떡밥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07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개인정보 처리방침 개정 안내
ARK: Survival Evolved/생물종/공룡
(r1 문단 편집)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 [[트리케라톱스]] (Triceratops) ==== [anchor(트리케라톱스)] ||<#ffffff><-4><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fff><nopad> [[파일:트리케아크.png|width=550px]] [* TLC 이전 [[파일:1600px-Dossier_Triceratops.jpg|width=550px]]] ||<-4><#ffffff><nopad> [[파일:triceratops.png|width=300px]] || ||<#dddddd><-4> '''도감''' ||<#dddddd><-4> '''게임 내 모델''' || ||||||||||||||<bgcolor=#505050> '''{{{+1 {{{#ffffff 트리케라톱스}}}}}}''' '''{{{#ffffff Triceratops | ''Triceratops styrax''}}}''' |||||||||||||| ||<|2> [[파일:external/hydra-media.cursecdn.com/Trike.png|width=80px]] ||<bgcolor=#505050><|2> {{{#ffffff '''조련 여부'''}}} || 기절 조련 ||<bgcolor=#505050><|2> {{{#ffffff '''탑승 여부'''}}} ||<|2> [[파일:Generic_Saddle.png|width=20]] '''안장 필요''' [br] (레벨 16) ||<bgcolor=#505050><|2> {{{#ffffff '''수상 전투'''}}} ||<|2> 가능 || || [[파일:Simple_Kibble.png|width=20px]] 간단한 키블 || ||<rowbgcolor=#505050><|2><-2> {{{#ffffff '''능력치'''}}} ||<|2><-2> {{{#ffffff '''기본 능력치'''}}} ||<-3> {{{#ffffff '''증가량'''}}} || ||<#dddddd> '''야생''' ||<#dddddd> '''길들인 후''' ||<#dddddd> '''보너스 능력치''' || ||<-2><#dddddd> [[파일:ARKHealth.png|width=20]] {{{#008888 '''체력''' }}} ||<-2> 375 || +75 || +5.4% || +0.075 || ||<-2><#dddddd> [[파일:ARKStamina.png|width=20]] {{{#008888 '''기력''' }}} ||<-2> 150 || +15 || +10% || - || ||<-2><#dddddd> [[파일:Oxygen.png|width=20]] {{{#008888 '''산소''' }}} ||<-2> 150 || +15 || +10% || - || ||<-2><#dddddd> [[파일:ARKFood.png|width=20]] {{{#008888 '''음식''' }}} ||<-2> 3000 || +300 || +10% || - || ||<-2><#dddddd> [[파일:ARKWeight.png|width=20]] {{{#008888 '''무게''' }}} ||<-2> 365 || +7.3 || +4% || - || ||<-2><#dddddd> [[파일:ARKMeleeDamage.png|width=20]] {{{#008888 '''근접공격력''' }}} ||<-2> 32 || +1.6 || +1.7% || +7% x17.6% || ||<-2><#dddddd> [[파일:ARKTorpidity.png|width=20]] {{{#008888 '''마비수치''' }}} ||<-2> 250 || +15 || - || +0.5 || ||<rowbgcolor=#505050><|2><-2> {{{#ffffff '''기본 속도'''}}} ||<-2> {{{#ffffff '''질주 속도 (기력 소모량)'''}}} ||<|2><-2> {{{#ffffff '''증가량'''}}} ||<|2> {{{#ffffff '''조련 추가이속'''}}} || ||<#dddddd> '''야생''' ||<#dddddd> '''길들인 후''' || ||<#dddddd> '''지상''' || '''150''' || 607.5 || '''283.5''' ||<-2> +1.5% || +120% || ||<#dddddd> '''수중''' || 300 || - || - ||<-2> || || ||||||||||||||<bgcolor=#505050> {{{#ffffff '''아종 여부'''}}} |||||||||||||| |||||||||||||| 변종 트리케라톱스(에버레이션) 감염된 트리케라톱스(익스팅션) 격노한 오염된 트리케라톱스(익스팅션 OSD 한정) X-트리케라톱스(제네시스 파트 1) 테크 트리케라톱스(제네시스 파트 1) 고장난 테크 트리케라톱스(제네시스 파트 1 미션 한정) VR 트리케라톱스 뼈 트리케라톱스(이벤트) 괴상한 트리케라톱스(모바일) |||||||||||||| ||||||||||||||<bgcolor=#505050> {{{#ffffff '''등장 맵'''}}} |||||||||||||| |||||||||||||| 아일랜드, 더 센터, 라그나로크, 익스팅션, 발게로, 크리스탈 아일[br]제네시스 파트 1, 제네시스 파트 2, 로스트 아일랜드, 피오르두르 |||||||||||||| ||||||||||||||<bgcolor=#505050> {{{#ffffff '''드랍 아이템'''}}} |||||||||||||| |||||||||||||| 생고기, 가죽, 케라틴 |||||||||||||| >'''Species''' >Triceratops styrax > >'''Time''' >Late Cretaceous > >'''Diet''' >Herbivore > >'''Temperament''' >Short-Tempered > >'''Wild''' >Apparently a crossbreed of a Triceratops and Styracosaurus, Triceratops styrax has both the characteristic three-horned face of Triceratops and the prominent horned-ridge of Styracosaurus. Normally a very docile grazing animal, Triceratops becomes aggressive once angered. Triceratops will chase down would-be predators (and egg-stealers) with incredible prejudice. Running away from triceratops is harder than it seems due to its ability to charge and ram its target. I've seen Triceratops have an especially hostile reaction to the Tyrannosaurus, with herds attacking en masse. While not very fast, they are deadly in a group. > >'''Domesticated''' >A common mount for those that ride dinosaurs, Triceratops doubles as pack animal and combat dinosaur. Triceratops' bony ridge works excellently as cover from frontal attack, and the dinosaur's charge is incredibly dangerous. It is largely protective of its kinds if its sense danger. In the presence of larger carnivores that appears as a threat, Triceratops becomes stronger and rallies the effort of its nearby species. It is also capable of harvesting a sizable amount of resources with its horns by shredding fruit from the leaves, making it a very useful work companion for smaller tribes. >---- >'''[[헬레나 워커]]''' 스코치드 어스를 뺀 모든 맵에 등장하는 흔히 보이는 중형 초식공룡으로, 보통 생존자가 파라사우롤로푸스와 함께 가장 먼저 마주치게 될 중형 초식 생물이다. 도감상의 종명을 보면 일반적으로 트리케라톱스 하면 생각하는 호리두스(''T. horridus'') 종이 아니라 아예 가상의 종인 스티락스(''T. styrax'') 종인데, 설정상 [[미니 킹|스티라코사우루스와 트리케라톱스의 혼종]]이라고 한다. 