떡밥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07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서버 점검 공지
|
개인정보 처리방침 개정 안내
Arcaea/시스템
(r1 문단 편집)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 레벨별 특징 === 표기 레벨이 ?인 만우절 한정 패턴들을 제외한 모든 패턴의 레벨은 1~12의 숫자로 표기되어있으며, 레벨 7~12 사이에는 레벨 7+, 8+, 9+, 10+, 11+이 있어 표기 난이도가 더 세분화된다. 각 패턴별로 표기된 난이도 말고도 유저들 사이에서 Base Potential, 또는 보면 상수라고 불리는 숨겨진 난이도가 존재한다. 이 난이도는 다음과 같이 세분화된다. ||<table bordercolor=#ccc,#333><table bgcolor=#fff,#1f2023><rowbgcolor=#eee,#25282a> 표기 레벨 || Base Potential || || 1 ~ 7 || 1.0 ~ 7.5[br]{{{-2 0.5 단위}}} || || 7+ || 7.8 || || 8, 9, 10 || x.0 ~ x.6[br]{{{-2 0.1 단위}}} || || 8+, 9+, 10+ || x.7 ~ x.9[br]{{{-2 0.1 단위}}} || || 11 || 11.0 ~ 11.7[br]{{{-2 0.1 단위}}} || || 11+ || 11.9 || || 12 || 12.0 || 게임 내에 다양한 패턴이 존재하고 개인차가 있기에 꼭 들어맞진 않지만, Base Potential은 '어느 정도 이상의 Potential을 가진 유저가 이 곡에서 수월하게 AA 이상의 랭크를 달성할 수 있는지'를 나타낸다고 생각하면 된다. 각 레벨별 대략적 특징은 다음과 같다. 참고로 패턴 개수애 대한 이 문단의 내용은 v5.4.0을 기준으로 서술되어있다. 한 레벨마다 많게는 100개가 넘는 곡이 있고, 각 곡마다 다양한 패턴을 가지고 있기에 아래의 서술을 해당되는 레벨을 가진 모든 곡 하나하나에 적용할 순 없다는 점에 유의하자. 이러한 부분에 대해서는 [[Arcaea/난이도 표기 문제]]를 참조하면 좋다. * '''1''': 노트가 한 마디에 하나 꼴로만 등장하며, 동시치기가 적고, 등장해도 두 노트가 같은 종류의 노트인 경우가 많다. 아크의 이동 방향이 바뀌는 빈도도 매우 적다. 다른 리듬게임을 해본 적이 없는 초심자라면 여기서부터 시작하는 편이 좋다.[br]Past 난이도밖에 등장하지 않으며, 그마저도 채보의 수가 13개[*튜토리얼 [[Tutorial(Arcaea)|Tutorial]] Past 난이도 포함 시 14개] 뿐이고, 새로운 채보가 등장하는 빈도가 매우 드문 레벨이다. * '''2''': 레벨 1에 비해 노트의 밀도가 높아진다. 노트 밀도가 레벨 1에 비해서 2배 정도 늘어서 일반적으로 두 박자에 하나 꼴로 등장하는 게 보통이며, 한 손으로는 홀드 또는 아크를 처리하면서 다른 한 손으로는 플로어 노트를 처리해야 하는 패턴이 조금씩 등장한다. 아크의 움직임이 레벨 1보다는 복잡해지지만, 이동 방향이 빠르면 두 박자에 한 번 꼴로 바뀌어 단순한 편이다.[br]레벨 1과 마찬가지로 Past 난이도밖에 존재하지 않으나, 72개의 곡이 존재하고, 새로운 채보는 꾸준히 등장하고 있다. * '''3''': 레벨 2에 비해서 노트 밀도가 다시 2배 증가하여 플로어 노트가 한 박자에 한 번 꼴로 등장하고, 아크의 이동 방향이 바뀌는 속도도 빨라져 멜로디를 제대로 표현하기 시작한다. 아크의 손이동 폭도 커져 레벨 2까지와는 다르게 왼손이 화면의 오른쪽에, 오른손이 화면의 왼쪽에 가도록 유도하는 패턴이 많아지며, 아크가 나오고 있는 도중에 새로운 아크가 시작되거나 홀드, 플로어 여러 개가 등장하는 등 채보의 복잡성이 보다 올라간다.