떡밥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07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서버 점검 공지
|
개인정보 처리방침 개정 안내
Arcaea/난이도 표기 문제
(r1 문단 편집)
이 문서는
이 문단은
토론
을 통해 불렙, 물렙, 판정 주의의 서술 기준을 1레벨 이상의 난이도 차이로 두고, 난이도의 기준을 Full Recall 난이도로 한다.로 합의되었습니다.
합의된 부분을 토론 없이 수정할 시
주딱
의 기분에 따라 제재될 수 있습니다.
아래 토론들로 합의된 편집방침이 적용됩니다.
합의된 부분을 토론 없이 수정할 시
주딱
의 기분에 따라 제재될 수 있습니다.
[ 내용 펼치기 · 접기 ]
토론
- 불렙, 물렙, 판정 주의의 서술 기준을 1레벨 이상의 난이도 차이로 두고, 난이도의 기준을 Full Recall 난이도로 한다.
토론
- 불상수/물상수 기준을 추가하고 개인차의 기준을 불상수 및 물상수 조건 충족으로 완화한다.
토론
- 개인차 기준을 레벨 기준과 상수 기준으로 분리한다.
토론
- 모든 구분 기준의 색상을 고정하며, 상수 개인차 및 패턴밀집, 판정 주의 기준의 색상을 변경한다.
토론
- 불렙, 물렙, 판정 주의의 작성 기준을 1단계 이상의 난이도 차이로 수정한다.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 레벨 7 === * [[B.B.K.K.B.K.K./리듬 게임 수록|{{{#red B.B.K.K.B.K.K. PRS}}}]] [7.0/Memory Archive] - 7레벨 치고 까다로운 아크 패턴이 많다. 초중반부의 아크 손꼬임 패턴, 다지를 이용해야 편한 아크+손꼬임 단타 패턴, 중후반부 직각아크, 아크 멀티태스킹 패턴이 7레벨 치고 많이 어려운 편이다. 7.0(...)이라는 상수는 너무 낮고 7+인 7.8은 되어야 한다는 의견이 많다. * [[CHAOS(Rayark)|{{{#red CHAOS PRS}}}]] [7.5/Cytus II] - 7레벨치고 매우 많은 16비트 트릴 패턴으로 7레벨 중에서 매우 까다로운 채보로 평가받고 있다. 7+을 넘어서 8.0~8.1 정도에 배치되도 무방할 정도. * [[Designant.#Past|{{{#red Designant. PST}}}]] [7.5/Lucent Historia] - 상위 난이도의 스크롤 변속이 그대로 존재하기 때문에 스코어링, FR, PM, 이론치 난이도는 7렙 중에서도 손에 꼽게 어렵다. * [[conflict/리듬 게임 수록/모바일 게임|{{{#red conflict PRS}}}]] [7.5/Vicious Labyrinth] - 처음부터 끝까지 16비트가 산재해 있어 노트 밀도가 7렙치고 매우 높고, 하이라이트 부분의 스카이 축연타-16비트 플로어 트릴은 판정이 엇나가기 매우 쉽다. 기존 7레벨 중에도 꽤 난이도 있는 패턴이었는데 아래의 [[DRG]]와 같이 7레벨에 그대로 남아있게 되어 불렙이 된 케이스. [* 다만 DRG보다는 아크 패턴에서 조심할 게 크게 없어 살짝 쉽다.] 이런 패턴으로 인해 대부분의 유저가 7+ 수준으로 평가하고 있다. * [[DRG|{{{#red DRG PRS}}}]] [7.0/Cytus II] - 전체적으로 7렙치고 밀도가 높고 가독성이 좋지 못한 패턴이 많다. 그중에 ㄱ자로 꺾는 아크가 스카이-플로어 양쪽에서 양손에 번갈아 가며 나오는 패턴이 있는데 이게 7렙에서는 매우 보기 드문 패턴이라 여기서 아크가 새기 매우 쉽다. 상당히 까다로운 7렙임에도 불구하고 5.4 패치후에도 7+는커녕 7렙에 남아있게 되어 7레벨 보스곡중 하나가 되었다. 7+를 넘어서 8.1~8.2 정도로 평가받을 정도로 매우 심한 불렙이다. * [[Fairytale|{{{#red Fairytale FTR}}}]] [7.0/Arcaea] - 7레벨 치고는 노트의 밀도가 높고 난해한 배치가 많아서 막 7레벨을 건드리는 유저들이 클리어나 FR를 하기 매우 어렵다. 체감 난이도는 8.0~8.1 수준까지 올라갈 정도로 심각한 불렙이며 7.0이라는 보면상수는 터무니없이 낮다는 의견이 많다. * [[LIVHT MY WΔY|{{{#red LIVHT MY WΔY PRS}}}]] [7.5/Memory Archive] - 8비트 연타의 물량이 많고, 중후반부에 심한 손꼬임을 유발하는 아크+홀드 패턴이 있다. 