떡밥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07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개인정보 처리방침 개정 안내
-
(r1 문단 편집)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 용도 == * 주로 '[[N/A|내용 없음]]'을 표시할 때 사용하기도 한다. * 표본 조사나 집계표에서 사례수로 칠 수 없는 수준의 표본이 수집된 경우엔 -를 사용한다.[* 다른 사례와 함께 정리하자면, 0.5% 미만의 표본이 수집된 경우엔 반올림해 0 내지는 0%라고 표기하며, 표본이 존재는 했단 수준의 극소량의 표본이 수집됐다면 -를 표기하고, 아예 존재하지 않으면 공란을 표기한다.] * 이 글자는 하이픈(Hyphen)이나 [[뺄셈]] 기호로 쓰일 수 있으며, 간혹 엔 대시(En Dash)로도 쓰일 수 있다. * 원래 용법은 유럽 언어에서 합성어를 만들 때 가독성을 위해 사이에 넣던 것이다. 예를 들어, ‘allinone’이나 ‘socalled’처럼 붙여 쓰지 않고 ‘all-in-one’, ‘so-called’로 쓰면 읽기가 한결 수월하다. 이는 한글 맞춤법에서 어원을 정확하게 보여주기 위해 초성 자리에 넣는 무음가 ‘[[ㅇ]]’과 그 용법이 흡사하다.[* /싸랄/로 발음되는 단어의 두 번째 음절 초성 ‘ㄹ’과 중성 ‘ㅏ’ 사이에 ‘ㅇ’을 넣어 ‘쌀알’로 적음으로써 이 말이〈쌀+알〉로 이루어졌음을 보이는 것. 이를 로마자로 구현하면 ‘ssaral’을 ‘ssar-al’로 끊어 적는 셈이다.] 혹은 말을 빠르게 속사포처럼 연이어서 한다는 묘사를 나타내기 위해 문학적인 장치로 활용할 때도 있다. 예를 들어 "I-don't-want-to-do-it."이라는 문장이 있으면, 이는 'I, don't, want...'처럼 단어 하나하나를 끊어서 강조하는 것이 아니라 'Idontwanttodoit'처럼 단숨에 붙여읽는다는 뜻이다.[* [[해리 포터 시리즈]]에서 해당 묘사를 특히 즐겨 사용했는데, 20주년 개정판이 나오기 전까지는 이 부분이 제대로 번역되지 않아 한국 독자들이 혼란스러워하는 경우가 많았다. 하이픈을 곧이곧대로 한국어 번역문에서도 그대로 썼는데, 이로 인해 한국 독자들이 해당 대사를 장음이나 쉼표처럼 받아들인 것이다.] * 형용사구에 이런저런 수식표현이 덧붙여져 길어질 경우, 어디까지가 형용사구인지를 명확하게 표시해주기 위해 하이픈을 사용하기도 한다. 예를 들면 able-bodied youth라든지, [[목이 달랑달랑한 닉|Nearly-Headless Nick]]이라든지, ice-cream-flavored candy라든지. 한국식 영어교육에서는 형용사구 형태가 되기 전(예: with an able body)과 형용사구로 바뀌었을 경우(able-bodied) 품사 구성이 달라질 때 하이픈이 붙는다고 가르치는 경우도 있었으나, 사실 품사 구성이 그대로 유지되어도 하이픈을 붙이는 경우는 워낙 많기 때문에 큰 의미는 없다. 단, 20세기 말부터는 이를 거추장스럽다고 느껴서인지 굳이 하이픈을 넣지 않는 경우도 많다. * 줄을 바꾸면서 쪼개지는 단어가 생길 경우, 원래 한 단어였음을 알리기 위한 용도로 하이픈을 사용하기도 한다. 이때 어디에서 단어를 끊고 하이픈을 삽입하느냐는 영어의 전통적인 [[음절]] 구분을 따른다. 예컨대, 아래 예문에서는 representative라는 단어를 음절로 쪼개면 rep·re·sen·ta·tive가 되는데, 이를 감안해 셋째 음절인 sen뒤에 하이픈을 넣어서 줄바꿈된 단어가 한 단어로 서로 이어짐을 나타내고 있다. > We, therefore, the represen- > tatives of the United States > of America ... * 주로 영국 영어에서 수를 발음대로 쓸 때도 사용한다. ‘65 grams’를 ‘sixty-five grammes’라고 쓰는 식. 가지번호, 부번호를 붙일 때에도 본번호와 구분하기 위해 쓴다. 3-1, 3-2, 3-3 등의 예가 있다. 전화번호에서도 가독성을 높이기 위한 용도로 쓰인다.[* 단, [[중국]]에서는 그런 거 없이 한 줄로 숫자만 죽 쓰는 경우가 많다. 예를 들면 13811234567. 이 중 앞의 4자리는 통신사가 정해지면 고정되며, 1381 말고도 통신사에 따라 다양한 번호 조합이 있다.] * [[프랑스어|불어]]에서는 대명사의 도치가 일어날 때 하이픈을 쓴다. 예를 들면 Qui êtes-vous?(당신은 누구십니까/너희들은 누구니)라든지. [[EVE 온라인|이브 온라인]]에서 널섹성계의 이름이 yk-a76 이런식으로 지어지는데 이쪽에선 하이픈 보다는 ‘텍’으로 부르는 편이다.[* 위에서 나온 하이픈의 읽기 방법 중 하나인 ‘테크’를 발음하기 쉽도록 빨리 발음한 것이다.]〈와이케이텍에이세븐식스〉이런식으로 말이다. 이렇게 다 부르기보단 ‘와이케이텍’처럼 앞의 몇글자만 부르는게 대부분이다.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또는
기타 라이선스 (문서에 명시된 경우)
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07)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107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