떡밥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07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서버 점검 공지
|
개인정보 처리방침 개정 안내
한화생명e스포츠/리그 오브 레전드
(r1 문단 편집)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 [[한화생명e스포츠/리그 오브 레전드/성적 및 전적|성적 및 전적]]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한화생명e스포츠/리그 오브 레전드/성적 및 전적)] 구 락스 이후 [[비밀번호(스포츠)|비밀번호]][* 스포츠 쪽에서는 일정 순위 이하의 성적을 기록한 경우 그 숫자를 이어붙여 비밀번호처럼 부르는 문화가 있다. LCK에서는 리그제가 도입된 2015년부터 5강 플옵체제인 20년까지는 5위, 프랜차이즈 도입 이후 6강 플옵체제시 6등 밑일 때 비밀번호를 붙인다.]를 찍은 전적이 있어서 당연히 좋은 상성보다는 나쁜 상성이 많다. 상성이 좋은 팀은 서로 식료품 회사 라이벌이자 현재 비빔면 더비를 이루는 농심과 브리온. 농심은 20스프링 승강전 패자전을 시작으로 맞대결서 진 적이 20서머 1라운드, 21서머 2라운드에 불과하며 5전제는 무패일 정도로 초강세이다. 브리온도 21년 복귀후 기준으론 20 케스파컵 때의 패배를 빼면 LCK에서 진 적이 없는 상황. 하지만 22년에는 1승 3패로 상성이 깨졌다. 그러나 다시 23년 스프링에 들어와 두 번의 매치를 모두 잡아내면서 상성 관계를 되돌렸다. 2021 시즌부터는 유난히 DRX에게 강한 모습을 보이고 있는데 매치 기준 4연승을 거두며 압도하는 모습을 보였고, 육성 탱킹 시즌이 된 2022 시즌에도 2:2로 호각의 전적을 기록했다. 특히 서머 마지막 경기에선 2만 골드 차 관광을 보여주었을 정도다.[* 2022 시즌에 결국 DRX가 롤드컵 우승 트로피를 들었다는 점을 감안하면 더욱 부각되는 전적이라고 할 수 있다.] 상성을 잡고 있는 라이벌리를 형성하고 있는 팀은 T1이며 상성이 나쁜 팀은 19년 스프링부터 만난 디플러스, KT, 그리고 '''매치 19연패를 기록했던 젠지''' T1과는 구락스 때부터 5전제서 이긴 적이 전무하고, 풀세트를 가도 졌잘싸 엔딩이다. 정규시즌엔 중요할 때마다 꼭 한 번씩 이겨내며 발목을 붙잡았던 적이 있지만[* 20시즌 스프링에는 2힐조합+ 올라프라는 광전사 조합으로, 23시즌 스프링에선 탱커를 앞세운 든든한 한타 조합으로 2:1 승리를 거둔 바가 있다. 21시즌 서머에는 한화생명 정글러들의 아픈 손가락이던 니달리로 맹수처럼 물어뜯은 윌러의 슈퍼 플레이로 최초로 2:0 셧아웃 승리를 거뒀다.] 포스트시즌에선 한 번도 이겨보지 못했다가 24 스프링 플옵 2라운드서 처음으로 승리를 거뒀다. 그러나 T1이 24 서머에 한화 상대로 4연패를 거두며 23년 이후로는 역으로 상성을 잡힌 상태이다. 실제로 23년에는 한화가 전력차이에도 불구하고 상대전적 동률, 세트 전적 우위를 가져갔으며 본격적으로 한화생명이 대권후보로 부상한 24년부터는 T1이 리그에서 젠지 다음으로 고전하는 팀으로 손꼽힌다.[* 심지어 젠지와 더불어 T1을 5전제에서 두 번 이상 셧아웃 시켜본 경험이 있는 유이한 팀이기도 하다.] 젠지만큼은 아니어도 상당히 상성잡힌 팀은 디플러스(담원). 