떡밥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3.16.68.255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1992년 롯데의 우승 이후
(r6 문단 편집)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 문화 관련 === 1. 한국 최초의 100만 관객 돌파 영화 <[[서편제]]>가 나오고'''(1993)''', 10년 뒤 최초의 1,000만 관객 돌파 영화인 <[[실미도(영화)|실미도]]>가 나왔다.'''(2003)''' 1992년, 천만 명이 못 되던 한국 영화 관객 수는 '''2012년''' 1억 명을 돌파했다. '''2019년''' 기준, 천만 관객을 돌파한 영화는 26개이다. 자세한 건 [[천만 관객 돌파 영화]] 문서 참조. 그리고 [[봉준호]] 감독의 영화 [[기생충(영화)|기생충]]이 '''[[한국 영화]] 최초로 [[칸 영화제/황금종려상|칸 영화제 황금종려상]]을, 비미국 외국어 영화 최초의 [[아카데미상]] 작품상을 받았다.(2019, 2020)''' 1. [[김건모]]가 정규앨범 잠못드는밤 비는 내리고로 데뷔하고,'''(1992년 10월 29일)''' '''1993년'''에는 '''핑계'''로 대히트를 쳤으며, 2년 후에는 '''[[잘못된 만남]]'''을, 1996년의 다음 앨범 타이틀 곡 '''스피드'''가 대히트를 쳤다. 이 세 앨범은 연속으로 100만 장 이상 팔렸다는 기록이 있으며 특히 잘못된 만남은 '''280만 장이 팔려 [[기네스북]]에까지 올라간다.''' 게다가 [[음반]]시장의 트렌드가 [[앨범]]에서 디지털 음원으로 바뀜에 따라 [[god]]의 '길'을 끝으로 '''음반 판매량 백만 장'''시대가 끝난다. 하지만 이후 [[EXO]]가 [[밀리언셀러]] 부활의 주인공이 되었고, '''2018년''' [[방탄소년단]]이 대중음악 사상 최초의 '''초동''' 밀리언셀러 기록을 세우게 된다. 1. 원조 [[한국 아이돌]] 1세대라 할 수 있는 [[H.O.T.]]가 데뷔하였으며'''(1996)''' 이듬해에는 그 라이벌인 [[젝스키스]]가 데뷔'''(1997)''', 그 이후로 수많은 보이그룹과 걸그룹들이 태어나고 데뷔했다. 그들 중 롯데의 마지막 한국시리즈 1년 전인 '''1998년'''에 데뷔한 [[신화(아이돌)|신화]]는 '''현재도 해체하지 않고 활동을 계속하고 있다.''' 또한 '''2000년'''에 해체한 젝스키스는 '''2016년'''에 재결합을 하였고, H.O.T와'''(2018)''' NRG도'''(2017)''' 재결합을 했다. 1. [[무한도전]]이 '''2005년''' 4월 ‘소 줄다리기’로 시작하여 '''2018년''' 3월 31일까지 방영되며 ‘국민 예능’이라는 타이틀을 가지게 되었다. 1. 혼성 그룹의 최전성기가 바로 90년대 초 ~ 2000년대 초중반으로 볼 수 있는데, 철이와 미애부터 [[룰라|최고의]] [[쿨(혼성그룹)|혼성]] [[코요태|3대장]]이 등장했다. 그 후 혼성 그룹은 2010년에 등장한 [[남녀공학]]이 혼성그룹으로 데뷔한 지 얼마 못 가 걸그룹 [[파이브돌스]]와 보이그룹 [[SPEED(보이그룹)|SPEED]]로 흩어진 후 해체했고, '''2017년''' 데뷔한 [[KARD]]가 혼성그룹의 명맥을 이어가고 있다. 1. 일본의 [[드래곤볼|1억 부]] [[슬램덩크(만화)|이상이]] [[여기는 잘나가는 파출소|팔린]] [[원피스(만화)|5대]] [[나루토|만화]] 중 [[원피스(만화)|두]] [[나루토|개]]가 연재를 시작하였다. 그 중 [[나루토|'''1999년'''에 연재 시작한 만화]]는 연재를 완결지었지만'''(2014)''', [[원피스(만화)|더 일찍 연재 시작한 나머지 하나]]'''(1997~)'''는 계속 연재 중이다. 여담으로 나머지 3개 작품들은 롯데가 마지막 우승 하기 전에 연재를 시작해서 1992년 이후에 연재를 종료하였다.[* 여기는 잘나가는 파출소'''(2016)''', 슬램덩크'''(1996)''', 드래곤볼'''(1995)'''] 1. 롯데 자이언츠의 [[한국실업야구]] 시절이던 팀인 [[롯데 자이언트]]가 창단되기 20여년 전인 1950년부터 [[김성환(만화가)|김성환]] 작가가 그린 [[고바우 영감]]이 [[동아일보]]-[[조선일보]]-[[문화일보]]를 거치면서 '''총 14139회'''의 연재 끝에 완결하였으며 이 연재 기록으로 [[기네스북]]에도 올라갔다.'''