떡밥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07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개인정보 처리방침 개정 안내
2020년 유튜버 뒷광고 사건/영향 및 반응/참PD가 저격한 채널
(r1 문단 편집)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 [[김나름]] ⟁ === 유튜브 커뮤니티에 논란에 대해 해명하는 입장문이 올라왔다. ||<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1f2023><tablebordercolor=#000,#888>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text-align:left" 오늘은 최근 많은 이슈가 되고 있는 '뒷 광고'에 대한 입장 표명을 하려고 합니다. 저를 믿고 사랑해 주시는 여러분들께 조금 더 빨리 입장 표명을 하고 싶었지만, 단어 하나하나가 법적인 문제로까지 다루어질 수 있는 만큼 변호사님 대동하여 글을 작성했어야 했기 때문에 시간이 조금 더 지체되었습니다. 보다 명확하게 작성을 하기 위함이었다 생각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1. 더보기란에만 협찬멘트를 고지하고 이제서야 '유료 광고 마크'를 삽입했다? 6.23일 공정거래위원회는 경제적 이해관계 공개의 원칙 및 유튜브, 인스타그램 등 사회관계 망 서비스(이하 SNS) 매체별 공개 방식 · 예시 등을 규정한 '추천·보증 등에 관한 표시·광고 심사 지침'(이하 추천 보증 심사 지침) 개정안을 확정하여 2020년 9월 1일부터 시행한다 라는 보도참고 자료를 배포하였습니다. (기존에는 추천/보증 등 표시광고법에 대한 "기재위치/방법/워딩" 등에 관한 가이드라인이 없던 상태입니다) 저 포함 많은 유튜버분들이 현재까지 광고 기재하는 법으로 사용한 더보기란 이나 고정 댓글 표기 및 다른 방안들은 영상을 시청하는 100%의 사람들에게 광고임을 인지시키기 어렵고, 정확한 판단을 할 수 없도록 혼동을 줄 수 있다는 점에서 개정된 내용입니다. '9.1일부터 시행이고 현재 공표기간이지만, (*공표기간이란? - 법이 시행되기 전에 여러 사람에게 널리 드러내어 알리는 기간) 소속사와 상의를 한 결과 '우리는 지금부터 표기법을 준수하자' 라며 9.1일이 아닌 7.24일부터 "유료 광고 마크" 추가 삽입을 시행하였습니다 현재 타 커뮤니티에서 제일 언급이 많이 되고 있는 것이 대왕 버블티 영상입니다. 더보기란에도 협찬 기재를 하지 않다가 이제서야 기재를 했다며, 오해의 소지가 있는 게시글이 올라오고 있는데, 이는 사실이 아니며, 업로드 당시부터 더 보기 란에 표기가 되어있었고 앞서 말씀드렸듯 7.24일 유료 광고 마크를 추가로 삽입하였습니다. 조금 더 신경을 쓰고 명확하게 하려고 '유료 광고 문구 적용'을 자진해서 즉시 시행했던 것이, "이제서야 유료 광고를 띄운다"라는 더 큰 오해를 불러온 것 같습니다. 더 보기란 광고 표기는 제일 윗줄에 적든 아랫줄에 적든 클릭하기 전까지 모든 사람들에게 인식되기가 어렵습니다. 보통의 광고를 진행시 '광고주, 대행사, 소속사, 유튜버'가 계약을 체결하게 되는데 작년부터 소속사 및 광고주 측에서 유료 광고 진행시 더보기란에만 기재를 요청을 하셔서 __(소속사측에서는 광고고지에 여러 가지 선택사항을 제시하였고 광고 당사자들과 더보기란에 기재하는 것으로 최종결정)__[* 원문 글에는 해당 문구가 없었으나, 커뮤니티 게시물을 수정해 문구를 추가했다.] 법적인 계약을 맺는 관계이니만큼 문제가 없을 것이라는 안일한 생각을 했던 것 같습니다. 하지만 제가 광고라고 100% 인식할 수 있는 영상을 제작하지 않았던 점에서 명백한 저의 잘못이었다고 생각합니다. 