떡밥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07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서버 점검 공지
|
개인정보 처리방침 개정 안내
Arcaea/시스템
(r1 문단 편집)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 아크 노트 === '''Arc''' 아크가 판정선에 도착할 때 해당 아크의 위치를 터치하고 있으면 된다. 즉, 손가락을 댄 상태로 판정면에 생기는 마름모를 끝까지 따라가면 된다. Arcaea, 더 나아가 리듬게임 전반의 다양한 노트들 중에서도 그 성질이 복잡한 편인데, 몇몇 고난이도 채보와 거의 모든 BYD 채보는 아크의 성질을 어느 정도 알 것을 전제로 하는 패턴을 가지기에 게임을 여러 번 직접 해보며 숙지할 필요가 있다. 홀드 노트와 같이 Far 판정은 없지만, 손가락을 떼면 대부분의 경우 Lost 판정이 나서 반대편으로 횡단을 해도 끝까지 따라가야 하기 때문에 이때 손이 꼬이면서 난이도가 급상승한다. 고렙곡들의 경우, 이 시스템을 이용한 처리하기 어려운 패턴(손꼬임 등)이 자주 등장하기에 난이도 상승의 주 원인이 되는 경우가 매우 많다. 아크 판정에 관한 게임의 시스템이 복잡한데다 터치 디바이스의 특성과 기기 편차 때문에 씹힘이 잦은 노트이기도 하다. [[https://m.dcinside.com/board/arcaea/4880|[[파일:디시인사이드 아이콘.svg|width=20]]아크 터치 씹힘의 이유]] 대부분의 채보에서 파란색은 왼손, 빨간색은 오른손으로 처리하는 것이 더 유리하도록 설계되어있다.[* 이 성질을 극단적으로 활용하는 예시로 [[Red and Blue#Arcaea]]의 FTR 및 BYD 채보가 있다.] 다만, 한 손으로 여러 색의 아크를 잡도록 설계된 경우[* 대표적으로 [[qualia -ideaesthesia-]]나 [[Stasis]] FTR 후살 직후 등이 있다.], 오히려 거꾸로 잡는 것이 더 편한 경우[* 대표적으로 [[inkar-usi]] BYD 중반과 후반의 손을 꼬아 처리하는 아크(이쪽은 개인차가 좀 있다.), [[Breach of Faith]] BYD 극초반 아크 등이 있다.], 어느 쪽으로 잡으나 상관 없는 경우[* 대표적으로 [[Relentless]] FTR 중반과 [[Ether Strike]] FTR 중반이 있다.] * [[색약]] 옵션을 선택하면 빨간색은 노란색으로, 파란색은 조금 더 진한 군청색 가까운 색으로 변한다. [[Red and Blue]] 채보 명의에서도 RED가 YELLOW로 바뀐다. 홀드 노트와 마찬가지로 곡의 BPM에 비례하여 판정이 들어가기 때문에 마지막 틱이 처리된 이후로는 누르지 않아도 된다. 다만 아크는 홀드와는 달리 여러 가닥의 아크가 한 개처럼 보이도록 붙어있을 수도 있기 때문에, 길이에 비해 틱이 빨리 올라가는 경우도 있다. 예를 들면, [[Heavenly caress]] FTR 및 [[Aegleseeker]]의 FTR 등에 나타나는 지그재그 아크의 경우 각 선분이 1틱만큼만 차지하는 경우가 많기에 굳이 지그재그의 모양을 따라 그릴 필요 없이 한 지점만을 누르고 있어도 다 처리된다. 또한 [[PRAGMATISM -RESURRECTION-]]과 [[Heavensdoor]]의 BYD 난이도에 존재하는 짧은 아크 여러 개를 붙여 만든, 소위 고밀도 아크라고 불리는 것 등이 있다. 아크를 잡던 중 손에서 탈선하는 경우, 손가락을 화면에서 떼지 않고 제 시간 안에만 잡아주면 보정 덕분에 놓치지는 않는다. 꼭짓점이 확실히 드러나는 아크가 아닌 이상 보정은 가능하다. 손가락을 떼었다가 다시 잡은 경우 아크가 빨갛게 변하면서 잠시 LOST가 뜬다. 그런데 두 손가락 이상을 대고 있다가 원래 아크 잡던 손가락이 아닌 다른 것으로 아크를 잡으면 아크가 통째로 날아가니 주의가 필요하다. 단, 다시 원래 잡던 손으로 잡는 경우 다시 칠 수 있다. [[Malicious Mischance]] FTR, [[Vexaria]] BYD의 초반처럼 같은 색깔의 아크 여러 개가 연이어 등장할 경우 하나하나를 다 누를 필요가 없고 한 번의 터치로 전부 처리가 가능하다. 그러나 다른 색깔의 아크는 위에서 언급한 성질 때문에 이런 식으로 처리할 수 없으며, 위에 서술된 [[qualia -ideaesthesia-]]나 [[Stasis]]의 FTR 채보 등과 같이 한 손가락으로 여러 색의 아크를 누르도록 유도하는 경우 아크의 색이 바뀔 때마다 손가락을 뗐다 다시 터치해야 한다. 색깔이 다른 두 아크의 히트박스가 겹치는 동안에는 어떤 손가락으로 그 아크를 누르든 PURE로 처리된다. 따라서 [[LAMIA#Arcaea]] FTR의 초반부같이 서로 다른 두 아크가 꼭 붙어있는 경우라면 한 손가락만으로 처리할 수도 있다. 아크가 한 점으로 모인 경우에는 인식을 못해서 손을 바꿔도 문제없지만, 문제는 둘 사이의 거리가 애매하게 잡힌 경우다. 이 때 인식에 오류가 발생할 경우 손을 바꾼걸로 간주되기에 아크의 마름모 가장자리를 잡아 주는 것이 좋다. 대표적인 예는 [[Essence of Twilight]] FTR의 중반 파트다. 아크로 특정 모양을 그리기도 한다. 대표적으로 작곡가 [[Puru]]의 곡[* [[Snow White(BMS)|Snow White]], [[Grimheart]], [[Filament(Arcaea)|Filament]], [[Trap Crow]]]에서 등장하는 동그라미를 그리는 방식의 패턴이 있다. [[world.execute(me);#Arcaea]] 채보에서는 가사 내용을 따라 점, 원, 사인곡선, 수렴 그래프를 그리는 방식의 패턴도 나온다.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또는
기타 라이선스 (문서에 명시된 경우)
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07)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107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