떡밥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07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개인정보 처리방침 개정 안내
헌혈/조건 및 과정
(r1 문단 편집)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 헌혈 금지·제한 약물/지역/감염병 === [[https://www.bloodinfo.net/knrcbs/cm/cntnts/cntntsView.do?mi=1120&cntntsId=1010|혈액관리본부 홈페이지의 '헌혈관련 안내문']]에서 확인할 수 있다. 특히 말라리아 관련 헌혈 제한지역 관련 안내문은 꽤 자주 갱신되기 때문에, 공식 홈페이지의 정보를 확인해야 한다. 좀 더 자세하게 보고 싶으면 [[https://bloodinfo.net/knrcbs/cm/cntnts/cntntsView.do?mi=1121&cntntsId=1011|문진항목 판정기준 플립북]]을[* 다만 이 플립북은 아주 자세한 대신(사람에게 물리는 경우 등 혈액에 영향을 줄 만한 웬만한 상황은 다 있다) 개정이 늦다. 말라리아 지역이나 코로나-19 등 최신 유행병의 경우에는 상술한 헌혈관련 안내문이 빠르다.] 참고하면 되며, 여기에도 없는데 좀 애매한 경우에는 문진 간호사가 혈액원 의사에게 실시간으로 문의 후 판정하게 된다. * 헌혈금지약물 및 예방접종 안내문 * (헌혈금지/보류) 감염병 종류 및 크로이츠펠트-야콥병 헌혈금지지역 안내문 * 국내 말라리아 관련 헌혈 제한지역 안내문 * 국외 말라리아 관련 헌혈 제한지역-대륙별 안내문 * 헌혈 후 생길 수 있는 증상 안내문 * 헌혈금지약물(태아 영향)-요약 안내문 [[북한]] 전역이 [[말라리아]] 위험 지역이므로 북한에서 [[모기]]가 [[군사분계선|휴전선]]을 넘어 날아올 수 있는 [[파주시]]나 [[연천군]], [[강화군]], [[철원군]] 등 전방 지역에는 헌혈 제한이 있다. 이들 지역에서는 1박만 숙박해도 1년간 전혈 및 혈소판 헌혈이 금지된다. 1박 이상이기 때문에 당일치기 [[출장]]이나 [[여행]], [[통근]] 및 [[통학]] 등은 해당 사항 없다. 그래서 20대 남성 헌혈자에게는 군 복무 시절 자대가 어디였는지를 물어보기도 한다. 다만 그 지역에서 상주한 적이 있어도 혈장 성분 헌혈은 가능하다. 그래서 헌혈 금지 지역이 아닌 헌혈 제한 지역이라고 부른다. 또한 그해의 혈액 수급 상황에 따라 겨울철에 한해[* 겨울에는 [[모기]]들이 활동하지 않기 때문에] 이들 지역의 헌혈 제한을 완화하기도 한다. 과거에는 북한과 가까운 지역 중 위 최전방 지역뿐 아니라 [[경기도]] [[김포시]], [[고양시]], [[동두천시]], [[양주시]], [[포천시]], [[인천광역시]] 중 [[중구(인천광역시)|중구]], [[서구(인천광역시)|서구]], [[동구(인천광역시)|동구]], [[옹진군]], [[강원특별자치도]] [[화천군]], [[양구군]], [[인제군]], [[고성군(강원도)|고성군]] 등도 헌혈 제한 지역이었으나 이 지역들은 현재 헌혈 제한 지역에서 해제된 상황이며 [[고양시]]와 [[김포시]]는 헌혈의 집까지 생겨 앞으로도 헌혈 제한 지역으로 재지정될 가능성은 거의 없다.[* 말라리아 문서에도 기록되어 있듯이 이러한 지역들의 잠재 지역임을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은 군부대 한정이지만 매일 말라리아 예방약을 복용하고 서명하는 것을 기준으로 하고 있기 때문이다. 뿐만 아니라 전역 후에도 일정 기간 동안 계속 복용해야 한다는 점을 명심하자.] [[항우울제]], [[항불안제]] 등 [[향정신성 의약품]] 또는 [[정신과]] 약을 복약한다면 본인 및 다른 헌혈자들의 안전을 이유로 헌혈에 제약이 있을 수 있다. 다만 [[벤조디아제핀]]과 같은 [[항불안제]]나 [[항우울제]], 혹은 다른 많은 정신과 약물은 헌혈 제한 약물 또는 금지 약물은 아니며, 헌혈 과정에서 헌혈자에게 문제가 생기는 것을 막기 위한 조치다. 문진에서 간호사가 헌혈자가 정상적으로 헌혈할 수 있다고 판단하면 헌혈에 참여할 수 있다. 채혈 금지 대상자는 아니지만, 안전한 헌혈을 위하여 확인하는 것이다. 이전 문진 내역이 혈액원 전산에 남기 때문에 이후에는 복용력을 확인하는 과정만을 거친다. 현장에서 제대로 모르고 있을 수 있기 때문에 참여하고자 하는 혈액원([[헌혈의 집]], [[한마음혈액원]])에 복용력에 대해 상담글로 올려두거나 지역 혈액원 또는 적십자사 CRM센터에 전화를 통해 물어보면 혈액원 담당자가 확인 후 가능 여부에 대해 답변을 받을 수 있으니 이를 거친 후 방문하는 것을 추천. 현장에서 조금 더 안전하게 헌혈을 시행하기 위하여 혈액원에 상주하는 근무 [[의사]]에게 전화로 상담 및 확인 후 시행할 수 있다. [[문신]] 시술을 받았다면 세균 감염 등의 우려로 1년 간 헌혈이 금지된다.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는 확진일과 증상 소실일 중 더 나중 날짜로부터 10일 후, 즉 11일째에 헌혈이 가능하며, 별도 음성 판정은 필요 없다.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또는
기타 라이선스 (문서에 명시된 경우)
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07)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107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