떡밥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3.135.194.164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1992년 롯데의 우승 이후
(r6 문단 편집)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 팀 관련 ==== 1. [[태평양 돌핀스]]가 [[현대 유니콘스]]에 인수되었으며'''(1995)''', [[1997년 외환 위기|외환위기]]'''(1997)'''의 여파로 [[쌍방울 레이더스]]가 해체되고'''(2000)''', 8년 뒤에 [[현대 유니콘스]]가 해체됐다.'''(2008)''' [[해태 타이거즈]]는 [[현대자동차그룹]]으로 넘어가 [[KIA 타이거즈]]가 됐다'''(2001)'''. 그리고 [[SK 와이번스|네 개의]] [[키움 히어로즈|새로운]] [[NC 다이노스|프로야구 구단이]] [[kt wiz|탄생했다]]. '''(2000-SK), (2008-히어로즈[* 야구팀 자체가 팀명만 유지한 채 메인 스폰서를 계약 형식으로 영입하기 때문에 팀명인 히어로즈를 붙였다. 창단 당시에는 우리담배와 계약하여 우리 히어로즈였으며, 이후 넥센타이어와 계약해 오랫동안 넥센 히어로즈로 불렸고, 2019년부터 키움증권과 계약해 키움 히어로즈가 되었다. 정확한 표현은 아니지만 일반적으로는 '키움이 2008년에 창단되었다'라고 많이 쓴다. 참고로 키움증권과의 계약은 '''2023년'''까지로, 과연 그 전에 롯데가 우승을 할 수 있을지...]), (2013-NC), (2015-kt)'''[* NC는 2011년에, kt는 2013년에 창단했으나, 이곳에선 1군 참가 연도를 창단 년도로 다룬다.] 1. '''12명'''이 14번에 걸쳐 이 팀의 감독을 맡았다. [[강병철]]-[[김용희]]-[[김명성(1946)|김명성]]-[[우용득]]-[[백인천]]-[[양상문]]-[[강병철]]-[[제리 로이스터]]-[[양승호]]-[[김시진]]-[[이종운]]-[[조원우]]-[[양상문]]-[[허문회]].[* 이것도 대행이었던 [[김용철(야구)|김용철]]과 [[공필성]]은 제외한 수치이다.]. 1. 또한 이후 팀의 주장을 맡았던 선수로는 [[한영준]], [[김응국]], [[이종운]], [[공필성]], [[박정태]], [[강성우]], [[강상수]], [[조경환(야구)|조경환]], [[박현승]], [[김대익]], [[염종석]], [[손인호]], [[손민한]], [[정수근]], [[조성환(야구)|조성환]], [[홍성흔]], [[김사율]], [[박준서]], [[최준석]], [[강민호]], [[이대호]], [[손아섭]], [[민병헌]] 이렇게 '''23명'''이다.[* 이들 중 한영준, 김응국, 이종운, 공필성, 박정태, 강성우, 염종석은 92년 우승멤버이며, 김대익, 정수근, 홍성흔, 민병헌은 타팀에서 우승반지를 얻었으며 나머지 12명은 우승반지가 없다.] 1. 그동안 [[삼성 라이온즈]]는 무려 '''7번''' 우승했다.'''(2002, 2005, 2006, 2011, 2012, 2013, 2014)''' 게다가 삼성은 '''정규시즌을 5번 연속 우승했다,(2011~2015)''' [[KIA 타이거즈]]도 '''5번'''이나 우승했으며'''(1993, 1996, 1997, 2009, 2017)''' [[두산 베어스]] 또한 '''5번''' 우승했다.'''(1995, 2001, 2015, 2016, 2019)''' 게다가 2000년 창단한 [[SK 와이번스]]는 우승을 '''4번''' 하였으며'''(2007, 2008, 2010, 2018)''', 해체된 [[현대 유니콘스]]도 '''V4'''를 기록했다'''(1998, 2000, 2003, 2004)'''. 뿐만 아니라 2017년까지 [[58868996|최악의 비밀번호]]를 만들고 있던 [[한화 이글스]]'''(1999)'''도, 심지어 롯데와 [[엘꼴라시코|막장 더비]]로 유명한 [[LG 트윈스]]도 적어도 한 번 쯤은 우승했다.'''(1994)'''[* 또한 한화 이글스와 LG 트윈스는 21세기에 한번 진출을 더 했고([[2002년 한국시리즈|2002]], [[2006년 한국시리즈|2006]]) 둘 다 준우승했다. 공교롭게도 그때 대결한 상대 구단은 삼성으로 같다. 심지어 6차전까지 간 것도 같다.] 1. 21세기 이후 [[한국시리즈]]조차 못 나간 팀은 롯데와 2015년 창단한 [[kt wiz]] 밖에 없다. 2008년 창단한 [[키움 히어로즈|히어로즈]]조차도 2014년과 2019년에 한국시리즈 진출에 성공했고, 2013년 창단한 [[NC 다이노스]]마저도 2016년에 한국시리즈 진출에 성공하였다. 1982년 프로야구 출범이후 우승 많이 한 순서대로 나열하면, [[KIA 타이거즈|기]] > [[삼성 라이온즈|삼]] > [[두산 베어스|두]] > [[현대 유니콘스|현]] = [[SK 와이번스|S]] > [[LG 트윈스|L]] = [[롯데 자이언츠|롯]] > [[한화 이글스|한]]이다. [[쌍방울 레이더스]]을 대신하여 리그에 참여하게 된 [[SK 와이번스]]조차 4회 우승했다. 1992년 당시 롯데보다 우승횟수가 많았던 팀은 [[KIA 타이거즈|해태 타이거즈]]가 유일했으나 이후 삼성, 두산, 현대, SK, LG가 롯데의 우승횟수를 뛰어넘었거나 따라잡았다. 