그래서 실제 트리케라톱스와는 다르게 프릴을 따라 긴 뿔들이 돋아나 있는 모습으로 등장한다.[* 스토리를 따라가다 보면 알겠지만, 이는 아크의 생물들은 실존했던 고생물들이 아닌 전부 인위적으로 만들어진 가상의 생물종들이기 때문. 당장 다음 확장팩인 스코치드 어스만 해도 판타지 생물들인 와이번과 골렘, 데스웜 등이 나온다.] 스폰되는 지역은 매우 넓어서 아일랜드는 물론, 여타 무료맵에서 극초반 플레이어의 활동 지역인 해변가에서 흔하게 볼 수 있고, 내륙 지역으로 들어가도 주로 초원이 깔린 지형 대부분에서 스테고 등과 함께 섬 전체에 바글바글하게 보인다. 특히 크리스탈 아일, 익스팅션, 로스트 아일랜드에서는 거의 맵의 절반 가까이 되는 지역에서 스폰될 정도. 야생 트리케라톱스는 중립적인 성격으로, 평소에는 주위에 무관심하게 돌아다니다가 공격받으면 주위의 다른 트리케라톱스들과 함께 적극적으로 반격해온다. 공격에 넉백이 크고 능력치가 생존자에 비해 높다보니 저레벨 트리케가 아닌 한 게임 극초반의 플레이어로 근접전을 거는 것은 무리고, 길들이든 사냥이든 되도록 새총이나 화살로 쏘고 빠지는 것을 반복하는 것이 권장된다. 때때로 해변가 나무나 바위 틈새 등에 끼어 꼼짝 못하는 개체들은 움직이지 못하는 것을 확인했다면 새총이나 부메랑 정도만 있어도 안전하게 길들이거나 사냥할 수 있다. 어그로가 끌린 트리케라톱스는 제자리에서 5초 정도 발을 구르며 충전하다가 달려나가는 돌진 공격을 자주 시도하는데, 이때 생물에게 충돌하면 피해와 동시에 무력화라는 이동 속도 감소 디버프를 걸고, 목재 이하 재질의 건축물에 충돌하면 큰 피해를 준다. 특히 짚 건축물은 자체 체력도 빈약하다보니 거의 뚫고 지나가듯이 철거되기도 한다. 다만 돌진 속도가 크게 빠르지는 않아서 충분히 보고 피할 수 있다. 트리케라톱스의 시체를 채집하면 가죽, 고기와 소량의 케라틴을 얻을 수 있는데, 케라틴은 게임 초반에 주로 프테라노돈의 안장 재료로 사용되기 때문에 모자란다면 트리케라톱스를 사냥해서 모으기도 한다. ---- 길들이는 난이도나 과정 역시 매우 간단하다. 아크 최초 발매 시부터 있던 생물인 만큼 가장 보편적인 기절 조련이며, 체력에 비해 기절 수치와 기절 감소 속도가 낮은 편이라 반격에만 주의하면 무난하게 길들일 수 있다. 단, 트리케라톱스의 머리와 골판은 원거리 무기의 피해량을 85% 감소시키므로 마비 화살이나 새총 등을 조준할 때 옆에서 몸통, 꼬리 등을 맞춰야 한다. 이쪽을 향해 정면으로 달려올 때는 발을 노리고 쏘면 통상적인 피해를 줄 수 있다. 공격 모션은 소처럼 머리의 뿔로 찌르는 것인데, 의외로 공격속도가 빠르고 위력도 나쁘지 않다. 무엇보다 넉백 효과가 상당해서 렉스를 공격 사거리 밖으로 밀쳐낼 정도의 수준. 대부분의 중형 육식생물까지는 타이밍에 맞춰 공격한다면 이쪽이 맞을 일 없이 거의 일방적으로 공격할 수 있다. 범위도 보이는 것보다 훨씬 크기 때문에 일단 길들여두면 초반의 열매나 돌진으로 짚 채집, 호신에 큰 도움을 준다. 탑승한 상태에서 우클릭을 누르면 야생 상태일 때와 동일하게 돌진을 사용할 수 있다. 충전 시간에 따라 더 빨리, 더 멀리 돌진하며 부딪히는 대상이 생물이라면 무력화(Crippled)를 걸어 이동속도를 크게 낮추고, 석재 재질 미만의 건물에 큰 피해를 입힐 수 있다. 이 외에 나무 숲에 대고 돌진을 쓰면 빠르게 쓰러뜨리면서 지나가며, 좀 빽빽한 숲에 사용하면 짚을 천 단위로 수집할 수 있다. 아쉬운 점은 울리 라이노와 달리 돌진 중 공격을 하면 제자리에 멈춰버리고, 주는 피해가 증폭되지도 않는다. 또다른 특수능력은 경쟁자(Rivarly) 버프로, 적대적인 대형 육식동물[* 바실리스크, 리퍼, 스피노, 기가노토사우루스, 렉스, 와이번, 카르키노스, 바위 정령, 유티라누스, 마그마사우루스가 해당된다.]이 주변에 있을 경우 자동으로 발동된다. 발동 여부는 트리케라톱스 머리 주변으로 붉은 오라가 생기며 생물 버프창에 추가적인 표시로 알 수 있다. 효과는 공격력 15% 증가, 피해량 감소, 총 체력량 10% 증가로 전반적인 성능을 끌어올려주며, 원래도 강력했던 넉백 효과가 더욱 강력해져 야생 렉스 정도는 타이밍만 잘 맞추면 한 대도 안 맞고 쓰러뜨릴 수 있는 정도까지 된다. 길들인 트리케라톱스는 충분히 발전하기 전까지 짚이나 베리를 채집하는데 유용하고, 안장을 씌우고 탑승하면 야생 카르노타우루스나 중저레벨 렉스까지도 무난하게 털어먹는 수준의 전투력을 갖출 수 있다. 또한 흔하게 스폰되고, 5레벨에 해금되는 새총만으로도 카이팅이 되기 때문에 접근성도 좋은 편. 