떡밥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07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서버 점검 공지
|
개인정보 처리방침 개정 안내
해달
(r1 문단 편집)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 [[수달]]과 해달의 차이점? === [[https://naver.me/x9J0XlMZ|해당 글처럼]] [[수달]]과 해달이 전혀 다른 동물이라고 착각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해달은 '''[[https://ko.wikipedia.org/wiki/%EC%88%98%EB%8B%AC#%EA%B3%84%ED%86%B5_%EB%B6%84%EB%A5%98|수달의 일종이다.]]''' 따라서 해달이 수달이 아니라는 건 잘못된 인식이다. 수달은 특정 종이 아니라 해달을 포함한 여러 종을 포함하는 범위의 아과이다.[* 한국 내에서 [[수달(종)|수달]]로 알려진 종은 엄밀히 구분하면 유라시아수달로 분류된다. 코끼리종 내에도 아프리카코끼리와 아시아코끼리로 나뉘는 것과 같다.] 해달은 "수달속(''Lutra'')"이 아니라 "해달속(''Enhydra'')"에 포함되지만 그렇다고 해서 수달 종이 아니라고 할 수 없다. 아마존의 수달로 인식하는 [[큰수달]](''Pteronura brasiliensis'')은 현존하는 수달아과 종들 가운데 [[https://media.springernature.com/full/springer-static/image/art%3A10.1038%2Fs41598-017-15391-9/MediaObjects/41598_2017_15391_Fig1_HTML.jpg?as=webp|다른 종들과 가장 동떨어진 종]]이고, 대표적인 수달의 일종으로 여기는 [[작은발톱수달]]조차 수달속과 따로 구분되는 "민발톱수달속(''Aonyx'')"에 속해 있다. 이들 또한 속 단계에서부터 [[수달(종)|수달]](''Lutra lutra'')이 속한 수달속과 다른 범주에 속한다. '''대부분의 수달 종들은 수달속에 속하지 않는다'''.[* 해달('''Enhydra''' lutris), [[큰수달]]('''Pteronura''' brasiliensis), 작은발톱수달('''Aonyx''' cinerea), [[얼룩목수달]]('''Hydrictis''' maculicollis), 비단수달('''Lutrogale''' perspicillata), 그리고 아메리카수달속('''Lontra''')의 하위종들.] 그러나 이 종들도 모두 학술적으로, 일반적인 인식으로도 수달의 일종으로 여겨지니 해달도 수달로 보는 게 타당하다. [[http://www.ottercenter.org/worldOtter.html|세계에 분포한 13종의 수달 목록]] 가끔 서식지의 차이를 들어 수달은 강에 살고 해달은 바다에 사니 서로 다른 동물이라는 설명도 있는데, "바다수달(Marine otter)"이라 해서 "해달(Sea otter)" 외에도 바다에 서식하는 수달종이 존재한다.[* 해달은 주로 북태평양 북안에, 바다수달은 남미 서해안에 서식한다.] 애초에 서식지의 차이만으로 다른 동물로 구분하는 것 자체가 빈약한 접근인 게, 그리 따지면 여우들 중에서 북극여우만이 추운 극지방에 서식하니 북극여우는 여우가 아니라는 논리도 가능하다. 이 같은 착각의 원인은 유독 다른 수달들과 차별화되는 해달의 외모 탓도 있겠지만 국내 명칭의 문제도 큰 걸로 보인다. 수달아과의 다른 속 및 하위종들의 국명에서는 수달이란 명칭이 확실하게 드러나 있으나, 해달만은 예외적으로 국명에서 수달의 한 종이라고 표현되어 있지 않다.[* 부적절한 표준명에 의한 문제에는 대한민국에 사는 수달 종은 단 [[수달(종)|한 종]]만 있는 것도 기여했다.]. 즉 국내 한정으로 "000수달" 또는 "000수달속"이라고 표기되지 않아 생긴 오인이라는 것. 그러나 해달의 달은 "수달 달(獺)"을 뜻하며 해달의 한자 표기인 "海獺"을 풀어 쓰면 '''"바다의 수달"'''이란 의미가 된다. 또한 상술했듯이 서양에서도 해달을 '''"sea otter"'''라고 불러 명확하게 해달이 바다에 서식하는 수달 종임을 드러낸다. 국명에서 기반된 오류인 것이다. 서양에서도 해달과 다른 종들의 수달을 비교하는 경우가 없는 건 아니지만, 국내에서는 나머지 수달 종은 "수달"이라고 뭉뚱그리면서 해달 하나만 "수달이 아니며 수달과 혼동되는 동물"이라고 잘못 생각하는 게 문제이다. 설명하는 차이점의 내용은 유사하지만 서식지 차이에 따라 현저하게 달라지는 수달종들의 습성과 특징을 보여주기 위해 해달을 다른 종들의 수달들과 비교할 뿐이지, 해달이 아예 수달에 포함되지 않는다는 헛소리는 전혀 하지 않는다. 실제로 이 [[http://news.georgiaaquarium.org/stories/you-otter-know|글]]은 해달이 세계에 분포한 13종의 수달 중 하나라 밝히며[* There are 13 species of otters in the world, with 12 of those species requiring access to freshwater and only one species residing in the ocean.] 바다에 사는 해달만의 특징을 강에 사는 수달 중 작은발톱수달과 비교해 보여주는 식이다. 오히려 해달과 혼동되는 타 동물과의 차이점을 설명하는 경우엔 주로 [[바다코끼리]], [[물개]], [[바다사자아과|바다사자]] 등이 거론된다. 결국 '''생물학적으로나 언어적으로나 해달은 여러 종의 수달 중 한 종이 맞다.'''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또는
기타 라이선스 (문서에 명시된 경우)
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07)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107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