간혹 등장하는 타이밍이 새기 쉬운 동타+단타 패턴도 있으니 7+급의 불렙으로 평가받는다. * [[ouroboros -twin stroke of the end-/타사 리듬 게임 수록|{{{#red ouroboros -twin stroke of the end- PRS}}}]] [7.5/Groove Coaster] - 노트 패턴은 그렇게 까다로운 것은 없으나 아크 패턴과 아크+원핸드 패턴이 7레벨 치고 격하고 까다로운 경향이 있어서 7+ 수준으로 평가받는다. * [[Sayonara Hatsukoi|{{{#red Sayonara Hatsukoi FTR}}}]] [7.0/Arcaea] - v3.0 6레벨에서 승격되었다고는 해도 위의 [[Fairytale]] FTR 패턴과 마찬가지로 7레벨 치고 까다로운 8비트 원핸드가 많으며, 최후반부 스카이+플로어 동타는 7레벨치고 매우 낮은 가독성과 높은 피지컬 요구량을 자랑한다. 사실상 체감 난이도 8.0~8.1 수준의 7레벨에서의 심각한 불렙이다. * [[Sheriruth|{{{#red Sheriruth PRS}}}]] [7.5/Eternal Core] - 7레벨 치고는 노트 밀도가 너무 높다. 7+레벨에서도 자주 안 나오는 16비트 트릴이 중반부터 곳곳에 배치되어 있고, 정박에 배치가 복잡한 건 아니지만 BPM이 185로 낮지 않아 7레벨을 막 건드는 유저는 처리하기가 까다롭다. [[Sheriruth (Laur Remix)]] PRS와 레벨을 바꿔야 한다는 의견이 많다. [* 6.0 패치 이전에는, Sheriruth 원곡이 7+레벨인데 BP '''7.5''', Laur 리믹스가 7레벨에 BP '''7.8'''로 상수 설정이 잘못되어 있는 일이 있었다.] 전체적으로 7+라는 의견이 많으며 개인차에 따라서 8 하위권까지 체감 난이도가 올라갈 수 있다. * [[Trrricksters!!|{{{#red Trrricksters!! PRS}}}]] [7.5/CHUNITHM] - 7레벨 치고 까다로운 동타 패턴이 많아 7+가 적절하다는 평가가 많다. * [[Vexaria|{{{#red Vexaria FTR}}}]] [7.0/Arcaea] - 7레벨 치고 높은 노트 밀도에 16비트 트릴이 섞여 나오는 패턴으로 실제 체감 난이도는 7+급이다. * [[Wish Upon a Snow|{{{#red Wish Upon a Snow PRS}}}]] [7.5/Memory Archive] - 특별히 어려운 구간은 없으나 지속적인 아크 패턴과 218BPM의 8비트 패턴이 지속적으로 나와 체력 요구량이 매우 높아 7+급 불렙으로 평가된다. * [[エピクロスの虹はもう見えない|{{{#red Hidden Rainbows of Epicurus}}} {{{#darkviolet FTR}}}]] [7.5/Arcaea] - 패턴이 전반적으로 7레벨 치고는 높은 처리력을 요구하며, [[cyanine]], [[BLRINK]] 등의 곡에서 나오던 저공 스카이 노트 패턴이 중반에 나온다. 높이가 바닥에 거의 붙어 있어 플로어와 유사하게 처리하면 되지만 스카이 노트만의 특징으로 인해 가독성이 다소 떨어지고 판정이 흐트러질 수 있다. 처리력이 약한 플레이어는 체감 난이도가 8레벨 하위까지 치솟는다. * [[Dreamin' Attraction!!|{{{#red Dreamin' Attraction!!}}} {{{#goldenrod PRS}}}]] [7.0/Arcaea] - 전체적으로 FTR 채보를 열화시킨 느낌의 채보이다. 대륙횡단 아크가 7레벨 치고 매우 까다로워 불렙으로 평가받으며, 이 패턴에 약하면 8레벨 하위까지 난이도가 치솟을 수 있고 이 패턴에 강한 사람도 7+ 정도는 되어야 한다는 의견도 많다. 또한 8비트 단타도 좀 많이 등장하는데 얘도 약간 개인차 요소이다.[* 실제로 고난도의 연타는 정말 개인차를 많이 가른다. 대표적으로 [[Felis]]] * [[Modelista|{{{#red Modelista}}} {{{#goldenrod PRS}}}]] [7.5/Memory Archive] - Future와 함께 패턴 밀집 성향을 띄며, 중후반 동타 구간이 7의 수준을 아득히 띄어넘었다. 