떡밥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7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개인정보 처리방침 개정 안내
히로인 쟁탈전
(r1 문단 편집)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 창작자에게 === 일각에서는 히로인 쟁탈전이 일어나는 작품들에 대해 캐릭터나 스토리를 제대로 이어나가지 못하니까 논란거리가 될 것을 감안하고도 괜시리 시선 끌기용 소재랍시고 자꾸 묘사하는 양상이 반복되는 것이라고 작가의 역량 부족과 연관지어 히로인 쟁탈전을 까기도 한다. 히로인 쟁탈전 자체가 주요 소재인 작품도 있고, 제법 재미있게 소재를 활용해 극의 긴장감을 높이는 요소로 써먹는 작가들도 없는 것은 아니지만 [[니세코이]] 등의 예시처럼 스토리와 함께 히로인 쟁탈전도 질질 끌어지거나 하다 보면 결국 스토리도 캐릭터도 관계노선도 이상해지는 경우가 많다. 또 이쪽 소재를 끌어다 써도 잘 못 쓰는 작가들은 기존 히로인 쟁탈전의 클리셰를 그대로 답습하거나, 그것보다도 더 재미 없게 써서 뭐하러 이걸 끼워넣었나 하는 전개로 가는 경우도 많다. 여러 히로인들의 주인공을 향한 연애 경쟁 관련 내용만으로도 상당 부분의 에피소드 내용 땜방치기 하는 것도 가능하고 사람들의 시선을 끌기 좋은 소재니 작가들이 안 쓰기도 힘든 게 히로인 쟁탈전이지만, 역량이 부족한 작가가 써봤자 실력을 감춰주기보단 오히려 낮은 역량을 그대로 까발려주는 지표가 될 수도 있는 소재이기도 하다. 그야말로 [[양날의 검]]이 따로 없다. 작가가 히로인을 확고하게 정해줘도 스토리텔링과 연출이 따라주지 못하면 독자들에게 자신이 지지하는 커플링이 별로 먹히지 않는 꼴을 보게 될 수도 있다. 심할 경우 독자들이 공식 커플링을 없는걸로 취급해버리는 수가 있다. 공식 커플링이 가지는 어필력은 매우 강력함에도[* 보통 공식 커플링이 결정나고 완결까지 날 경우 공식 커플링이 확정 전엔 비인기 커플링이어도 단순히 공식이란 이유로 파는 사람들이 생기거나 이쪽으로 환승하기도 한다.][* 히로인이 어느 정도 비호감도가 있던 캐릭터라도 공식 커플링 결정 이후 민심이 변한 대표적인 예 중 하나가 [[미래를 보는 투자자]]의 엘리 김. 커플링 전에는 투자은행 법무팀 국제변호사라는 애가 허구한날 놀러다니고 싶어하며 '히잉'하고 어리광이나 부리는 캐릭터라고 비호감 느끼는 독자들이 많았지만, 커플링이 결정되고 나서는 주인공에게 껄떡대는 여캐들이 나올 때마다 임자 있는 애를 왜 노리냐며 철벽의 방어를 해 준 것도 독자들이었으니 공식 커플링의 어필력이 그만큼 대단한 것.] 이런 결과가 충분히 나올 수 있다는 것. 결국 커플링 쟁탈전은 작가의 역량 문제로도 귀결된다고 볼 수 있다.[* 실제로 커플링 쟁탈전 논란이 난 커플링 중에는 작가가 고의적으로 낚시질을 하며 소비자들을 헷갈리게 하거나, 작가가 연애묘사에 취약했거나, 작가가 자신이 지지하는 커플링을 이루는 캐릭터의 묘사가 좋지 못해 그 커플링의 주가를 스스로 떨궜거나, 작가가 자신이 지지하는 히로인과 커플링을 위해 스토리에 무리수를 뒀거나, 작가가 자신이 지지하는 커플링에 관한 복선을 깔긴 했으나 작가와 일부 독자들만 알만한 수준의 연출을 보탠게 독이 되는 경우가 상당수다. 대표적인 예시가 바로 나루토. 시카테마와 그 전 세대 커플들을 제외한 나루토 내의 공식 커플이 모두 개연성 문제로 비판을 받고 나루사쿠를 이용한 고의적인 낚시질로 소비자들을 헷갈리게 했다.] 그 악명높은 [[명탐정 코난]]의 [[모리 란]]과 [[하이바라 아이]] 간의 히로인 쟁탈전이 대표적인 사례로, 이쪽은 작가가 모리 란 쪽을 대놓고 밀어주고 있고 미디어믹스에서도 [[눈동자 속의 암살자|극장판 4기]]등으로 열심히 밀어주고 있어 모리 란이 질래야 질 수가 없는 싸움이나 문제는 [[기다리는 히로인]]이라 [[검은 조직]]과의 메인 스토리에서 활약하기 힘들고 그 빈 공간을 [[하이바라 아이]]가 제대로 파고들며 활약하니 양 팬덤의 갈등이 심해진 것이다.[* [[하이바라 아이]]도 만월의 밤 이후로는 검은조직과의 접점이 줄어들었다.] 작가가 어떤 커플링을 지지하든 대다수의 소비자들이 납득할만큼 어필하는 것에 실패했다면 소비자들은 작가가 지지하는 커플링이 아닌 자신들이 느끼기에 더 매력있거나 더 확정 가능성이 높다 여겨지는 커플링을 지지하고 완결 때까지 싸움이 안 끝나는 수가 있다. 