떡밥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07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개인정보 처리방침 개정 안내
헌혈
(r1 문단 편집)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 헌혈 기념품 === 헌혈은 무상 증여가 원칙이다. 하지만 헌혈자의 체력, 시간 등 헌혈에 들어가는 노력을 고려하고 헌혈의 뜻을 기념하는 의미에서, 또 헌혈 참여도를 높이기 위해 기념품을 제공한다. 매년 실시하는 대한적십자사 자체 설문 조사 결과를 보면 헌혈자들의 헌혈 이유 중 높은 순위에 기념품이 있는 것으로 조사되어, 헌혈을 독려하기 위해서 기념품을 지급하는 것은 앞으로도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 헌혈 주관 기관에서도 매년 기념품 선호도 조사를 통해 헌혈자들이 가장 원하는 기념품을 맞춰주기 위해 노력하는 편. 봉사활동은 아무 대가가 없는 것이 원칙이지만 식비와 교통비를 지급하는 것은 허용하며, 보건복지부에서 헌혈을 4시간의 봉사활동으로 인정하므로, 교통비, 식비에 상당하는 금액의 기념품을 지급하는 것 또한 문제 될 것이 없다고 볼 수 있다. 실제로 헌혈 기념품들의 금전적 가치를 굳이 따지면 한 끼 식비 정도의 가치밖에는 되지 않는다. 특히 외식 상품권이 꾸준히 존재하는 이유가 헌혈했으니 빈혈이 올 수도 있으니까 뭐 사 먹고 사고치지 마라 정도의 의미 정도다. 실제로 70년대에는 헌혈 기념품으로 [[계란프라이]]가 들어간 [[식빵]]을 줬다는 [[https://www.yna.co.kr/view/AKR20241203128100530|증언]]도 있다. 시대가 변함에 따라서 [[요기]] 목적의 간단한 음식물을 지급한 것이 그에 상응하는 값어치의 [[상품권]]이나 생필품으로 대체되었다고 생각하면 얼추 맞는다. 한국에서는 헌혈 마스코트 캐릭터 상품이나 문구, 세면도구, 스킨•로션 등 생활용품에서부터 영화 관람권, 외식 상품권 등 지류권까지 다양한 기념품을 제공한다. 그 밖에도 후술할 유공장 및 헌혈 증명서 등을 발급받아 [[자원봉사]]나 취업이나 합격, 금리 관련한 [[인센티브]] 혜택도 존재한다.[* [[미국]]에선 SAT 성적은 물론 학교 성적까지 최고 수준이었던 엘리트가 헌혈을 하지 않았다는 이유로 의대에서 떨어졌다는 일화가 있다. 헌혈 기록도, 봉사 기록도 없는데 어떻게 남을 위한 의사가 될 수 있겠냐며 탈락시켰다고. 이게 진실인지는 애매하나 최소 70년대 이전의 사례일 가능성이 크다. 오히려 존스 홉킨스 의대에서는 면접에서 '사회적인 미덕을 강제하는 사례'로 헌혈에 대한 강요를 문제로 낸 적이 있다. 이것이 실제 사례라면 굉장히 위험한 것이, 건강상 이유로 헌혈을 해서는 안되는 학생이 탈락하지 않기 위해 헌혈을 하면 큰 문제가 될 수 있다.] 한국 헌혈 기관의 기념품에 대해서는 [[헌혈의 집]], [[한마음혈액원]] 문서로. 2011년까지는 [[문화상품권]]을 제공하였으나 문화상품권은 현금 환급성이 높아 매혈 논란이 제기되었고 결국 문화상품권 지급은 중단되었다가, 2019년 재개되었다. 문화상품권 지급 중단과 함께 기부권 기념품이 도입되었다. 헌혈 종류에 따라 3,500원에서 8,500원까지를 본인 명의로 기부할 수 있으며 이렇게 모인 기부금은 백혈병/소아암 환자 치료비 지원, 취약계층 재활 치료비 지원, 개발도상국 인프라 지원 등 여러 사업에 사용된다. 이 기부권은 [[연말정산]] 기부금 항목에 들어가며 혈액관리본부 홈페이지에서 기부금 영수증을 출력하면 연말정산 증빙 서류로 사용할 수 있다. 한편, 헌혈 주관 기관에서 제공하는 헌혈 기념품 외에, 가수 팬덤/기업/음식점/지자체 등에서 가수/서비스/제품/업소/지자체 사업 홍보 혹은 사회 공헌을 목적으로 음반/서비스 이용권/자사 제품/음식점 쿠폰/지역화폐 상품권을 헌혈자들에게 제공하기도 한다. 이것들은 헌혈 주관 기관이 직접 예산을 집행하여 제공하는 것이 아니며 따라서 '헌혈 기념품'이 아니다. 과거 [[머지포인트]]가 [[머지포인트 사태]]를 일으키기 직전에 사용자 유치를 위해 헌혈자들에게 머지포인트 쿠폰을 배포했던 적이 있는 것처럼 헌혈자들의 주의가 필요한 사례도 있다. 일부 지자체는 지역화폐를 적립해 주기도 한다. 대표적으로 [[서울특별시]] [[노원구]]로 노원구 자체 블록체인 기반 [[노원]]은 [[노원구]] 자원봉사센터에 등록된 개인 또는 단체가 노원구 소재 헌혈의 집에서 헌혈을 하면은 지역화폐 노원이 적립이 된다. [[https://www.nowonpay.kr/howtosaving|링크]] 2024년 11월 18일 [[한마음혈액원]]에서 [[쿠키런: 킹덤]]과 협업하여 캠페인을 통해 쿠키런 브릭컬렉션 킹덤 쿠키성을 증정하는 행사를 진행하였다. [[https://www.bloodnet.or.kr/%ec%9d%b4%eb%b2%a4%ed%8a%b8/%ec%a7%84%ed%96%89%ec%99%84%eb%a3%8c-%ec%9d%b4%eb%b2%a4%ed%8a%b8/?mod=document&uid=282673|링크]] 2025년 4월 대한적십자사와 [[넥슨]]이 업무협약을 맺으며 [[블루 아카이브]]의 [[구호기사단(블루 아카이브)|구호기사단]]의 캐릭터들이 들어간 기념품을 증정하는 [[블루 아카이브/콜라보레이션/글로벌#대한적십자사|이벤트]]를 진행하였다. [[https://n.news.naver.com/article/052/0002179802?sid=105|링크]] 2025년 6월 2일 [[헌혈의 집]]에서 [[블루 아카이브]]의 [[구호기사단(블루 아카이브)|구호기사단]]의 캐릭터들이 들어간 기념품을 증정하는 2번째 [[블루 아카이브/콜라보레이션/글로벌#대한적십자사|이벤트]]를 진행하였다. [[https://bloodinfo.net/knrcbs/pr/promtn/promtnInfoView.do?mi=1301&promtnSn=187512&type=A&result=A|링크]]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또는
기타 라이선스 (문서에 명시된 경우)
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07)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107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