다른 구간도 7레벨 상위권 수준이라서 7보다는 7+에 가깝다는 의견이 많다. * [[New York Back Raise|{{{#red New York Back Raise}}} {{{#goldenrod PRS}}}]] [7.0/Memory Archive] - 중반부의 아크 손꼬임 패턴, 중반부의 길게 늘어져 있는 16비트 트릴의 난이도가 7레벨 수준을 현저하게 뛰어넘었다. 그러므로 나머지 부분은 7.0에 걸맞는 난이도임에도 불구하고 7+급의 불렙으로 평가된다. * [[환부에서 멈춰서 바로 녹는다~광기의 우동게인|{{{#red Kanbu de Tomatte}}} {{{#darkviolet Sugu Tokeru}}} {{{#goldenrod PRS}}}]] [7.5/Memory Archive] - 7레벨 보스곡. 아크 패턴 중 어떤 패턴도 7레벨에 맞는 부분이 없다. 앞서 서술된 아크 불렙곡들의 패턴은 물론이요 8~9레벨 아크곡에서도 안 나오는 노래에 맞춰 움직이는 직각 아크발광 패턴이 나온다. 노트 패턴이 쉽냐 하면 짤막한 16비트 트릴과 중반 8비트 3연타 등 그것도 아니기 때문에 초견 한정으론 8~9렙과도 맞먹으며 지력이 강하거나 패턴에 익숙해지더라도 7레벨이라고 절대 볼 수 없고 8레벨 상위권 수준으로 평가받는다. * [[アリス・リデルに捧ぐ|{{{#red To: Alice}}} {{{#darkviolet Liddell}}} {{{#goldenrod PRS}}}]] [7.0/Ephemeral Page] - 후반부에 7레벨에서는 드문 꽤 긴 12비트 트릴이 나와 7+에 배정해야 마땅하다는 의견이 많다. 그러나 나머지 파트는 그럭저럭 무난한 편으로, 후살의 트릴 처리능력에 따라 체감 난이도 편차가 있는 편이기도 한다. * [[Blossoms|{{{#salmon Blossoms FTR}}}]] [7.0/Ambivalent Vision] - 7.0 치고는 어려운 패턴이 많다. 대표적으로 손꼬임 단타, 정확한 에임을 요구하는 아크+원핸드 단타 패턴, 그리고 손 이동폭이 넓은 홀드가 섞여 있는 홀드+단타 패턴. 그로 인해서 보면상수 7.5급의 난이도라는 의견이 많다. * [[qualia -ideaesthesia-#Arcaea|{{{#salmon qualia -ideaesthesia-}}} {{{#darkviolet PRS}}}]] [7.0/Arcaea] - 전체 패턴의 97%가 아크로만 구성된 특이한 채보를 갖는다. 하이라이트 부분에서 아크의 움직임이 격한 편이기 때문에 아크 처리 능력에 따라서 7.0 적정 상수~7+ 수준까지 개인차가 갈린다. 다만 사람이 느끼는 평균 난이도로 따지면 아크의 움직임이 까다롭기 때문에 7.0보다는 7.5에 가깝다는 의견이 대다수. 단타 비중이 극히 낮아서 이론치 난이도는 최저 수준이다. * [[Stasis|{{{#salmon Stasis PRS}}}]] [7.0/Lanota] - 이동 폭이 큰 물수제비 아크, 손꼬임 유발하는 단타, 8비트 원핸드 패턴 등 7.0 치고 난이도가 높다고 평가받는다. 실제 체감 난이도 수준은 7.5급이다. * [[Tempestissimo|{{{#salmon Tempestissimo}}} {{{#darkviolet PST}}}]] [7.0/Black Fate] - 231BPM의 8비트 단타가 곡 내내 몰아치는데, 특히 초반의 8비트 동타 및 한손 2연타, 후반부의 8비트 계단은 손 속도가 느리면 꽤나 치기 힘들다. 5.4 업데이트로 6렙에서 7렙으로 상향되었지만 7렙 안에서도 폭타 밀도가 높은 편이라 지력에 약하면 체감 난이도는 7+급으로 느낄 수도 있다. 다만 개인차를 감안해도 7.0이라는 상수는 낮다는 의견이 많고 7.5가 적당하다고 보는 의견이 대다수. * [[BADTEK#Arcaea|{{{#blue BADTEK PRS}}}]] [7.0/Memory Archive] - 모든 패턴을 좌우대칭으로 땜빵한 보면으로 7레벨 치고는 간단한 패턴들로 이루어져 있다. 체감 난이도 6.5 수준. * [[cocoro*cosmetic|{{{#blue cocoro*cosmetic PRS}}}]] [7.0/Memory Archive] - v5.4에서 6레벨에서 7레벨로 상향된 채보인데, 초반부 짤막한 16비트 트릴 패턴 외에는 주의할 구간이 없어 체감 난이도 6.5 수준의 물렙으로 평가받는다. * [[Primeval Texture|{{{#blue Primeval Texture PRS}}}]] [7.5/Lasting Eden] - V5.4에서 6레벨에서 7레벨로 상향된 채보이다. 