(2000)''' 그리고 김성환 작가는 '''[[2019년]]''' [[9월 8일]]에 별세했다. 1. 대한민국 [[웹툰]]의 초창기인 '''2006년'''부터 [[네이버 웹툰]]에 연재를 시작하여 14년간 무려 '''1229회'''를 연재한 [[조석]] 작가의 개그만화 [[마음의소리]]가 완결하였다.'''(2020)''' 1. [[포켓몬스터(애니메이션)|포켓몬스터 애니메이션]] 시리즈가 시작하였고'''(1997)''' 주인공 [[한지우]]가 등장 이후 22년만에 우승하였다.'''(2019)''' 1. [[방탄소년단]]이 한국 가수 최초로 [[빌보드]] 200에 1위를 달성했다.'''(2018)''' 이후 Dynamite라는 곡으로 hot 200에 한국 가수 최초로 1위했다.'''(2020)''' 1. [[런닝맨]]이 2020년 7월 11일, 10주년을 맞이함에 따라 [[유재석]]은 대한민국 방송 역사상 최초로 3사 모두 20년[* KBS 1991~, MBC 2000~, SBS 1999~] 이상 활동하면서, 3사 모두 10년[* 해피투게더 2003~2020, 무한도전 2005~2018, 런닝맨 2010~] 이상 진행한 유일한 예능인이 되었다. 1. [[트와이스]]가 최초로 [[TWICEcoaster : LANE 2|걸그룹 초동 10만장을 돌파했고]] '''(2017.2)''', 그 이후 [[IZ*ONE]]이 [[BLOOM*IZ|걸그룹 초동 20만장과 30만장을 돌파했다]] '''(2020.2)''', 1. 1989년 [[인어공주(애니메이션)]]을 기점으로 침체기에서 벗어나던 [[월트 디즈니 컴퍼니]]가 [[ 디즈니 르네상스]]로 화려하게 부활에 성공하였고 '''2006년''' [[픽사 애니메이션 스튜디오]], '''2009년''' [[마블코믹스]], '''2012년''' [[스타워즈]]의 [[루카스필름]], '''2017년''' [[내셔널 지오그래픽]], '''2018년''' [[20세기 폭스]]를 인수하고, '''2019년'''에는 온라인 스트리밍 서비스인 [[디즈니+]]의 서비스를 시작하면서 미국 문화를 넘어서 세계 문화 시장을 주름잡는 굴지의 대기업으로 성장하였다. 2019년을 기준으로 세계구급 대박 영화의 척도인 [[10억 달러 돌파 영화]] 중 [[월트 디즈니 픽처스]]가 배급을 맡은 것은 자그마치 25편[* 개봉 순서대로 캐리비안의 해적: 망자의 함,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 토이 스토리 3, 캐리비안의 해적: 낯선 조류, 어벤져스, 아이언맨 3, 겨울왕국, 어벤져스: 에이지 오브 울트론, 스타워즈: 깨어난 포스, 주토피아, 캡틴 아메리카: 시빌 워, 도리를 찾아서, 로그 원: 스타워즈 스토리, 미녀와 야수, 스타워즈: 라스트 제다이, 블랙 팬서 어벤져스: 인피니티 워, 인크레더블 2, 캡틴 마블, 어벤져스: 엔드게임, 알라딘, 라이온 킹, 토이 스토리 4, 겨울왕국 2, 스타워즈: 라이즈 오브 스카이워커.]이며, 이 중 [[스타워즈: 깨어난 포스]], [[어벤져스: 인피니티 워]], [[어벤져스: 엔드게임]]은 20억 달러를 돌파하였다. 1. 부산을 배경으로 하는 [[해운대(영화)]], [[국제시장(영화)]], [[부산행]]이 개봉했고 천만 관객을 동원했다. '''(2009)''', '''(2015)''', '''(2016)''' 그 중 [[해운대(영화)]]는 [[이대호|롯데의 간판 타자]]를 비롯한 롯데의 선수단이 특별출연했으며, [[사직 야구장]]이 등장하며, 개봉한 지 10년이 넘게 된다. '''(2019)''' 1.[[KBS 2TV]]의 공개 코미디 프로그램 [[개그 콘서트]]가 방영되어'''(1999)''', 1000회를 맞았고'''(2019)''', 1050회를 끝으로 종영했다.'''(2020)'''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으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3.16.68.255)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3.16.68.255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