같은 만우절 채보를 제외하면 그런 큰 회전은 존재하지 않는다.] * 마찬가지로 [[CHUNITHM]]과도 비슷한 점이 많은데, 스카이 노트는 츄니즘의 에어 노트를 연상시키며, 월드 진행은 츄니즘의 마스 해금 시스템과 유사하다.[* 해당 시스템으로 곡 및 캐릭터를 해금한다는 점과 곡을 플레이한 리절트로 스텝 / 마스를 진행시킨다는 점에서 유사하다.], 포텐셜 산출 방식도 츄니즘의 레이팅 산출 방식과 완벽하게 일치했'''었'''다.[* 지금은 v3.0 이후로 산출 방식이 다소 변경되었다.] * 코미케 C92에 참가하였다. 300엔 이상 구입시 신곡 [[Auxesia]]의 선행해금 시리얼 코드를 주었고, 지금은 Memory 해금곡이 되었다. [[:파일:arcaea_c92.jpg|이미지]] * BIC페스티벌2017에 참가하였다. 1.5 패치에 추가된 'Under Construction/World'을 선행체험할 수 있는 기회도 제공되었다. [[:파일:arcaea_BIC2017.jpg|이미지]] * Tokyo Game Show 2018에 참여하여 [[Alexandrite]]의 선행해금 코드를 주었고, 이 곡도 지금은 Memory 해금곡이 되었다. [[https://twitter.com/arcaea_en/status/1040435354229067777|트윗]] * 시시때때로 핵 유저가 발견되곤 한다. [[Fracture Ray]]의 이론치 유저가 원래 1명이던 시기에 핵을 사용해서 이론치를 찍은 유저나 최근 추가된 보스곡 [[Tempestissimo]]의 비욘드 이론치를 찍은 유저[* lowiro에서 사실 확인을 끝낸 후 랭킹에서 삭제한 건 아니지만, [[Sheriruth]] FTR 최고 점수가 980만 점도 안 되면서 동시에 [[Halcyon]] FTR 이론치-4점, [[Grievous Lady]] FTR 이론치-20점 등 정상적인 플레이로 실력을 키운 유저라기엔 너무나 비현실적이다. 따라서 이 성과들 역시 가짜라고 여기는 여론이 우세한 상황. 게다가 이 유저가 핵으로 세운 것으로 의심되는 다른 기록들은 대놓고 티내지는 않는 점수라 들키지 않으려고 비교적 노력했음을 알 수 있다.] 등 대놓고 "나 핵이요." 수준으로 사용하는 유저도 보이는데, 실제 핵 사용 유저가 얼마나 되는지는 전혀 알 수 없는 점은 우려할 만한 상황. [[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arcaea&no=28866&_rk=tDL&search_pos=-36322&s_type=search_all&s_keyword=%EC%A3%BC%EC%9E%91&page=1|심지어 ARCAEA 마이너 갤러리에서도 한 번 터진 적이 있었다.]][* 본 링크는 글쓴이가 자신이 지목하는 상대가 핵이 맞다는 주장을 펼치는 글이다. 실제 해명글은 삭제된 상태. 그가 말하길 손목 부상을 당해 실력이 나아지지 않자 그릇된 욕심에 핵에 손을 댔다고 밝혔고 이후 탈갤했다.] * 친구추가를 할 때 자신의 아이디를 입력하면 ‘자기 자신은 친구로 등록할 수 없습니다 (;ㅅ;)’라는 문구가 뜬다. * 또 000000001을 입력하면 히카리를, 000000002를 입력하면 타이리츠를 친구로 추가할 수 있는 이스터 에그가 있다.[* 이 둘의 포텐셜은 6.16으로 동일하며, 고로아와세로 로위로라고 읽을 수 있다.] * [[Arcaea/Nintendo Switch|Nintendo Switch 에디션]]에서 EX 이상의 점수를 냈음에도 불구하고 포텐셜이 떨어지는 버그가 있었다.[* 예시:[[https://twitter.com/LAUR1200/status/1394641919242764290|Laur의 트위터]]] * Apple 측에서 인앱결제 수수료를 인상한 이후, 웹페이지에서 메모리를 결제할 수 있게 되었다. [[Stripe]]의 결제시스템을 이용하기 때문에 그 악명 높은 '''[[자국 통화 결제|DCC]]'''에 의한 수수료가 무조건 걸린다. 