해당 부분에 관하여 사과의 말씀드립니다. 추가로 광고 영상에서 음식값을 지불하는 장면에 의아해 하는 분들도 계셔서 설명드리려 합니다. 대부분의 광고주들은 프랜차이즈 본사입니다. 그렇다 보니 각자의 지점을 운영하시는 가맹점 점주분들은 개인사업자 즉 개인 사장님들이시기에, 음식값을 지불을 한 것입니다. (지불 금액에 관하여는 광고주청구,소속사청구,본인부담 등으로 처리합니다) 저도 이슈가 이슈인만큼 많은 영상 및 커뮤니티 글을 확인을 하였습니다. 다시 한번 말씀드리지만 모든 시청자가 100% 광고임을 인지하도록 영상을 제작하지 못했다는 점에서 명백한 저의 잘못임을 인정하고 다시 한번 사과드립니다. 혹여나 직·간접적으로 피해를 보셨을 수 있을 분들께도 죄송하는 말씀 함께 전하고 싶습니다. 마지막으로 9.1일부터 '추천·보증 등에 관한 표시·광고 심사 지침'(이하 추천 보증 심사 지침) 개정안'이 시행되는 만큼 해당 내용을 잘 숙지하여, 영상 제작함에 앞서 신중에 신중을 기할 것을 약속드립니다. 오늘보다 내일이 더 나은, 항상 발전할 수 있는 여러분들의 나름이가 되도록 노력하겠습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 [[https://www.youtube.com/post/Ugw9eC2ls-ywT1dFg414AaABCQ|2020년 8월 3일 김나름 유튜브 커뮤니티에 올라온 사과문]] || 8월 3일 오후 11시경 나름TV의 [[김나름]]이 [[뒷광고]] 관련하여 글을 올렸는데, 김나름이 올린 글 중에는 '''작년부터 소속사 및 광고주 측에서 유료 광고 진행 시 영상 설명 부분에만 기재를 요청'''했다고 언급했다. 김나름이 언급한 광고 영상을 올릴 당시, 그녀는 샌드박스 소속이었다. 이는 도티가 샌드박스는 유튜브의 가이드라인을 준수했다는 주장과 대비되는 부분이다. 이후 커뮤니티 글이 문제가 되자 글을 수정했다. '소속사 및 광고주 측에서 유료 광고 진행 시 영상 설명 부분에만 기재를 요청했다'는 문구 옆에 ''''소속사 측에서는 광고 고지에 여러 가지 선택 사항을 제시했고, 광고 당사자들과 영상 설명 부분에만 기재하는 것으로 결정했다''''는 문구를 추가해 수정했다. 다른 유튜버들의 영상 댓글들에선 김나름이 자신에게 불리한 댓글들을 임의로 삭제하고 있다는 주장이 나오고 있다. 하지만 유튜브 댓글 정책 상 일정 수 이상의 신고를 먹으면 댓글이 자기 자신에게도 보이지 않게 되므로, 진짜 크리에이터 본인이 여론을 통제하는지 아니면 단순히 실드러들의 마구잡이 신고 때문에 댓글들이 블라인드 당하는지는 알 수 없다. 이후 [[https://www.youtube.com/watch?v=IXUsSXvBu6o|사과 영상]]을 올렸다. 변호사를 대동해서 글을 쓴 점, 그리고 광고임을 더보기란에만 적고 내돈내산처럼 영상을 찍어 올린 점에 대해서 사과했다. 유료 광고 박스 체크를 하지 않고 더보기란에만 적어서 본 문서에서는 ⟁ 표시를 했는데 댓글 여론은 § 표시한 유튜버처럼 매우 좋지 않다. 왜냐하면 예의 검은 썸네일과 어두운 복장에 죽어가는 얼굴로 울먹이는 모습, 그리고 뒷광고를 했는지 안 했는지 명백한 입장을 밝히지 않고 계속 돌려 말하는 것 때문이었다. 이러한 여론을 생각해서인지 본인의 인스타 계정에 있는 게시물을 전부 삭제하였다. 그리고 2021년 01월 11일 복귀했다. 복귀와 동시에 사과영상을 포함한 뒷광고 관련 흔적은 전부 삭제하였다.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또는
기타 라이선스 (문서에 명시된 경우)
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07)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107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