떡밥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07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서버 점검 공지
|
개인정보 처리방침 개정 안내
후지와라 분타
(r1 문단 편집)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 1부 === 모종의 이유로 드라이버를 그만두고[* '나도 나이가 찼다'고 얘기는 하지만 틈틈이 연습하는 것인지 실력이 죽지도 않는데다, 작품 초반에 '차라리 내가 나갈까? 이런, 피가 끓어 오르는군'하고 근질근질하는 모습을 보면 싫어서 그만둔 건 아닌 듯하다. [[쇼지 신고]]와의 배틀에서 망가진 86을 고치는 김에 유이치랑 드라이브를 갔을 때 "뭐가 됐건 '''내가 하지 못했던 일을 해주면 그걸로 만족한다'''"고 말한 걸 보면 역시 레이스에 미련이 있었던 게 맞는 듯하다. 유이치도 옛날에 분타와 같이 어울리던 하시리야 시절이 생각났는지 씁쓸한 웃음을 짓는다.] [[후지와라 두부점|두부가게]]를 운영하고 있으며, 자신은 집에서 두부를 만들고 그 배달을 아들 [[후지와라 타쿠미]]에게 시키고 있다. 다만 어디까지나 먹고 살기 위해서인지 두부를 즐겁게 만드는 모습은 보이지 않는다.[* 단행본에 나온 공식 프로필에 싫어하는 것이 두부로 되어 있는데, 아들인 타쿠미도 몸에 두부 냄새가 배어 그 냄새가 나는 게 고민이라고 할 정도로 부자가 두부를 별로 안 좋아한다. 아마도 생계 수단이라서 부자가 모두 두부에 좋은 기억이 없는 모양인데, 아마도 딱히 하고 싶지는 않던 가업을 그대로 물려받은 듯하다. [[슬램덩크]]의 [[변덕규]]처럼 꿈이 좌절되면 가업을 잇는 모습은 일본 만화의 [[클리셰]]이자 실제 일본에서 흔한 일이기도 하다.] 또한 작중에선 아내에 대해 언급되지 않는데, 작가도 '죽었든지 남편과 아들을 버리고 도망갔든지 둘 중 하나'라며 명확하게 설명하지는 않았다. 일반적인 엄마라면 당연히 아들 죽일 셈이냐고 말렸을 터이니 깔끔하게 무시한 듯.[* 굳이 앞뒤 맥락을 추론하자면 타쿠미를 낳은 이후에 어떻게든 작별했고, 분타가 묵묵히 아들을 키우는 동안 '무심한 듯 철저한' 성격이 고스란히 타쿠미에게 이어졌다고 봐야 한다.] 어쩌면 작가가 초반에 분타가 드라이버를 그만 둔 이유에 아내가 관련 있는 얽힌 이야기로 풀어낼 생각이었을 수도 있다. 그렇게 두부 배달이라는 명목으로 실력을 갖춘 타쿠미가 [[타케우치 이츠키]]와 [[타치바나 유이치]] 등 주변인물의 설득에 의해 공도 레이싱에 출전하자, 옛날 생각이 났는지 적당한 선에서 어드바이스와 [[모기 나츠키]]와의 데이트를 위해 차량을 빌려주겠다는 당근을 던져주며 가르친다. 사실 처음에는 어디까지나 배달용 두부가 망가지지 않도록 가르쳤던 것인데, [[부전자전|자신을 닮아 제법 소질을 보이자]] 타쿠미 몰래 세세한 부분을 튜닝하며 자신의 스타일대로 달리도록 유도했다고 한다. 그러면서도 타쿠미가 말도 없이 86을 가져가고 85를 갖다놓는 만행을 저지르자 단번에 85임을 간파하며 당황하거나,[* 타쿠미 日 "아빠 미안, 나 잠깐 원정 배틀 뛰고 올게. 대신할 놈은 두고 간다." - 타쿠미.] 아들이 운전석 옆에서 빤히 쳐다보면서 듣고 있는 줄도 모르고, 집의 차고에서 86의 쓰로틀을 힘껏 밟아대며 배기음에 심취해 있다가 타쿠미에게 옆집 시끄럽게 뭐하냐며 한 소리 듣기도 한다. 그러다 타쿠미가 [[모기 나츠키|이런저런]] [[스도 쿄이치|이유로]] 86의 엔진을 날려먹었을 때는 묵묵히 트럭을 몰고 나타나 86을 회수하면서 타쿠미를 다독이며 '레이스를 하다 보면 이런 일도 있는 법이다'라며 넓은 아량을 베푸는 장면은 이니셜D에서 매우 감동적인 장면이다.[* 일전에도 [[쇼지 신고]]와의 배틀에서 타쿠미가 이기기 위해 팔육을 들이받으며 무리한 코너링을 돌았음을 눈치채자 "그래서 이겼냐?"고 물어볼 뿐 더 혼내지 않았고, 마음을 터놓고 얘기할 수 있는 친구 유이치 앞에서는 '점점 레이스에 재미를 붙이는 게 느껴진다'면서 즐거워하기도 했다.] 그리고 새로운 엔진을 장착한 이후로는 '이제 반쯤은 네 차나 다름 없다'면서 사실상 넘겨주고, 일부러 타코미터는 봉인해 둬서 타쿠미의 [[호승하다|호승심]]을 부추기는 등 "자기 차"라는 것이 무엇인지, 또 그것을 어떻게 아끼고 [[튜닝|다듬어야]] 하는 지를 가르친다. 실제로 새로운 엔진을 갓 장착했을 무렵엔 몸소 테스트를 하다가 양 무릎이 까지기도 했고 타쿠미를 배려해서 최대한 세팅을 가볍게 하기도 했다. 그런가 하면 1부의 대미 중 하나인 이로하자카의 [[코가시와 카이]]와의 대결에서는 과거의 라이벌이자 카이의 아버지인 코가시와 켄과 아들들을 내세워 '어느 쪽이 잘 가르치는지'에 대해 일종의 [[대리전]]을 치르게 된다. 여기서도 이로하자카 점프만 있으면 완벽한 역전승이라며 자만하는 켄과 달리 어차피 막지 못할 라인이라면 어정쩡하게 대처하다 실수할 필요는 없다고 판단하며 언급 자체를 해주지 않았고, 그에 대한 해결책도 타쿠미가 스스로 판단할 수 있도록 에둘러서 표현했다. 막상 자기도 유이치에게 계획을 설명할 때 '너무 엉터리인가'하고 속으로 당황하기도 했지만, [[스도 쿄이치]]가 지적했듯이 승부의 결정적 요소인 [[낙엽]]이 있었으니만큼 [[운|'승률 50%']]는 엉터리가 아니었다.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또는
기타 라이선스 (문서에 명시된 경우)
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07)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107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