게다가 작가가 지지하는 공식 커플링이 팬덤에게 미움을 샀을 경우 그 공식 커플링에 관련된 캐릭터의 주가까지 함께 추락하는 수가 있다.[* 그래서 일부 작가들은 작품에서 공식 커플링 자체를 내놓지 않고, 커플링을 아예 팬덤의 [[2차 창작|상상의 영역]]에 맡기는 식으로 이 논란을 회피하고자 한다. 혹은 아예 커플링을 깨 버리고 새로운 커플링을 만들기도 하는데, '회귀했는데 힘이 그대로다'에서 주인공이 성다경과 깨지고 영소진과 이어지면서 엔딩까지 가는 게 그 예. 애당초 성다경이 그다지 호감캐는 아니었던지, 아니면 두 사람의 썸 타는 서사가 영 별로였는지, 주인공과 썸타는 과정에서 헌터가 연애하는 소설이냐며 무지막지한 욕을 얻어먹었는데, 그 와중에 욕 안 먹고 뒤에서 숨어있던 영소진이 히로인 자리를 주워먹었다. 근데 영소진의 경우는 어느순간부터 주인공과 거의 생사를 같이 한 전우라서 그런지 두 사람 연애하는 게 비난받는 일은 크게 없었으니 결국은 이것도 연애 자체가 문제라기 보다는 캐릭터나 서사의 문제였다.] 팬덤에서 벌이는 히로인 쟁탈전에 작가마저도 휘말릴 경우 스토리 자체가 망가지게 되거나 감당 못한 작가가 열린 결말이라는 사태를 보여버릴 수도 있다. 더 나아가 승리한 히로인을 정해놓고도 패배한 히로인의 팬덤의 비난을 감당하지 못해 애매하게 하렘으로 묘사하려다 모두에게 신뢰를 잃어버리는 경우도 비일비재하다. 그래서인지 작가들도 메인 히로인으로 삼을 애들을 서브 히로인들에 비해 [[진 히로인|확고한 위치에 있는 히로인]]으로 인식시키기 위해 공을 꽤 들이기도 하고,[* 문제는 이 과정에서 작가/미디어믹스 제작진의 편파가 들어갈 경우다. 특정 히로인을 밀겠답시고 공식에서부터 다른 히로인을 심하게 후러치기하는 경우가 발생할 때 팬덤 내에서 논란이 커진다. 일부 작품은 연애 히로인들끼리 서로 편파질하는 걸 넘어서서, 아예 스토리 히로인과 연애 히로인을 나눠놓고도 특정 히로인을 모든 방향에서 미느라 다른 히로인을 그 히로인의 담당 영역에서까지 홀대/후려치기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논란이 더 심해질 때가 있다. 여하튼 특정 히로인들끼리 편파가 장기화될 경우 팬들이 그냥 히로인은 제작측에서 밀고 싶은 캐로 하나만 내보내지 그러냐라는 말을 할 정도다. 물론 히로인을 굳이 메인 1 + 나중에 패배할 여럿으로 내세우는 건 작가 입장에선 소비자의 니즈 충족의 폭을 넓히려는 노력의 일환이긴 하다. 히로인이 여럿일 때 아무리 특정 히로인의 취급이 안 좋아도 그 히로인 하나 보려고 붙는 팬들이 있기 때문이다.] 히로인 숫자를 줄이거나[* 오히려 히로인 숫자가 줄일 경우 히로인 쟁탈전이 매우 심해진다. 반대로 [[하렘물]] 전개로 갈 경우 팬덤 전체의 히로인 쟁탈전의 강도가 낮아지는 경우가 발생한다. 적을수록 승자와 패자가 확실히 갈려지기에 팬들이 목숨 거는 반면, 히로인 숫자가 많아지면 많아질수록 자기가 원하는 히로인만 파는 경향이 더 늘어난다. 물론 하렘계에서도 히로인 쟁탈전이 아주 없는 건 아니나, 주인공과 히로인 2체제 삼각관계로 싸우는 것보다는 전반적으로 덜한 편이다.] 히로인 외엔 주인공과 엮이는 여캐가 없도록 하는 등의 수를 쓰기도 한다. 아니면 아예 모두와 같이 있는 게 좋다는 [[하렘 엔딩|하렘 전개]]로 가버리기도 한다. 히로인 쟁탈전을 작가 쪽에서 돈벌이용으로 쓰는 것에 대한 비판의 소지가 있다. 이렇듯 히로인 쟁탈전은 작중 전개가 '히로인 쟁탈전 = 돈벌이' 공식이 성립 안 하게 될 때 치명적인 타격을 불러일으킬 수 있는데, [[반면교사]]격 사례로 독자 간 히로인 갈드컵을 대놓고 조장했지만 남주를 없애서 안 이어주고 부실하게 끝내버린 [[【최애의 아이】]]가 완결 후 [[【최애의 아이】/비판/결말 논란|논란]]이 많았다.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또는
기타 라이선스 (문서에 명시된 경우)
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7)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7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