한화가 비록 우승은 한 번밖에 못했지만, 이 팀은 [[김영덕]] 감독 시절 한국시리즈에서만 약했지 정규시즌을 주름잡았다. 결국 1992년 이후 우승을 단 한 번도 못한 팀은 키움 히어로즈, NC 다이노스, kt wiz뿐인데, 이들은 모두 21세기에 창단한 팀들이다. 1. 1992년 이후 한국시리즈 우승팀의 1차전 선발은 [[조계현]], [[이상훈(좌완투수)|이상훈]], [[김상진(1970)|김상진]], [[이대진]](1996, 97), [[정민태]](1998, 2003), [[정민철]], [[김수경(투수)|김수경]], [[빅터 콜]], [[나르시소 엘비라]], [[마이클 피어리]], [[팀 하리칼라]], [[배영수]], [[케니 레이번]], [[김광현]](2008, 2010), [[아킬리노 로페즈]], [[덕 매티스]], [[윤성환]](2012, 13), [[릭 밴덴헐크]], [[유희관]], [[더스틴 니퍼트]], [[헥터 노에시]], [[박종훈(1991)|박종훈]], [[조쉬 린드블럼]] 등 27년 동안 12명의 토종 투수와 11명의 외국인 투수, 총 23명의 투수가 한국시리즈 1차전 선발을 맡았다. 롯데 소속 투수 중 올해도 맡을 일이 없으면 '''27년 동안 롯데는 한국시리즈 1차전에 나간 선발이 [[염종석]], [[박보현]]뿐이다. 게다가 그것도 모두 20세기 때 일이다.''' 1. 1992년 이후 한국시리즈 우승팀의 감독은 [[김응용]](1993, 96, 97, 2002), [[이광환]], [[김인식]](1995, 2001), [[김재박]](1998, 2000, 03, 04), [[이희수(야구인)|이희수]], [[선동열]](2005, 06), [[김성근]](2007, 08, 10), [[조범현]], [[류중일]](2011, 12, 13, 14), [[김태형(1967)|김태형]](2015, 16, 19), [[김기태(1969)|김기태]], [[트레이 힐만]] 등이다. 롯데보다 우승을 더 많이 경험한 감독도 5명이나 되고, 롯데와 우승 횟수가 같은 감독들까지 합치면 7명이나 된다. [[2018년 한국시리즈|2018년]]에는 [[트레이 힐만|외국인 감독]]이 우승을 경험하기까지 했다. 1. 이 와중에도 KIA 타이거즈의 한국시리즈 승률 100%는 깨지지 않았다. 1. 1992년의 [[염종석]] 이후 롯데의 신인왕은 아직도 나오지 않고 있다. 1. 한국 프로야구 역사상 가장 오랫동안 포스트시즌에 진출하지 못한 기록 두 개가 시작되고 깨졌다.'''([[6668587667|전자]] - 2003~2012, [[5886899678|후자]] - 2008~2017)''' 그리고 그 기록이 세워지기 전 '''[[8888577|롯데도 기록을 하나 세웠다.]]''' 다시 말해, '''롯데가 비밀번호를 끊자마자''' 한화가 비밀번호 바통을 바로 이어받아 쌓기 시작했다. 그리고 롯데가 비밀번호를 쌓기 전인 2000년에는 한화가 포스트시즌에 못 올라왔고, 한화가 비밀번호를 끊은 2018년에는 롯데가 포스트시즌에 못 올라왔다. 2019년부터는 두 팀 다 탈락했다. 그래서 [[1999년 한국시리즈]]에서 한화와 롯데가 대결한 이후로, 두 팀이 포스트시즌에 동반 진출한 적은 '''없다.''' 1. 2004년을 마지막으로 꼴찌를 기록하지 않은 롯데가 결국 2019년, 10구단 체제 최초 50승 이하 승리, 최저 승률(0.340)[* 2017년의 [[kt wiz]]마저도 50승 턱걸이는 했고, 승률 0.347은 기록했다.], 2010년대 중 뒤에서 두 번째로 최저 승률[* 첫 번째는 2013년 한화 이글스의 0.331.]을 기록하여 KBO구단 최초로 1980년대, 1990년대, 2000년대, 2010년대 모두 꼴찌를 기록하였다. --이 팀은 꼴찌에 한이 맺혀 있다. [[한화 이글스]]도 기록하지 않은 10년 단위 꼴찌에 [[kt wiz]]도 기록을 하지 않은 4년 연속 꼴찌를 경험했으니...-- 1. 나이로 따지면 아들뻘이나 다름없는[* 공교롭게도 롯데 자이언츠는 '''이대호와 동갑'''이고, NC 다이노스는 '''이대호의 딸과 동갑'''이다.[[https://m.dcinside.com/board/giants_new2/5682790?page=3|#]]]'''(2013년 창단)''' 제 9구단인 '''[[NC 다이노스]]'''가 포스트시즌에 진출하는 데 성공했고'''(2014)''', 한국시리즈에도 진출하는 데 성공했으며'''(2016)''', '''롯데는 역사상 한 번도 못 해 본 정규시즌 1위를 달성한다.(2020)''' 1. 마찬가지로 나이로 따지면 아들뻘이나 다름없는'''(2015년 창단)''' 제 10구단인 '''[[kt wiz]]'''가 5년간의 암흑기를 끊고 포스트시즌에 진출하는 데 성공했다'''(2020)'''.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으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3.135.194.164)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3.135.194.164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