또한 카드사 별로 수수료 산정 기준이 다르기 때문에 잘못하면 수수료 폭탄을 맞을 수 있다. 해외결제 수수료 산정 기준이 '''건당 0.5달러'''인 카드사는 피해야 한다. iOS, Android 할 것 없이 가격이 인상되었기에 수수료가 지나치게 높은 카드사를 통해 결제하는 것이 아니라면 웹 페이지에서 메모리를 결제하는 것이 이득이다. * 2023년 3월 21일부터 대한민국 내 [[Apple Pay]] 서비스가 개시됨에 따라 웹 결제 시에도 Apple Pay를 이용할 수 있게 되었다. 웹 결제 페이지로 이동해서 Apple Pay 아이콘을 누르면 바로 결제할 수 있다. Stripe에서 기본적으로 Apple Pay 결제 서비스를 제공하기 때문에 동일하게 이용 가능한 것. 다만 한국 카드로 Apple Pay 결제를 진행해도 DCC적용은 동일해 메모리 결제 시 DCC 차단을 일시적으로 해제해야 한다. * 예나 지금이나 콜라보레이션에 굉장히 적극적인 행보를 보여주고 있는데, 전체 운영 6년 동안 도합 11개의 리듬게임으로부터 76개[* 콜라보 팩이 아니더라도 콜라보 일환으로 온 곡 포함]의 곡을 이식 받았다. 전체 곡이 300개 가량이니 콜라보 곡 비중이 20%나 되는 셈. 원작 재현을 위한 기믹 구현 역시 충실하게 하는 편이다. [[Stasis]]와 같이 Arcaea에 어울리게 잘 구현하는 경우도 있긴 하지만, [[April showers]]의 슬라이드 재현 아크와 같이, 외적 맥락을 배제하고 Arcaea 채보로서 볼 때, 뜬금없거나 어색한 패턴도 적지 않다. * 4.4.6 패치로 악곡 검색 기능이 추가되었는데, 한국어 검색 또한 지원한다. 정확히는 제목을 한글로 음차하여 입력하면 해당하는 곡이 검색된다. 이외에도 원제목이 일본어인 경우 한국어 번역으로도 검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不浄な白い鳥|Impure Bird]]의 경우 '부정한 하얀 새'를 입력하여 찾을 수 있다. * 게임명인 Arcaea를 [[QWERTY|쿼티]] 키보드로 입력할 경우에 각 철자가 모두 왼쪽 부분에 있어 키보드가 어느 정도 크다면 왼손만 사용하게 된다. * 대부분의 팩에는 빛 테마 곡과 대립 테마 곡이 적절히 섞여 있으나, Crimson Solace, Luminous Sky 팩에는 빛 테마의 곡만, Absolute Reason, Absolute Nihil, Vicious Labyrinth 팩에는 대립 테마의 곡만 들어 있다.[* Luminous Sky와 Vicious Labyrinth 팩은 스토리상 어쩔 수 없었던 부분이긴 하나, Absolute Reason과 Crimson Solace는 딱히 큰 이유가 없어 특이한 케이스이다. 특히 Absolute Reason의 경우 다른 팩에 빛 테마를 사용하는 곡이 있지만 Crimson Solace는 대립 테마 자체가 없고 빛 테마만 존재한다.] 또한, 2025년 현재까지 만우절 곡은 전부 대립 테마이고, Arcaea Song Contest 대상 수상곡들은 전부 빛 테마이다.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또는
기타 라이선스 (문서에 명시된 경우)
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07)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107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