떡밥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07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개인정보 처리방침 개정 안내
-
(r1 문단 편집)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 하이픈 === [[영어]]에는 이 붙임표와 유사한 기호로 [[하이픈]]과 엔 대시(en dash) 2종류가 있는데, 둘의 쓰임이 다르다. 이 둘의 용법은 [[줄표]] 항목에 있는 엠 대시(em dash)와도 또 다르다. 하이픈은 [[forget-me-not]]처럼 띄어쓰기를 안 할 때, 엔 대시는 범위를 나타내거나 관련 있는 두 대상을 묶어서 표현할 때 쓰인다. 특히 범위를 나타낼 때 영어에선 물결표를 절대 쓰지 않기 때문에 한국인이 자주 틀리는 문장부호 중 하나. 한국어에서 사용되는 붙임표는 엔 대시로, 차례대로 이어지는 내용을 하나로 묶어 열거할 때 각 어구 사이에, 또는 두 개 이상의 어구가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나타내고자 할 때 쓴다. 프랑스어에서는 '트레 뒤니옹(trait d'union)'이라고 한다. * [[독일어]]의 합성명사 표기 * [[영남대학교]]: Yeungnam-Universität * [[나치 독일]]: Nazi-Deutschland * [[프리츠 발터 슈타디온]]: Fritz-Walter-Stadion 일반적으로 독일어의 합성 명사는 모두 붙여 써야 하지만, '''사전에 등재되지 않은''' 합성명사에 한해 하이픈이 쓰인다. * [[로마자]]로 표기하는 언어나 [[키릴 문자]]로 표기하는 언어로 작성된 문서의 경우, [[Soft Hyphen|한 문단의 길이가 길어질 때, 다소 긴 단어를 줄 바꿔서 써야 할 경우, 줄 바꾸기 전의 단어 중간에 사용되기도 한다]]. 참고로 마음대로 끊는 게 아니라 대개는 [[음절]] 단위로 끊도록 권장된다. 예를 들면 computer는 comp-uter로 끊으면 안 되고 com-puter 식으로 끊는 것이 보통이다. 대한민국 [[국립국어원]]에서는 하이픈이 들어간 단어나 인명을 외래어로 수용할 때 무시하고 붙여쓰도록 정해놓았다.(예: Schleswig-Holstein→[[슐레스비히홀슈타인]], Julia Louis-Dreyfus→[[줄리아 루이드라이퍼스]]) 오히려 하이픈을 그대로 표기하면 잘못된 외래어 표기로 간주된다. 특히, 이런 실수는 아마추어 번역가들에게서 자주 드러난다. [[엘더스크롤 5: 스카이림]] 등의 중세를 배경으로 한 작품의 아마추어 번역[* 가장 보편적으로 쓰이는 두 가지 한글패치인 엘더7판, 말미르판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실수이다.]이 대표적이다. 하지만, 인명에 대해선 위와 같은 외래어 표기법이 적절한지에 대해선 논란이 있다. 인명에 하이픈이 있는 경우 절대 다수는 그 이름을 쓰는 사람이 스스로 넣은 것이고, 거기에는 '이렇게 내 이름을 표기해 주시오'라는 의도가 담겨 있기 때문이다. 이름 표기에 민감한 사람의 경우엔 상당히 불쾌해하는 경우도 있으니, 적당히 눈치껏 대응하는 것이 좋다. [[스크리블너츠]] 언리미티드의 스테이지 Hyphen Heights 이름의 유래이다. [include(틀:문서 가져옴, this=문단, title=붙임표, version=62, uuid=e51592e2-992a-4db6-a727-b2c228c10b96)]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또는
기타 라이선스 (문서에 명시된 경우)
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07)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107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