[br]Past 난이도의 채보가 166개로, 가장 많은 Past 난이도 패턴이 속한 레벨이기도 하다. Present 난이도도 [[九番目の迷路|Maze No. 9]]와 [[Fairytale]]의 두 개가 존재하지만, 전자는 레벨 2까지 없던 스카이 노트가 매우 많고 후자는 플로어 노트의 배치가 복잡해 레벨 3을 갓 시작한 유저에게는 적절하지 않다. Present 이상의 난이도에서만 등장하는 요소를 설명하는 곡인 [[Tutorial(Arcaea)|Advanced Tutorial]] 조차도 레벨 4의 곡이다. * '''4''': 레벨 3에 비해 동시치기와 엇박의 비중이 늘어난다. 레벨 3까지는 홀드 노트와 플로어 노트 여러 개가 나올 경우 한 번에 한두 레인만 사용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었지만, 레벨 4부터는 모든 레인에 고루 나오기 때문에 플로어 및 홀드 처리 시에도 손 이동을 자주 해야 한다.[br]Past 난이도 152개, Present 난이도 12개[*튜토리얼2 [[Tutorial(Arcaea)|Advanced Tutorial]] Present 난이도 포함 시 13개]로 아직은 Past가 많은 편이다. * '''5''': 8비트 연타가 조금씩 등장하기 시작한다. 아크의 이동 속도가 레벨 4까지에 비해 빨라지고, 한 손이 아크나 홀드를 처리하는 동안 다른 한 손은 플로어나 스카이 노트를 처리해야 하는 원핸드 패턴이 본격적으로 등장하기 시작한다.[br]Past 난이도 41개, Present 난이도 52개로, Past 난이도 패턴이 레벨 4까지에 비해 매우 적어진다. * '''6''': 5레벨에서는 가끔씩 나오는 8비트 패턴의 빈도가 더욱 증가하며, 8비트 패턴 중 손 이동이 필요한 경우도 많아진다. 레벨 5까지는 아크 두 개가 동시에 나오면 이동 방향이 똑같고, 아크가 다른 종류의 노트와 같이 나오면 정지해있는 경우가 많지만, 레벨 6 부터는 동시에 나오면서 다른 방향으로 이동하는 아크나 다른 노트와 같이 나옴에도 움직이는 아크가 잦아져 아크 처리 시 양손의 움직임을 따로 생각할 필요가 커진다. 다른 리듬게임을 많이 플레이해봤지만 아르케아는 처음인 경우 여기서 시작하는 편이 좋다.[br]Past 난이도는 5개 뿐이며, Present 난이도는 141개다. * '''7''': 레벨 6에 비해서 노트 밀도가 더욱 증가하며, 12~16비트 트릴등 8비트보다 더 쪼개진 노트가 조금씩 등장하기 시작한다. 아크의 이동 방향이 레벨 6까지에 비해 확실히 빨리 바뀌기 시작해, 한 박자에 한 번 꼴로 수 마디동안 계속 방향이 바뀌기도 할 정도다. 레벨 6까지는 플로어 노트와 스카이 노트가 섞여서 등장하는 경우가 적었지만, 레벨 7부터는 이런 경우가 많고, 스카이+플로어 노트가 동시치기 패턴으로 나오는 경우도 많아진다. 그리고 홀드+아크를 처리하면서 다른 한손으로 스카이나 플로어 노트를 처리하는 원핸드 패턴에서 노트의 밀도가 증가한다. Future 난이도의 최저 레벨이기도 하다. [br]Past 난이도는 4개, Present 난이도는 116개, Future 난이도는 7개다. * '''7+''': 레벨 7에 비해서 16비트 트릴의 빈도하고 8비트 동시치기 패턴이 증가하며, 아크의 이동 폭이 커진다. 아크의 손꼬임 빈도도 증가한다. 그리고 단타-동시치기 패턴이 섞여 있는 플로어 패턴이 본격적으로 등장하는 레벨이다. 그리고 한 손으로 아크, 홀드를 처리하고 있는 동안 다른 한손으로 스카이 노트, 플로어 노트를 처리하는 원핸드 패턴에서 8비트 노트의 빈도가 증가한다. Past 난이도는 1개[* [[Testify|Fatal Choice 곡]]] 뿐이고, Present 난이도는 63개, Future은 14개가 있다. * '''8''': 여기서부터 각 곡마다 아크곡, 개박곡과 같이 패턴의 성격이 조금씩 갈리기 시작하고, 난이도도 빠르게 올라간다. 16비트의 단순한 폭타가 본격적으로 등장하며, 8비트 패턴의 경우 스카이와 플로어가 비교적 복잡하게 섞인다. 