떡밥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07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개인정보 처리방침 개정 안내
ARK: Survival Evolved/생물종/공룡
(r1 문단 편집)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 [[디플로도쿠스]] (Diplodocus) ==== [anchor(디플로도쿠스)] ||<#ffffff><-4><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fff><nopad> [[파일:external/hydra-media.cursecdn.com/800px-Dossier_Diplodocus.jpg|width=550px]] ||<-4><#ffffff><nopad> [[파일:diplodocus.png|width=300px]] || ||<#dddddd><-4> '''도감''' ||<#dddddd><-4> '''게임 내 모델''' || ||||||||||||||<bgcolor=#505050> '''{{{+1 {{{#ffffff 디플로도쿠스}}}}}}''' '''{{{#ffffff Diplodocus | ''Diplodocus insulaprincep''}}}''' |||||||||||||| ||<|2> [[파일:external/hydra-media.cursecdn.com/Diplodocus.png|width=80px]] ||<bgcolor=#505050><|2> {{{#ffffff '''조련 여부'''}}} || 기절&평화 조련 ||<bgcolor=#505050><|2> {{{#ffffff '''탑승 여부'''}}} ||<|2> [[파일:Generic_Saddle.png|width=20]] '''안장 필요''' [br] (레벨 32) ||<bgcolor=#505050><|2> {{{#ffffff '''수상 전투'''}}} ||<|2> 불가능 || || [[파일:Regular_Kibble.png|width=20px]] 평범한 키블 || ||<rowbgcolor=#505050><|2><-2> {{{#ffffff '''능력치'''}}} ||<|2><-2> {{{#ffffff '''기본 능력치'''}}} ||<-3> {{{#ffffff '''증가량'''}}} || ||<#dddddd> '''야생''' ||<#dddddd> '''길들인 후''' ||<#dddddd> '''보너스 능력치''' || ||<-2><#dddddd> [[파일:ARKHealth.png|width=20]] {{{#008888 '''체력''' }}} ||<-2> '''1700''' || +340 || +5.4% || +0.07 || ||<-2><#dddddd> [[파일:ARKStamina.png|width=20]] {{{#008888 '''기력''' }}} ||<-2> '''550''' || +55 || +10% || - || ||<-2><#dddddd> [[파일:Oxygen.png|width=20]] {{{#008888 '''산소''' }}} ||<-2> 300 || +30 || +10% || - || ||<-2><#dddddd> [[파일:ARKFood.png|width=20]] {{{#008888 '''음식''' }}} ||<-2> 10000 || +1000 || +10% || - || ||<-2><#dddddd> [[파일:ARKWeight.png|width=20]] {{{#008888 '''무게''' }}} ||<-2> '''800''' || +16 || +3.9% || - || ||<-2><#dddddd> [[파일:ARKMeleeDamage.png|width=20]] {{{#008888 '''근접공격력''' }}} ||<-2> '''0''' || - || - || +7% x17.6 || ||<-2><#dddddd> [[파일:ARKTorpidity.png|width=20]] {{{#008888 '''마비수치''' }}} ||<-2> 3000 || +180 || - || +0.5 || ||<rowbgcolor=#505050><|2><-2> {{{#ffffff '''기본 속도'''}}} ||<-2> {{{#ffffff '''질주 속도 (기력 소모량)'''}}} ||<|2><-2> {{{#ffffff '''증가량'''}}} ||<|2> {{{#ffffff '''조련 추가이속'''}}} || ||<#dddddd> '''야생''' ||<#dddddd> '''길들인 후''' || ||<#dddddd> '''지상''' || 300 || '''1350'''[* 13.5m/s] || '''1350''' ||<-2> +1% || - || ||<#dddddd> '''수중''' || 400 || - || - ||<-2> || || ||||||||||||||<bgcolor=#505050> {{{#ffffff '''아종 여부'''}}} |||||||||||||| |||||||||||||| 변종 디플로도쿠스(에버레이션) 괴상한 디플로도쿠스(모바일) |||||||||||||| ||||||||||||||<bgcolor=#505050> {{{#ffffff '''등장 맵'''}}} |||||||||||||| |||||||||||||| 아일랜드, 더 센터, 라그나로크, 익스팅션, 발게로, 크리스탈 아일[br]제네시스 파트 1, 제네시스 파트 2, 로스트 아일랜드, 피오르두르 |||||||||||||| ||||||||||||||<bgcolor=#505050> {{{#ffffff '''드랍 아이템'''}}} |||||||||||||| |||||||||||||| 생고기, 가죽, 고품질 생고기, '''용각류 척추''' |||||||||||||| >'''종명''' >디플로도쿠스 인술라프린세프 > >'''시기''' >쥐라기 후기 > >'''식성''' >초식성 > >'''기질''' >순진무구함 > >'''야생''' >'''디플로도쿠스 인술라프린세프(''Diplodocus insulaprincep'')'''는 섬에서 가장 작은 용각류 공룡입니다. 디플로도쿠스는 크기나 지능 대신에, 속도와 지구력이 발달했습니다. 이 녀석들은 완전히 성장했을 때, 디플로도쿠스는 브론토사우루스에 비해 절반 정도밖에 되지 않는 크기를 자랑합니다. 이런 섬에서 오랫동안 살아남은 것이 저의 머리를 혼란스럽게 하는군요. 또한 둔하고 잘 믿는 성격의 동물로서, 종종 치명적인 피해를 입히기도 하죠. 이 녀석들은 포식자들이 계속 공격하지 않는 이상 도망치지 않으며, 친근감을 표시하기 위해 성과없는 시도를 하는 것을 선호합니다. 또한 모종의 이유로, 디플로도쿠스는 인간을 너무 신뢰해서 인간에게 전혀 반격하지 않는 것 같습니다… 절대로! > >'''조련된 후''' >디플로도쿠스는 작은 체격 때문에, 다른 대형 생물종들이 지탱할 수 있는 "플랫폼" 안장을 지탱할 수 없습니다. 대신 이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많은 부족들은 디플로도쿠스가 10명의 추가 탑승자를 안전하게 수송할 수 있는 11인승 안장을 사용합니다. 안장에 탑승한 승객들은 원거리 무기를 사용하여 생명체를 보호하거나, 이동하는 동안 근처의 적들을 공격합니다! >---- >'''[[헬레나 워커]]''' 브론토보다 작지만 더 빠른 용각류 공룡으로, 브론토 못지않게 초반부에서도 많이 볼 수 있는 생물이다. 기본 안장에 승객 탑승 기능이 있어 [[버스|최대 11명까지 나를 수 있다.]] 기수 한 명이 조종하고 열 명이 디플로도쿠스의 옆쪽 좌석에 타는 방식이다. 10개의 자리는 대중적으로 이용할 수 있게 하는 옵션이 있어 처음 출시 당시 스포트라이트 트레일러에는 디플로도쿠스를 [[버스]]로 사용하는 장면도 나왔다. 무게도 적절하게 많아 레벨링이 잘 되어 있다면 11명이 장비를 들고도 이동이 가능하다. 이동속도가 브론토나 비슷한 느낌의 파라케라테리움에 비해 별나게 빠른 것이 특징인데, '''1350'''라는 질주 속도[* 단위로 환산 시 13.5m/s가 된다.]에서 보이듯 어지간한 육상 생물 중에서 디플로도쿠스 정도의 속도를 가진 생물은 꽤 드물다.[* 비슷하거나 더 빠른 대상으로는 데이노니쿠스(1440, 14.4m/s)나 갈리미무스(2190, 21.9m/s), 스피노(1717.6, 17.2m/s), '''[[마나가르마]](2500, 25m/s)''', [[섀도우메인]](1875, 18.8m/s) 정도.] 비슷한 덩치의 대형 초식 생물들이 달리는 모습도 사실상 빠르게 걷는 정도의 모션인 것에 반해 [[말(동물)|말]]처럼 날렵해 시원시원하다. 기력 총량도 꽤 높은 편이기에 고레벨 개체를 길들여 레벨업 스탯 포인트를 조금만 투자해준다면 상당한 시간동안 지치지 않고 달릴 수 있다. 또한 티타노사우루스나 브론토사우루스와 같은 용각류임에도 불구하고 플랫폼 안장이 없는데, 도감에 의하면 파라케라테리움이나 브론토같은 거대 생물들에 비해 작은 몸집 때문에 플랫폼 안장을 지탱할 수 없어서라고 한다. 실제로 저 둘에 비하면 디플로가 몸집으로 따지면 작은 편인데다 그리 튼실한 체형도 아니긴 하다. 다만 체력은 1700으로 굉장히 높은 편이다. 의외로 선공형으로, 목을 쭉 뻗어서 밀쳐내는 공격을 한다. 다만 대미지는 전혀 들어가지 않기 때문에 행동 명령을 중립적으로 설정한 생물도 반응하지 않으나, 넉백이 크기 때문에 절벽에서 떠밀려서 낙사하거나 집에 세워놓은 아군 생물들을 밀어버려서 집 앞마당을 엉망으로 만들거나 야생 육식 생물들에게 떠먹여주는 일이 간혹 발생하기 때문에 디플로가 출현하는 지역에 집을 지은 경우 그 지역의 육식 생물들 못지않게 경계할 필요가 있다. 또한 대미지가 없기 때문에 조련하려고 기절시킨 대상이 맞더라도 조련 효율이 깎여나가지는 않는다. 