떡밥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07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개인정보 처리방침 개정 안내
ARK: Survival Evolved/생물종/공룡
(r1 문단 편집)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 [[갈리미무스]] (Gallimimus) ==== [anchor(갈리미무스)] ||<#ffffff><-4><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fff><nopad> [[파일:external/hydra-media.cursecdn.com/Gallimimus_Dossier.png|width=550px]] ||<-4><#ffffff><nopad> [[파일:gallimimus.png|width=300px]] || ||<#dddddd><-4> '''도감''' ||<#dddddd><-4> '''게임 내 모델''' || ||||||||||||||<bgcolor=#505050> '''{{{+1 {{{#ffffff 갈리미무스}}}}}}''' '''{{{#ffffff Gallimimus | ''Gallimimus evolovelox''}}}''' |||||||||||||| ||<|2> [[파일:external/hydra-media.cursecdn.com/Gallimimus.png|width=80px]] ||<bgcolor=#505050><|2> {{{#ffffff '''조련 여부'''}}} || 기절 조련 ||<bgcolor=#505050><|2> {{{#ffffff '''탑승 여부'''}}} ||<|2> [[파일:Generic_Saddle.png|width=20]] '''안장 필요''' [br] (레벨 29) ||<bgcolor=#505050><|2> {{{#ffffff '''수상 전투'''}}} ||<|2> 가능 || || [[파일:Simple_Kibble.png|width=20px]] 간단한 키블 || ||<rowbgcolor=#505050><|2><-2> {{{#ffffff '''능력치'''}}} ||<|2><-2> {{{#ffffff '''기본 능력치'''}}} ||<-3> {{{#ffffff '''증가량'''}}} || ||<#dddddd> '''야생''' ||<#dddddd> '''길들인 후''' ||<#dddddd> '''보너스 능력치''' || ||<-2><#dddddd> [[파일:ARKHealth.png|width=20]] {{{#008888 '''체력''' }}} ||<-2> 150 || +30 || +5.4% || +0.07 || ||<-2><#dddddd> [[파일:ARKStamina.png|width=20]] {{{#008888 '''기력''' }}} ||<-2> '''300''' || +30 || +10% || - || ||<-2><#dddddd> [[파일:Oxygen.png|width=20]] {{{#008888 '''산소''' }}} ||<-2> 150 || +15 || +10% || - || ||<-2><#dddddd> [[파일:ARKFood.png|width=20]] {{{#008888 '''음식''' }}} ||<-2> 1000 || +1000 || +10% || - || ||<-2><#dddddd> [[파일:ARKWeight.png|width=20]] {{{#008888 '''무게''' }}} ||<-2> 200 || +4 || +3.9% || - || ||<-2><#dddddd> [[파일:ARKMeleeDamage.png|width=20]] {{{#008888 '''근접공격력''' }}} ||<-2> 8 || +0.4 || +1.7% || +7% x17.6% || ||<-2><#dddddd> [[파일:ARKTorpidity.png|width=20]] {{{#008888 '''마비수치''' }}} ||<-2> 420 || +25.2 || - || +0.5 || ||<rowbgcolor=#505050><|2><-2> {{{#ffffff '''기본 속도'''}}} ||<-2> {{{#ffffff '''질주 속도 (기력 소모량)'''}}} ||<|2><-2> {{{#ffffff '''증가량'''}}} ||<|2> {{{#ffffff '''조련 추가이속'''}}} || ||<#dddddd> '''야생''' ||<#dddddd> '''길들인 후''' || ||<#dddddd> '''지상''' || '''825''' || '''2305.05'''[* 23m/s] || '''2190'''[* 21.9m/s]||<-2> +1% || - || ||<#dddddd> '''수중''' || 600 || - || - ||<-2> || || ||||||||||||||<bgcolor=#505050> {{{#ffffff '''아종 여부'''}}} |||||||||||||| |||||||||||||| 괴상한 갈리미무스(모바일) |||||||||||||| ||||||||||||||<bgcolor=#505050> {{{#ffffff '''등장 맵'''}}} |||||||||||||| |||||||||||||| 아일랜드, 더 센터, 스코치드 어스, 라그나로크, 익스팅션, 발게로, 크리스탈 아일[br]제네시스 파트 1, 제네시스 파트 2, 로스트 아일랜드, 피오르두르 |||||||||||||| ||||||||||||||<bgcolor=#505050> {{{#ffffff '''드랍 아이템'''}}} |||||||||||||| |||||||||||||| 생고기, 가죽 |||||||||||||| >'''Species''' >Gallimimus evolovelox > >'''Time''' >Late Cretaceous > >'''Diet''' >Herbivore > >'''Temperament''' >Skittish > >'''Wild''' >When someone asks me what the fastest creatures on the island are, Gallimimus is always a contender. Unlike the Island's many armored animals, Gallimimus eschews strong defenses for the ability to outrun pretty much anything. A skittish herbivore, Gallimimus