레벨 7까지는 찾아보기 힘든 아크를 이용한 손꼬임 패턴이나 최상단이 아닌 높이에 있는 스카이 노트의 빈도가 높아진다.[* 다만 레벨 5에도 최상단이 아닌 높이의 스카이 노트가 나오는 곡이 있다. [[Flashback(Arcaea)|Flashback]] PRS가 대표적인 예.][br]Present 난이도 41개, Future은 47개, Eternal은 [[Sayonara Hatsukoi|1개]]가 있다. * '''8+''': 레벨 8이 패턴의 성격이 조금씩 갈리기 시작하는 레벨이라면, 레벨 8+은 본격적으로 패턴의 성격이 확연히 차이가 나기 시작한다. 노트 위주의 채보의 경우 복잡한 16비트 폭타가 조금씩 등장하며, 까다로운 박자도 단노트로 적극적으로 표현하기 시작한다. 아크 위주의 채보의 경우 본격적으로 화면 전체를 사용하는 원핸드, 격한 손꼬임 등이 나온다. 9레벨 이상에서 난이도를 올리기 위해 자주 나오는 패턴들이 등장하기 시작하므로 이를 대비하기 위한 연습을 하기 좋은 레벨이다. 일부 채보의 경우 어중간한 9 하위보다 어렵게 나오는 경우가 많아 주의가 필요하다.[* 대표적으로 Present 8+레벨은 Present 9레벨의 상징성으로 인해 충분히 9를 받을 만한 난이도임에도 어쩔 수 없이 8+을 배정 받은 경우가 잦으며, Eternal이 존재하는 Future 8+레벨도 열화가 덜 되어 8+ 치고 어렵다는 평이 많다.] Present 난이도는 16개, Future 난이도 40개, Eternal 난이도 4개가 있다. * '''9''': 16비트 패턴 중 손이동의 빈도가 잦아져 레벨 8보다 더 복잡해진다. 아크 또는 홀드 처리 중 다른 한 손으로는 건너편에 있는 노트를 처리해야 하는 일이 잦아지고, [[Avant Raze]]나 [[フライブルクとエンドロウル|Flyburg and Endroll]]처럼 복잡한 모양의 아크가 등장하기도 한다. 최상단이 아닌 높이에 있는 스카이 노트도 여기서부턴 자주 등장한다. 현재 Present 난이도의 최고레벨이다. [br]Present 난이도는 11개밖에 존재하지 않으며, Future 난이도 119개, Eternal 난이도 6개, Beyond 난이도 11개로 가장 많은 Future 난이도 패턴이 속한 레벨이기도 하다. * '''9+''': 16비트 패턴의 복잡도가 더욱 증가하기도 하고, 8비트 패턴의 경우 스카이와 플로어 노트가 서로 매우 많이 섞이고 동시치기도 많아진다. [[Einherjar Joker]]과 같은 체력곡도 등장하고, [[Corruption(Arcaea)|Corruption]]처럼 손을 꼰 상태에서 섬세한 손 이동을 요구하는 아크도 등장한다. 유독 이상한 패턴이나 [[불렙곡]]이 많아 가끔 '''쓰레기통 난이도'''라고 불리기도 하다.[br]Future 난이도 98개, Eternal 난이도 11개, Beyond 난이도 14개[* 특수 파트너로만 플레이 가능한 [[Last(Arcaea)#Beyond (Last \| Eternity)|Final Verdict 팩의 히든곡]] 포함]이다. * '''10''': 이 레벨부터는 곡마다 다른 곡에서는 좀처럼 찾기 힘든 특징적인 패턴이 등장한다.[* [[[\X\]]]가 출시될 즈음부터 이러한 패턴들이 더 많이 부각되고 꼬인 트릴들이 레벨 10 하위권~중위권에 많이 등장하면서 레벨 10 패턴들의 가독성이 레벨 10+에 비해 더 낮아지는 기현상이 일어났다. 오히려 레벨 10+은 고속트릴, 따닥이, 4동타가 많이 등장하면서 가독성이 높아지고 있다.] 16비트 패턴에서도 플로어와 스카이가 자주 섞여 더욱 읽기 까다로워지고, 아크의 움직임도 많이 까다로워진다. BPM이 170을 넘어가는 곡이 대부분이고, 그렇지 않은 곡도 [[따닥이]]나 24비트같은 빠른 패턴이 심심찮게 등장하므로 어느 정도 체력도 필요하다.[br]Future 난이도는 92개, Beyond 난이도는 18개, Eternal 난이도는 12개이다. * '''10+''': 아크가 더욱 복잡해지고 틀리기 쉬워지며, 폭타 역시 어지간히 숙련된 플레이어라도 처음에는 읽기 어려운 복잡한 배치가 자주 등장한다. 