떡밥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07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서버 점검 공지
|
개인정보 처리방침 개정 안내
2017년 공영방송 총파업
(r2 문단 편집)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 언론계 === * [[SBS]] [[SBS]]는 당시 [[SBS 8 뉴스]]에서 주요뉴스로 계속 다루면서 지상파 방송사 중 가장 자세히 보도하였다.[[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001&oid=055&aid=0000569558|#]] 또한 2017년 10월 21일에 《[[그것이 알고싶다]]》 1097회로 '[[그것이 알고싶다/2017년 방영 목록#1097|몸통은 응답하라 - 방송 장악과 언론인 사찰의 실체]]'를 편성했다. * [[EBS]] [[EBS]]는 언론의 기능은 타 방송사에 비해 약했지만 뉴스로 [[http://news.ebs.co.kr/ebsnews/allView/10747218/N|보도하였다.]] 또한 [[지식채널ⓔ]]에서 [[이명박근혜]] 시절의 언론장악 및 현 [[한국방송공사|KBS]]·[[MBC]] 경영진을 정면으로 비판하는 '언론 4부작'을 방영했다. -[[http://www.ebs.co.kr/tv/show?prodId=352&lectId=10768447|1부 '그들의 공식']]/[[http://www.ebs.co.kr/tv/show?prodId=352&lectId=10769816|2부 '사라진 Why, 왜?']]/[[http://www.ebs.co.kr/tv/show?prodId=352&lectId=10771718|3부 '작전']][* 여기 나오는 [[국정원]] 마크가 [[일베]] 합성 로고로 보인다.]/[[http://www.ebs.co.kr/tv/show?prodId=352&lectId=10773030|4부 '지배']]- * [[JTBC]] 뉴스 <[[정치부회의]]>에서는 여당 발제 및 청와대 발제 당시에 진중하게 다루고 있으며 빠른 정상화를 소망하며, 예전의 [[MBC]]를 요원한다고 하였고, [[이상복]] 앵커, [[신혜원(기자)|신혜원]], [[최종혁]] 기자가 직접 MBC 파업 현장을 방문하기도 하였다. <[[JTBC 뉴스룸]]> 역시 [[손석희]] 본인이 MBC에서 몸담았는지라 해당 사건을 깊이 다루고 있다. * <[[뉴스타파]]> [[최승호(언론인)|최승호]] 앵커가 MBC 해직기자 출신이고 작가나 직원들도 마찬가지 입장이다. 또한 [[공범자들]] 상영 중 일어난 일이라, 촉각을 다루어 가며 보도하고 있다. 빠른 정상화를 촉구하였고 최승호 PD 본인은 MBC가 이지경까지 된데에 안타까움을 표했다. 또한 영화 [[공범자들]]의 마지막 장면에 '방송 장악에 저항하기 위하여 2017년 공영방송 총파업 투표를 실시함'을 알리는 자막을 추가하였다. * [[한겨레]] 주요뉴스로 매우 중요하게 보도 중이며 '경영진 퇴진 및 공영방송 정상화'를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001&oid=028&aid=0002379169|지지하고 있다.]] 그리고 9월 18일, 1면 톱뉴스로 [[이명박 정부]] 당시 [[국가정보원]]이 2010년 3월에 작성한 ‘문화방송 정상화 전략 및 추진방안’과 ‘한국방송 조직개편 이후 인적 쇄신 추진방안’ 문건을 입수하여 단독으로 보도하였다. 이 문건에는 [[MBC]], [[한국방송공사|KBS]]의 구성원을 사찰 및 퇴출하여 '''방송장악을 총지휘했다'''는 내용이 담겨있다고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001&oid=028&aid=0002380084|한]][[http://www.hani.co.kr/arti/society/society_general/811380.html|다.]] * [[경향신문]] '경영진 퇴진 및 공영방송 정상화'를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001&oid=032&aid=0002815922|지지하고 있다.]] 또한 언론노조 경향신문 지부는 2017년 공영방송 총파업을 지지하는 서명운동을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001&oid=032&aid=0002819358|전개했다.]] 또한 사설로 이번 파업으로 타파해야할 '방송 적폐'를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001&oid=032&aid=0002819191|제시했다.]] 그리고 [[남극의 눈물]], [[PD수첩]] 등을 연출한 [[김재영]] MBC PD가 이곳에서 '[[https://search.naver.com/search.naver?where=news&sm=tab_jum&query=MBC+%EB%AA%B0%EB%9D%BD+10%EB%85%84%EC%82%AC|MBC 몰락 10년사]]'를 연재한 바 있다. * [[한국일보]] '경영진 퇴진 및 공영방송 정상화'를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001&oid=469&aid=0000230435|지지하고]]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10&oid=469&aid=0000213662|있다.]] 또한 MBC 경영진을 비판하는 기사를 썼다. * [[조선일보]] '경영진 퇴진 및 공영방송 정상화'를 반대하고 있으며 이를 '언론장악'이라 주장하는가 하면, 단독으로 [[더불어민주당]]이 '언론장악 문건'을 썼다고 [[https://www.chosun.com/site/data/html_dir/2017/09/08/2017090800250.html|보도했다.]] 당시 더민주 측은 실무자가 만든 단순 자료에 불과하다고 해명했으나 보수 정치권에서 [[https://www.joongang.co.kr/article/21920467|이 문건을 비난했으며,]] 2022년 윤석열 정권 출범 이후 2023년 고대영 전 KBS 사장의 대법원 무죄 확정 등으로 보아 점차 사실일 거라는 여론도 형성되었다. 2023년 8월 8일 피해 당사자인 김장겸 및 고대영이 당시 문건 작성자들을 대검찰청에 고소하겠다는 [[https://www.newdaily.co.kr/site/data/html/2023/08/07/2023080700109.html|입장을 밝혔다.]] 아울러 미디어연대 측도 문건 관련자들을 검찰에 고소할 것이라는 뜻을 밝혔으나 2025년 1월 서울남부지방검찰청서 문건 작성 혐의자 중 안정상에 대해 무혐의 처리했다.[[https://www.mediaus.co.kr/news/articleView.html?idxno=312214|#]] * [[중앙일보]] '경영진 퇴진 및 공영방송 정상화'에 대해 그리 내켜하지 않았다. * [[세계일보]] 사설에서 체포영장이 방송장악 '''의혹'''을 사서는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001&oid=022&aid=0003206228|안 된다고 했다.]]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또는
기타 라이선스 (문서에 명시된 경우)
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07)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107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