보통 트리케라톱스 주위에서 스폰되는 카르보네미스, 파라사우롤로푸스, 딜로포나 랩터 등의 다른 생물들과 비교하면 전투력이 가장 높은 편에 속하고, 이동속도도 기어오는데 한 세월 걸리는 안킬로사우루스나 스테고사우루스 등 다른 중형 초식생물들에 비하면 조금 빠른 편이라 초반 보디가드 겸 맵 탐험용 생물로 쓸만하다. PvP의 경우 돌진으로 짚과 목재 건축물을 철거하거나 머리 및 프릴의 데미지 감소 능력을 살려서 터렛의 탄약을 빼는데 사용할 수 있다. 단점으로는 석재 재질 이상의 건물은 건드릴 수 없는데 건물은 보통 철제 이상으로 짓는 PvP 특성상 정말 초반이 아닌 한 철거용으로는 쓸 수 없고, 탱킹용으로 쓰자니 비슷한 위치의 터렛 탱킹용 생물인 카르보네미스에 비해 체력이 많이 낮아서 프릴이 등 위의 생존자를 살짝 가려줄 수 있다는 점 정도 외에는 차별화가 힘들고, 그 외에도 터렛 탱킹용으로는 스테고, 가스백, 리퍼 등 경쟁자가 많다보니 제대로 사용할 수 있는 유통기한이 짧은 편이다. ---- 익스팅션에서는 일반 트리케라톱스와 오염된 트리케라톱스가 둘 다 등장하는데, 테크 트리케라톱스가 원소에 오염된 모습을 한 격노한 오염된 트리케라톱스가 알파종으로서 존재한다. 격노한 트리케는 빨강색 OSD 방어전의 난관 중 하나로, 주변의 모든 오염된 생물들에게 알파 버프를 둘러줘서 공격력과 방어력을 크게 올려주므로 등장하면 최우선으로 제거해줘야 한다. 등장 레벨도 다른 오염된 생물들처럼 고레벨로 스폰되니 주의할 것. 성장치는 물론 체력, 공격력과 이동 속도도 일반적인 트리케라톱스보다 몇 배는 높다. 트리케라톱스도 테크종이 존재하지만 다른 테크 생물들과 달리 원종과 함께 스폰되지 않으며, 길들일 수 있는 테크 트리케라톱스는 오로지 제네시스 파트 1의 달 지역에서만 스폰된다. 다만 트리케라톱스 자체가 초반용 생물이다보니 수집용이 아니라면 굳이 여기서 길들일 필요는 없다. 트리케라톱스의 알은 심플 키블의 재료가 된다. 리마스터인 [[ARK: Survival Ascended]]에서는 질주 애니메이션이 새로운 걸로 교체되었다. 이전 버전에선 단지 좀 빨리 걷는 것 같았다면, 리마스터에선 TLC 이전의 스테고처럼 꼬리를 좌우로 흔들며 총총 뛰는 것처럼 가벼운 발걸음으로 달린다. 물론 애니메이션만 바뀐 거라 속도는 이전과 동일하다. ---- 아크의 배틀로얄 형식의 토탈 컨버젼 게임인 [[The Survival of the Fittest]]에서는 본편보다 강한 생물로 등장한다. 이 게임에 등장하는 많은 생물들이 밸런스 때문에 이런저런 조정을 받긴 했지만 트리케는 그 정도가 특히 큰 편에 속하는데, 기본 체력이 두배가 되고 기본 공격력과 돌진 시의 피해량도 조금 증가해 본편같은 초반용 생물이 아니라 본격적인 중형 초식동물로 변했다. ---- 모바일에선 육상생물임에도 바다를 건널 때 쓰는 유저들이 있는데, 특수능력인 돌진을 조금만 더 앞으로 가면 물 위에 뜨게 되는 물가 경계 지점에 사용할 경우 육상에서 사용하는 돌진보다 더 빠른 속도로 나아갈 수 있기 때문이다. 이 때는 스피노사우루스나 이크티오사우루스가 물에서 헤엄칠 때 못지않게 민첩해서 짐 싣고 물을 건너갈 때 쓰는 것. 다만 육상에서처럼 기력을 소모하기 때문에 무한히 나아가지는 못하고, 뭍에 오르지 못한 상태에서 돌진이 멈췄다면 게임을 나가서 재접속하지 않는 이상 두번 다시 이 능력을 쓰지 못하며, 돌진 도중에 실러캔스 등의 수중 생물과 부딪치면 그 자리에서 멈춰버려 곤란해지므로 조심해야 한다. 물을 건너는 짐꾼으로서의 역할 뿐만 아니라 렉스나 기가노토를 길들일 때도 유용한데, 이 둘은 사람이 타고 있는 개체에 대해서는 반응이 없기 때문이다. 다만, 모바일 아르젠타비스로도 가능한 전법이고 아르젠타비스는 자원 무게 감소 효과 및 안장에 대장간 기능 탑재, 그리고 날 수 있다는 점 때문에 이 방면에서는 아르젠타비스를 더 자주 쓴다. || [[파일:TriTLC-2.jpg|width=500]] || || TLC로 바뀐 트리케(좌)와 이전 모델링 || TLC 패치로 모델링과 도감이 바뀐 생물 중 하나이다.[* 근데 실제로는 TLC이전의 모습이 더 현실적인데,실제 트리케라톱스도 꼬리가 짧기 때문이다.]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또는
기타 라이선스 (문서에 명시된 경우)
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07)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107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