떡밥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07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개인정보 처리방침 개정 안내
헌혈/조건 및 과정
(r1 문단 편집)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 Terumo BCT® Trima Accel ==== '트리마'라고 불린다. 높은 자동화율 및 소형화된 키트, 필러와 채널의 단순화로 운용이 편리하며 하나의 키트로 PL-A, A-PLT, PLT/P, RBC를 생산할 수 있다. 2019년 기준 버전 7까지 존재하나 국내 적십자사에 도입된 장비들은 대체로 버전 6이나 그 이하의 장비가 많다. 같은 회사에서 생산했고, 거의 비슷하게 생긴 장비인 옵티아(Optia)을 가지고 있는 종합병원이 있다.[* 혈소판헌혈은 불가능하다. 혈소판 채집 기능을 가지고 있기는 한데, 건강한 헌혈자가 아닌 환자에게 연결하여 과다한 혈소판을 제거하기 위한 기능이다.] 특수 포집 중 조혈모세포를 포집하기 위한 것으로, 조혈모세포 작업을 위한 프로토콜과 표준 키트를 사용한다. 말초혈관 조혈모세포 기증을 염두에 둔다면 반드시 알아두어야 할 정보. 장비 특성상 '''바늘 교체가 불가능'''하고 Draw / Return 주기가 빠른데다 불규칙하며 '''return 압력이 매우 높은''' 데다 '''기계가 둔하다'''는 점을 꼭 상기해야 한다. 혈소판 헌혈 때는 물론, 조혈모세포 기증 때에도 정맥파열을 자주 일으키는 편. 아미커스로도 하려면 할 수 있으나 스페셜 키트가 별도로 있어야 하고 포집 효율이 트리마 대비 떨어지므로[* 효율이 떨어진다고 해서 결과물의 퀄리티가 낮아지지 않는다. 대신 시간을 늘린다.] 잘 사용되진 않는다. 바늘 4시간 꽂고 경고음에 시달리기 vs 6시간 꽂고 편하게 하기에서 보통 병원의 환경상 전자를 하기 마련이다. 물론 특성상 기계가 사람을 가려서 안 되는 사람이 왕왕 있기에 아미커스를 들여놓는 곳도 있다. 조혈모세포의 포집효율은 트리마(r값) 0.95, 아미커스(r값) 0.88로, 상황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다. [* 출처: Algorithms to predict CD34+ cell collection with the new generation of cell separator machines by Dr Kenny Douglas] * 장점 * 키트의 설치 및 제거가 쉽고 많은 부분이 자동화 되어있음. * Absolute Safety System이 있어 심각한 오류가 발생하거나 헌혈자에게 위험이 가해지는 상황에서 장비 스스로 셧다운됨. * 프로세스 속도가 100cc 이상으로, 건장한 성인 남성이라면 한국 적십자사의 표준 다종성분 채혈량을 소화하는데 세팅에 따라 40분 안에 끝낼 수 있고, 본인의 혈관 상태가 우수하다면 훨씬 더 빨리 끝낼 수 있다. * 초기 draw 이후 return 되는 혈액과 이후 프로토콜이 끝낼 때까지 return 사이클 간 반환된 혈액의 특성이 일정하여 식염수가 갑자기 많이 섞여 들어가는 등의 문제로 인한 쇼크를 예방할 수 있다. * 번역이 잘 된 한국어 인터페이스를 사용하므로 사용하기가 쉽다. * 일단은 "주먹운동을 할 필요가 없는 기기"로 소개되고는 한다. 실제로 끝날 때까지 주먹운동이 필요 없는 헌혈자들도 있다. 물론 혈관 수축 등으로 피가 안 나오면 해 줘야 한다. * 단점 * 헌혈 도중 정확한 숫자로 알려주는 값이 채집량, 처리량밖에 없다. 상태를 파악하는 데 중요한 draw/return 압력을 정확하게 알려 주지 않는다. * 장비 조정 파라메터를 열면 정확한 숫자로 조절할 수 있는 부분이 별로 없다. * 급격하게 혈관이 막히는 등의 상황에 대응이 느리고, 일정한 값을 넘어가면 부드럽게 펌프 속도를 줄이는 보통의 기계들과 달리 200mmHg를 넘어가는데도 펌프가 돌다가 경고가 떠야 멈춘다. 이로 인해 혈관에 stroke나 파열을 유발하는 일이 많다. 때문에 혈관이 약한 헌혈자들은 피하려 한다. * 상황에 따라 분리기 rpm이 떨어질 때가 있는데 이때 백혈구 혼입 우려가 있다. * 내장 배터리가 없어서 정전되면 그대로 멈춘다.[* 물론 따로 [[무정전 전원 장치|UPS]]를 설치하기도 한다.] * Absolute Safety System 때문에 한 번 프로토콜을 수행하고 나면 장비를 완전히 재부팅하게 되는데, 이 시간이 '''매우''' 길다. 최신 버전인 7은 30초 안에 끝난다지만 버전 6 이하는 2~3분 정도 소요된다. * 특히 구형의 경우, 드로우와 리턴 주기가 불규칙적으로 바뀌어 헌혈자들이 계속 화면에 신경써야 한다.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또는
기타 라이선스 (문서에 명시된 경우)
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07)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107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