여기에 대부분의 곡이 따닥이나 고속트릴 등의 빠른 연타를 요구하는 패턴을 하나씩은 가지고 있다. 쉬는 구간조차 레벨 8~9급은 되는 복잡도를 유지해 기본기가 부족하다면 제대로 처리할 수 없다. 레벨 10 까지는 [[Grievous Lady|Vicious Labyrinth 팩 Anomaly 악곡]]의 PRS나 [[Ether Strike]] FTR 등 단순한 형태로만 존재하던 3개 이상의 손가락을 사용하는 패턴이 복잡한 형태로 등장하기도 한다.[br]Future 난이도는 28개, Eternal 난이도는 9개, Beyond 난이도는 5개로 레벨 10까지에 비해 곡 수가 확실히 적다. * '''11''': 이 패턴을 가진 수록곡의 BPM의 최솟값이 [[PRAGMATISM -RESURRECTION-]]의 174이고 변속곡 2곡[* [[World Ender|Final Verdict 팩 3번째 악곡]]의 180~290, [[Pentiment|Final Verdict 팩 4번째 악곡]]의 200~222. 이 곡들도 BPM이 매우 높다!]을 뺀 평균이 '''208'''이라는 고BPM 곡들만 포진해 있어 높은 수준의 체력을 요구한다. 레벨 10+까지에 비해 8비트 동시치기의 비중이 늘어나며, 이 동시치기가 16비트 따닥이와 매우 복잡하게 섞여 패턴이 난해해진다. 폭타 중 손 이동 거리도 굉장히 멀어지고 동선도 복잡해진다. 손 꼬임 중에도 빠르고 정교한 손 이동이 필요해진다. 한손 12비트와 같은 빠른 연타를 요구하는 패턴이 모든 곡에 등장한다. [br]Future 난이도 8개, Eternal 난이도 3개, Beyond 난이도 7개로 그 수가 매우 적은 편이다. 해금 과정도 까다롭고, 스토리상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 '''11+''': [[Designant.|Ascension 곡]]의 Beyond 난이도만이 존재하는 레벨이다. * '''12''': [[Testify|Fatal Choice 곡]]의 Beyond 난이도만이 존재하는 레벨로, 레벨 11에 비해서 노트 배치의 밀도와 복잡성 등이 더욱 증가하며, 3개 이상의 손가락을 사용해야 하는 패턴의 복잡도가 눈에 띄게 상승해, 이러한 패턴 도중에도 손교차가 일어나기도 하며, [[Red and Blue and Green]]의 만우절 채보에서나 볼 수 있던 5개의 손가락을 사용하는 패턴까지도 등장한다. * '''?''': 아직 해금되지 않은 일부 악곡[* [[Grievous Lady|Vicious Labyrinth 팩 Anomaly곡]], [[Fracture Ray|Luminous Sky 팩 Anomaly곡]], [[Tempestissimo|Black Fate 팩 Anomaly곡]], [[Aegleseeker]], [[Arghena|Lasting Eden 팩 Irruption 곡]]]이나 [[틀:Arcaea/만우절|만우절 채보]]에만 붙는 난이도. 만우절 채보의 경우, 각 패턴의 복잡성이나 레인 자체의 이동으로 인해 작아지는 히트박스 등을 고려하면 실질적으로는 보면상수 10.2~5 정도의 난이도를 가진다. 다만 이 패턴들의 특성상 초견살이 굉장히 심하다. * '''🔒''': 레벨 ?와 마찬가지로 아직 해금되지 않은 일부 악곡에만 붙는 난이도. [[Arcaea/수록곡#Final Verdict|Final Verdict 팩]]의 수록곡에 붙는 것으로 추정된다.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또는
기타 라이선스 (문서에 명시된 경우)
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07)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107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