상성상 호구인 농심과 브리온조차 한 번씩은 발목을 잡았던 팀인 담원인데 여기는 마지막 승이 '''19서머 2라운드'''라 손대영 시기에 LCK CL을 빼면 메이저 대회인 LCK, 케스파컵 매치 승을 챙긴 적이 한 번도 없으며, 정규리그든 플레이오프든 매번 비오는 날 먼지 나듯 털렸다. 그나마 23 스프링 플레이오프에서 3대1로 잡아내며 상성을 청산하는가 싶더니 서머에 다시 2:0으로 털렸지만 최종전에선 리그 처음으로 2:0으로 이겼는데, 선발전 최종전서 1:3으로 지며 원래 모습으로 돌아온 듯했다. 그러나 24 스프링서 두 번 모두 2:0으로 이기며 한풀이에 일단 성공했다. 하지만 T1과 디플러스보다 훨씬 더 강력한 천적이 생겼는데 매치 19연패를 기록했던 젠지이다. 한화가 강력했던 21, 23, 24년 조차 이기긴 커녕 졌잘싸 엔딩에, 심지어 세트 승리로 흠집조차도 내보지 못한 극악의 천적이다. 한화가 만나기만 하면 그냥 지기만 하는 것도 아니고 심하게 깨지고 쳐발리는 극상성 관계지만, 이상하게 그런 와중에 한화가 매치 승리를 거두는 경기가 1킬 빼면 다 한 명이 기록하거나 게임 기록을 따로 제시해야 할 정도의 매드무비로 이긴 게 많아서 실제 전적보다 더 강해보인다. 그래서 하필이면 그 매드무비가 한화는 물론 젠지 팬들에게마저 인상깊게 새겨진 탓에 젠지 팬들도 항상 한화생명만 보면 방심하면 안된다고 긴장을 바짝 한다. 그리고 그 덕에 19연패 중이다. 그리고 매치 19연패를 이어가던 젠지를 '''2024 LCK 서머 결승전'''에서 풀세트 접전 끝에 꺾으며 마지막으로 잡혀 있던 팀 상성관계까지 끊어내는데 성공했다. 샌박 상대로는 의외로 상당히 고전하는데 아무리 한화가 전력이 빵빵하고, 샌박의 폼이 바닥이거나 발밴픽을 해도 더 털려주면서 더한 나락으로 빠지기 일쑤. 그나마 디플러스와는 달리 그 쪽의 최대 약점인 다전제에서 첫 맞대결이었던 21롤드컵 선발전에서는 이긴 적이 있다. 23 ~ 24에서도 매치승은 한화가 거두지만 꾸준히 세트승을 헌납하며 한화가 방심할수 없는 동부팀으로 자리매김했다. KT 롤스터 상대로도 2022년은 물론 2023년에도 정규 시즌 4번의 대결+플옵 2번+선발전까지 모조리 전패를 하면서 새롭게 호구 잡혔다. 그러나 이쪽은 조금 기묘한 징크스가 있는데, 바로 '''스프링 1라운드에 최초로 만나서 이긴 팀이 그 해 내내 이긴다'''는 것. 2021년도에는 그 해에 치러지는 KT와의 경기를 전부 이겼으며, 그 시작은 스프링 시즌 1라운드였다. 마찬가지로 2022년과 2023년에도 한 해의 시작인 스프링 1라운드에서 모두 졌고, 2024년에는 스프링 정규시즌 1라운드 - 2라운드 - 서머 정규시즌 1라운드까지도 전부 이겼다.그러나 서머 2라운드에서 KT에게 2:1로 패배하면서 이 징크스가 깨졌다. 결국 전력차이가 꽤나 크게 나던 24년 서머조차 디플러스 기아 이상의 상성이 되었다. 전력이 한화 우세여도 롤러코스터의 고점으로 고춧가루를 뿌리며 최소한의 매치 승리는 챙기고, 비등하거나 열세일 시 압도적으로 짓밟는 한화의 극상성팀으로 자리매김했다.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또는
기타 라이선스 (문서에 명시된 경우)
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07)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107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