노트 밀도가 낮고 단순한 120BPM의 8비트 플로어 패턴이 많아서 실제 체감 난이도는 6.5급이다. * [[Protoflicker|{{{#blue Protoflicker PRS}}}]] [7.0/Lanota] - V5.4에서 6레벨에서 7레벨로 상향된 채보. 초중반부의 갑자기 느려지는 변속 구간만 적응하면 전체적 노트 밀도가 6레벨급이라서 7레벨치고 물렙 취급받는다. 실제 체감 난이도는 6.5급. * [[ReviXy|{{{#blue ReviXy PRS}}}]] [7.0/Arcaea] - V5.4에서 6레벨에서 7레벨로 상향된 채보. 전체적으로 노트 밀도가 낮고 7레벨에서 등장할 만한 동시치기하고 까다로운 아크 패턴이 별로 없다. 중반부 저속만 주의하면 체감 난이도 6.0~6.5 수준까지 하락한다. * [[Fallensquare|{{{#blue Fallensquare}}} {{{#turquoise PRS}}}]] [7.0/Memory Archive] - 7렙 치고 노트가 굉장히 한산하게 나와 보통 물렙으로 평가된다. 저속에 익숙하다면 보면상수 체감 난이도가 6.0까지 떨어질 수 있다. 그런데 박자가 상당히 까다로워 PM 난이도는 스코어링이나 FR에 비해서 상당히 높은 편. * [[Dynitikós|{{{#89F Dynitikós PRS}}}]] [7.5/Extend Archive 2] - 초중반부의 8비트 스카이 노트 연타, 중반부의 격한 아크만 조심하면 보면상수 7.5에 비해서 쉬운 편이다. 실제 체감 난이도는 보면상수 7.0 수준이다. * [[NULCTRL|{{{#89F NULCTRL PRS}}}]] [7.5/Arcaea] - 전체적으로 7.5치고 노트 밀도가 낮고 후반부의 스카이 축연타만 제외하면 나머지 구간의 난이도는 보면상수 6.5 수준이다. 그렇기 때문에 전체적으로 실제 체감 난이도는 7.0수준이다. * [[Heavenly caress|{{{#darkviolet Heavenly caress}}} {{{#goldenrod PRS}}}]] [7.5/Memory Archive] - 전체 난이도 자체는 7렙에 크게 벗어나지 않으나 7렙 치고 손교차가 많이 등장하고 손꼬임이 심한 구간도 몇몇 있어 개인차가 꽤 갈린다. 그리고 마지막에 홀드 노트 트릴의 난이도가 7렙치고 상당히 어려우니 주의.[* 최후반부에 있으나 그리 길지는 않아 불렙 소리는 안듣는다. 그리고 홀드 노트를 연타에서 넘어가는 꼼수가 있다. 그런데 그런 방법을 써도 실수할 수도 있으니 주의하자.] * [[Chronostasis|{{{#goldenrod Chronostasis PRS}}}]] [7.5/Arcaea] - 초반에 7렙치고 어려운 8비트 단타 패턴이 나온다. 그런데 나머지는 무난하므로 전체적으로 적정 레벨 수준이다. * [[Alexandrite|{{{#turquoise Alexandrite PRS}}}]] [7.0/Memory Archive] - 가독성 떨어지는 엇박이 많아 PM 난이도가 7+ ~ 8레벨 수준까지 올라갈 수 있다. * [[Transient Space|{{{#turquoise Transient Space PRS}}}]] [7.0/Lasting Eden] - FTR 난이도하고 마찬가지로 이상한 박자의 단타가 많아 판정작이 어려운 채보이다. 다만 스코어링이나 FR 난이도만 따지면 7.0에 알맞는 상수의 난이도를 가진 채보이다. * [[Xeraphinite|{{{#turquoise Xeraphinite PRS}}}]] [7.5/Memory Archive] - 스코어링 난이도는 7렙 중에서 무난한 편이나 Alexandrite PRS와 비슷하게 이상한 엇박이 많아 PM 난이도가 좀 어렵다.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또는
기타 라이선스 (문서에 명시된 경우)
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07)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107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