떡밥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07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개인정보 처리방침 개정 안내
헌혈
(r1 문단 편집)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 혈액 검사 결과 === * 들어가기 전에: '''[[https://www.bloodinfo.net/knrcbs/cm/cntnts/cntntsView.do?mi=1114&cntntsId=1084|제발 에이즈 감염 여부를 확인하려고 헌혈하지 말자. 혈액원에서는 절대로 에이즈 검사 결과를 통지하지 않는다.]]'''[* 이 점은 대한적십자사나 한마음혈액원이나 동일하다.] 본인이 에이즈 감염 가능성이 있음을 알면서[* [[https://www.mohw.go.kr/synap/doc.html?fn=202503040944338822.pdf&rs=/upload/result/202507/|1년 이내 동성 간 성접촉]] 등] 헌혈한 경우, [[헌혈/조건 및 과정#혈액 사용 보류 및 자진배제 신청|자진배제 신청]]을 하도록 하자. [[http://www.bloodinfo.net/|대한적십자사 혈액관리본부 홈페이지]]나 레드커넥트 앱에 회원 등록한 사람은 헌혈한 다음 날부터 홈페이지나 앱으로 검사 결과를 볼 수 있다. 전혈, 혈소판 등은 헌혈 다음 날 낮에 결과가 나오고, 혈장은 다음 날 저녁쯤에 나온다. 다만 로그인만 필요한 헌혈 예약 등의 서비스와 달리,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로그인 후 추가로 인증 절차가 필요하다. 생체인증(지문 등)이 가능한 기종이라면 레드커넥트 앱에 생체인증 정보를 등록해 편하게 열람할 수 있다. 보통 [[ALT]]나 [[간염]], [[혈액형]] 등의 검사 결과만 포함되나, 특정 성분이 기준치를 벗어났다면 관련 검사 결과를 추가로 발송한다. 다만 정확한 것은 아니므로, 필요하다면 직접 내원해서 정확한 건강 상태를 알아보자. 오진이었다면 [[대한적십자사]]에 연락해 병원 진료비를 돌려받을 수 있다. 헌혈의 집 기준 [[혈액검사]] 항목은 다음과 같다. * 헌혈 종류에 상관없이 검사 * 총단백 * [[B형 간염]](항원검사, 핵산증폭검사) * [[C형 간염]](항체검사, 핵산증폭검사) * [[매독]] 항체 * ABO혈액형 아형 * 전혈, 혈소판, 혈소판혈장 헌혈 시 검사 * [[ALT]](알라닌분해효소) * [[사람 T세포 림프친화 바이러스|인체T림프영양성바이러스]] * 비예기항체 * 추가 검사 시 검사: 추가 검사는 30세 이상의 등록헌혈자 등을 대상으로 일정 시기마다 1번씩 진행해 준다. * [[말라리아]] 항체[* 혈액관리본부 사이트에는 추가 검사로 나오지만, 헌혈자가 경기, 강원, 인천 및 서울이라면 상관없이 검사하는 것으로 보인다. 이들 지역은 말라리아 주의 지역을 포함하고 있거나 인접하고 있다.] * [[AST]](아스파르테이트아미노전달효소) * [[알부민]] * 요소질소 * (총)[[콜레스테롤]] 지속적인 헌혈 시 [[ALT]]수치 변화를 확인할 수 있어, 정기적인 혈액검사 효과가 있다. 지속적인 이상수치를 통보받았던 사례자가 혹시나 싶어 병원을 찾은 결과, [[지방간]]을 발견한 사례가 있다. 헌혈의 집에서 하는 혈장 헌혈은 기본검사 목록에 혈장 ALT 검사를 포함하지 않으니 주의. 본인이 '''채혈 전에''' 검사를 요청한다면 받을 수 있다. 헌혈카페에서는 현재까지 ALT 검사가 기본으로 진행되므로, ALT 수치에 민감한 혈장 헌혈자라면 헌혈카페를 이용하는 것도 방법이다. 다만 헌혈 혈액검사의 본 목적은 수혈의 안전성 확보이며, 헌혈자 개인의 건강상태 확인을 목적으로 한다면 보건소나 병원에서 비용을 지불하고 검사를 받는 것이 바람직하다. 대부분 지역에서는 보건소에서 저렴한 가격으로 혈액검사를 받을 수 있다. 총 단백이나 알부민은 정상치보다 조금 높게 초과해도 대부분 원래의 헌혈 가능한 날짜에 헌혈 가능하다. 혈액 검사 결과 때문에 문의가 필요하다고 뜨는데 총 단백이나 알부민이 기준치보다 높으면, 혈액원에 전화하면 다른 이상이 없다는 전제하에 원래의 가능한 날짜에 헌혈할 수 있다. 추가로 ABS(비예기항체)등 대부분의 건강검진에 없는 항목도 있다. ABS(비예기항체)란 예측 불가능한 항원을 말하며, 이 항원이 수혈자의 체내에 들어갔을 때 어떤 반응을 보일지 알 수 없기에 전혈 헌혈은 거부된다. 혈장 헌혈은 허용되며, 수혈이나 일상생활에도 문제 없다.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또는
기타 라이선스 (문서에 명시된 경우)
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07)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107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