디플로도쿠스의 공격에 대미지가 없는 이유는 도감에 의하면 기본적으로 둔하고 잘 믿는 성격이라 포식자가 계속 공격하지 않는 한 도망치지 않으며, 성과가 없더라도 애정표현을 계속 시도한다고 한다. 특히 인간은 모종의 이유로 너무 신뢰해서 인간을 상대로는 반격을 절대 하지 않는다고.[* 설정상 아크의 생물들이 쉽게 복종하고 길들여지게끔 설계된 것과 관련이 있을 것으로 보인다.] 즉, 인게임 디플로도쿠스의 공격은 공격이 아닌 일종의 애정표현이기에 대미지가 존재하지 않는 것. 또한 의외로 잠복시킨 리퍼나 펄로비아를 디플로로 공격하면 잠복이 해제된다. 길들인 이후에도 대미지는 그대로다. 고정으로 125%가 되는데, 더 올릴 수도 없고 올릴 수 있더라도 넉백거리만 증가하므로 실질적인 의미는 거의 없다. 다만 대미지가 0이라곤 해도 일반적인 초식동물들처럼 좌클릭 공격을 통해 베리와 짚, 목재를 그럭저럭 채집할 수 있어 발전 초기 단계에서는 나름 유용한 편. 기본 무게량이 매우 높고 안장을 해금할 수 있는 레벨이 35로 낮은 편이라[* 다만 다인승 안장이라서 그런지 재료만큼은 해금 레벨에 비해 좀 비싸다. 섬유 600개에 가죽 850개, 목재 250개와 철 주괴 200을 요구하니 디플로도쿠스의 성능에 비하면 솔직히 조금 아까운 셈.] 그냥 짐꾼 용도 뿐이라면 대형 트럭같은 느낌으로 쓸만하지만 반드시 다른 방어 수단도 준비해 두어야 한다. 안장 덕분에 여러 명이 탈 수 있어서 각자 무기를 준비했다면 큰 방어 문제는 없는 편이기도 하며, 무게에 투자해서 테리지노 같이 채집 능력과 전투력은 좋은데 무게가 부족한 생물을 따라오게 하면서 채집품을 실어두는 용도로 활용할 수도 있다. 예시로 든 테리지노와 속도도 거의 비슷한 편이다. 다만 공격이 애정표현으로 처리되어 대미지가 전무함에도 불구하고 의외로 더미 데이터 상으로는 꼬리치기부터 짓밟기 등, 다른 용각류와 같이 상당히 다채로운 공격모션을 가지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제네시스 파트 2의 미션인 서바이브 더 아크에서 잡몹으로 등장하는 디플로는 이러한 공격모션을 써서 플레이어를 공격하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물론 야생 개체에 한해 앞서 얘기한 설정이 반영되었다고 한다면 말이 되나, 길들인 개체임에도 불구하고 그대로라는 것은 조금 의아할 수 있는 부분. 현재 디플로도쿠스가 가장 유용하게 쓰일만한 위치는 롤플레잉을 즐겨하는 플레이어들과 어찌어찌 길들일 기회가 생긴 저레벨 개체 뿐이다. 스스로 방어가 가능했다면 좀 더 후반에 파라케라테리움이나 브론토사우루스를 길들일 수 있을 때까지 훨씬 안정적으로 사용이 가능했겠지만 그렇지 못한 탓에 이미 스팀 창작마당에서는 앞서 말한 공격 모션과 그에 맞는 대미지를 추가해주는 모드가 매우 빠르게 인기를 얻었다. 그나마 일부 비공식 PvP 서버 등에서는 체력을 많이 높혀 터렛의 총알을 빼는 탱커 용도로 쓰이기는 하는 것이 다행. 조련 방식은 특이하게 기절 조련과 평화 조련 둘 다 가능하지만 조련 효율은 평화 조련으로 길들였을 때가 더 높게 나온다. 기절 조련의 경우 덩치도 큰 편이고 야생 상태에선 달리지 않고 걷기만 하는 특징 때문에 재료만 충분하다면 어렵지 않게 할 수 있지만 평화 조련의 경우 먹는 양도 많은 편이고 시간도 꽤 걸리며, 공격에 대미지는 없지만 큰 넉백을 주기 때문에 어그로를 대신 끌어줄 생물 및 적절한 지형이 없다면 접근해서 먹이를 먹이기조차 힘든 수준이다. 참고로 디플로는 베리와 키블을 포함해 농작물도 먹지만 농작물은 기절했을 때만 먹으니 기절 조련이 아니라면 베리나 키블을 먹여야 한다. 굳이 길들이는 것에 대해 팁을 주자면, 샌드백 역할을 할 공룡을 타고 와서 벽 쪽에 두고 공격받게 한 다음, 어그로가 바뀌지 않게 거리를 유지하며 디플로를 가두거나 달려가서 먹이를 주고 도망치기를 반복하는 것이 편하다. 아니면 아예 테이밍장을 만들어서 유인해 가둬놓고 먹이만 주거나. 만약 테이밍장에 가두었거나 주변에 위협이 없다면 디플로의 앞다리 사이에 들어가는 것도 좋다. 위치만 적당하면 디플로의 공격이 닿지 않으면서도 어그로는 계속 유지되 디플로가 움직이지 않아서 먹이를 주기가 수월해지기 때문이다. 에버레이션에서도 변종으로 등장하며, 에버레이션엔 브론토가 등장하지 않는 관계로 파라케라테리움과 더불어 가장 큰 초식 생물이 되었다. 디플로도쿠스의 알은 평범한 키블의 재료가 된다.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또는
기타 라이선스 (문서에 명시된 경우)
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07)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107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