even looks nervous when eating in a peaceful, clear meadow. Having no real way to harm predators, it simply runs away and uses its agility to stay safe. I've even seen wild Gallimimus outrun speed-trained Utahraptors! > >'''Domesticated''' >There are two general camps on the use of tamed Gallimimus. One camp thinks that their inability to effectively harm hostile creatures, and their inability to harvest most resources, makes them primarily a burden to the tribe. The other camp thinks that their extreme speed and ability to jump long distances, is among the best for scouting and exploring. However, both camps agree that its ability to quickly transport multiple tribe members is uniquely beneficial. >---- >'''[[헬레나 워커]]''' 매우 빠른 속도를 자랑하는 공룡. 점프력도 압도적으로 좋아 기동력만 놓고 보면 테러버드나 렙터와는 비교 자체가 우습기 때문에 길들인 이후는 물론이고 야생에서도 사냥 당하는 일 자체가 거의 없다. 일단 앞으로 나아갈 수만 있다면 정말 순식간에 시야에서 사라지는 속도이기 때문. 전체적인 능력치를 보면 기동성을 제외한 모든 것을 포기한 듯한 상태이다. 분명 저 정도로 빠르면 다리 근육이 장난이 아닐텐데 굳이 깨무는 식의 공격을 하기 때문에 초반 생물인 딜로포사우루스보다도 공격력이 낮고 체력도 랩터보다 낮은 150으로 매우 처참하다.[* 얼마나 처참하냐하면 쇠뇌로 헤드샷 한발 잘못 맞으면 억 하고 죽을 정도.] 거기에 기절 수치가 체력의 2배를 넘어가서 쇠뇌를 사용하면 죽을 가능성이 매우 크며, 최소한 마비 다트나 눈올빼미가 있어야 죽을 걱정 없이 기절시킬 수 있다. 길들여지는 시간은 1배율에 150레벨, 키블을 사용했을 때 기준으로 17분 36초로 빠르며, 요구하는 키블도 제일 낮은 단계인 기본(베이직) 키블이라 쉽게 길들일 수 있을 것 같지만, 기절 수치가 말 그대로 수직 하강하기 때문에 충분한 양의 마취약이 필수적이다.[* 1레벨 기준 '''1분 40초'''만에 깨어난다.] 길들이려 할 때의 문제는 지나치게 빠른 속도. 문자 그대로 무지막지한 속도를 지녀[* 달리기 속도를 환산하면 무려 23.1m/s로 대략 시속 '''83km/h'''로 달리는 수준이다.]일반적으론 따라잡는 게 매우 힘든데다 무려 '''410'''이라는 덩치에 비해 괴랄할 정도로 높은 자체 무게 탓에 와이번이나 케찰같은 대형 날탈것으로도 집어올릴 수 없다.[* 이는 갈리미무스와 동일하게 집어올릴 수 없는 프로콥토돈과 카프로수쿠스도 동일하다. 참고로 이들과 비슷한 자체 무게를 가진 생물은 메갈로사우루스(410), 와이번(416), 락 드레이크(425), 바실리스크(425) 정도가 있다. 10 낮은 400의 매머드까지 케찰이 집어올릴 수 있다는 것과 비슷한 무게의 생물들이 하나같이 중대형 생물들이란 걸 생각해보면 정말 작정하고 안 집히게 하려고 책정한 듯 하다.] 일반 볼라로도 묶이지 않는 탓에 정공법으로는 운 좋게 지형이나 길들인 생물들 사이에 끼이지 않는 이상 잡을 수가 없다. 가만히 있을 때 빠르게 건물로 가두거나, 고등급 장총으로 헤드샷을 노려 한 방에 기절시키는 것이 그나마 편한 방법. 천운이 따라준다면 야생 갈리미무스가 낳은 알을 찾을 수 있는데, 이러면 훨씬 쉬워진다. 희귀꽃 어그로를 사용하거나 알을 주우면 여타 공룡들이 그렇듯 선공으로 바뀌어 공격해오니 포획 준비를 잘 하고 알을 주운 다음 잡아주자. ---- 일단 길들이고 나면 정말 어마무시하게 빠른데다 기력 효율도 좋은 편이기 때문에 그 분야에서의 성능은 출중한 편이다. 다만 지나치게 낮은 공격력과 체력 때문에 탈 사람이 없다면 전투에 사용할 수 없는 수준이며, 저등급 총기류에도 반피가 우습게 날아가고 심지어 낙하 대미지에도 걸레짝이 되어버린다. 무게가 나쁘지 않은 편이지만 다수의 보급품을 들고 다니긴 힘든 편이고, 점프가 높지 않은 편이라 보급 노가다를 뛰기에도 적절하지 않다. 게릴라 유닛 역할로 설계한 듯 한데 PvP에서 필수적으로 사용되는 터렛의 높은 공격력과 명중률, 그리고 모든 생물의 공격이 기본적으로 범위 공격이라는 점 때문에 PvP에서 위력을 발휘하기 많이 어렵다. 테이밍에 필요한 재료는 많이 필요한 점에 반해 안장의 해금 레벨은 비교적 낮은 29레벨에 재료도 싼 편이고, 수상 전투도 가능하기 때문에 사격 실력만 받쳐준다면 테이밍에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다만 심각한 물몸이라는 점과 점프가 낮아 고저차가 큰 지형은 올라갈 수 없다는 단점 때문에 PvP에서 정찰 용도로 사용하기에는 와이번이나 마나가르마, 블러드스토커 등에 밀려 사용되지 않는다. 기동성에 대한 흠이 있다면 렉스랑 비교해도 그다지 좋지 못한 선회력이다. 이것은 갈리미무스를 몰 때, 다른 생물을 몰듯이 에임을 확 꺾어서 그런 것도 있다. 조금씩 천천히, 부드럽게 에임을 돌리면 회전이 상당히 부드럽게 되고 커브를 돌 때 무조건적으로 생기는 속도 감소도 없앨 수 있다. ---- 의외로 에버레이션을 제외한 모든 맵에서 출현하는 흔한 생물이다. 주로 레드우드 지역에서 많이 살지만 라그나로크의 하이랜드나 제네시스 파트 1의 화산 바이옴, 크리스탈 아일랜드와 발게로의 평원 및 숲 등 다양한 곳에서 볼 수 있다. 갈리미무스 알은 심플 키블의 재료가 된다.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또는
기타 라이선스 (문서에 명시된 경우)
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07)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107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