떡밥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07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서버 점검 공지
|
개인정보 처리방침 개정 안내
한화생명e스포츠/리그 오브 레전드/2024 시즌
(r1 문단 편집)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 [[2024 LoL Champions Korea Summer/결승전|결승전]] === ||<-12><tablewidth=100%><tablebordercolor=#1c192b><tablebgcolor=white,#1c1d1f><bgcolor=#1c192b><color=white>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radial-gradient(at 50% -30%, #fff 0%, transparent 30% 50%, #1c192b 100%), conic-gradient(at 50% -30%, #241736 110deg, #423351 112deg, #3f304c 115deg, #5a4862 117deg, #3d3251 120deg, #796881 125deg, #69586f 130deg, #4e4160 135deg 138deg, #504662 142deg, #4e415a 145deg, #5c4f68 160deg, #504561 165deg, #544762 170deg 175deg, #372e4f 180deg, #4c4162 185deg, #665774 190deg, #776581 197deg, #695979 205deg 215deg, #4e4165 220deg 225deg, #6d5c7a 230deg 238deg, #56486f 242deg, #5f4f76 245deg, #453666 250deg); word-break: keep-all" [[League of Legends Champions Korea|[[파일:LCK 결승전 로고 화이트.svg|width=50]]]] '''{{{#white {{{+3 2024 LoL Champions Korea Summer}}}[br]{{{+5 GRAND FINALS}}}}}}'''[br]{{{#fff {{{-1 '''2024년 9월 8일 일요일'''}}}}}}}}} || ||<-12><bgcolor=#888597><rowcolor=#888597> {{{-1 [[경주실내체육관|{{{#white '''경주실내체육관'''}}}]]}}} || ||<-5><width=40%><height=110> [[Gen.G Esports/리그 오브 레전드|[[파일:Gen.G 로고 심플.svg|width=100&theme=light]][[파일:Gen.G 로고 심플 화이트.svg|width=100&theme=dark]]]] ||<|3><width=10%> {{{+5 2}}} ||<|3><width=10%> '''{{{+5 3}}}''' ||<-5><width=40%> [[한화생명e스포츠/리그 오브 레전드|[[파일:한화생명e스포츠 로고.svg|width=110&theme=light]][[파일:한화생명e스포츠 로고 화이트 (텍스트).svg|width=110&theme=dark]]]] || ||<-5><width=40%><bgcolor=#000> [[Gen.G Esports/리그 오브 레전드|{{{#aa8a00 '''Gen.G'''}}}]] ||<-5><width=40%><bgcolor=#ff6b01> [[한화생명e스포츠/리그 오브 레전드|{{{#white '''Hanwha Life Esports'''}}}]] || || {{{+2 ×}}} || {{{+2 ○}}} || {{{+2 ○}}} || {{{+2 ×}}} || {{{+2 ×}}} || {{{+2 ○}}} || {{{+2 ×}}} || {{{+2 ×}}} || {{{+2 ○}}} || {{{+2 ○}}} || ##승리:○ 패배:× 미시행:- ||<-5><bgcolor=#c0c0c0> 준우승 ||<|2><-2><bgcolor=#1C192B> '''{{{#white 결과}}}''' ||<-5><bgcolor=#ffd700> '''{{{#000 우승}}}''' || ||<-5><bgcolor=#000324><color=white> '''월드 챔피언십 2번 시드''' ||<-5><bgcolor=#000324><color=white> '''월드 챔피언십 1번 시드''' || 2022 스프링때부터 이어져 온 젠티전 양강 구도를 부수고 결승전에 오르게 되어 이번 시즌 4번째 맞대결이 성사되었다. 한화생명은 젠지 상대로 19연패를 기록 중이었고, 이 때문에 결승전에서도 젠지의 압승을 예측하는 시선이 대다수였다. 심지어 오랜 기간 결승전에 오르지 못해 무력감에 젖어 있던 팬들 사이에선 결승 진출만으로도 만족한다는 반응도 있었으나, '''한화생명e스포츠가 재창단 이후 처음으로 얻은 별명은 킹 슬레이어였다.''' 승패패승승, 5세트 접전 끝에 젠지를 잡아내며 8년만이자 리브랜딩 이후 첫 우승을 이루는데 성공했다. 비록 정규시즌엔 매치를 따내지 못했으나, 결승이라는 큰 무대에서 만큼은 승리한 모든 세트에서 전 라인을 압도할 정도로 모든 팀원이 폼을 최대로 끌어올렸다. 도란은 왜 자신이 리그 유일의 쓰리핏 탑라이너인지, '''도제기'''의 첫 순번을 가진 선수인지 증명했다. 1세트에선 처음 픽한 모데카이저로 상대의 잘큰 스몰더를 지워내며 제카, 바이퍼 쌍포가 자신의 기량을 전부 뽑아낼 수 있는 판을 만들었고, 4세트와 5세트에서는 이미 완벽에 가깝다는 평가를 들은 잭스를 픽해 상대의 노림수를 완벽하게 차단, 반격하여 팀이 이길 수 있는 흐름을 만드는데 일조했다. 피넛은 명실상부한 한체정다운 모습을 보이며 시종일관 게임을 지배하는 사령관 역할을 수행했다. 우선 밴픽 단계에서부터 피넛을 견제하는 밴픽을 선제적으로 강제하여 팀의 유연한 밴픽을 가능케 했고, 공개된 경기 내 보이스에서 몇 수 앞을 보는 정확한 오더와 판단으로 판을 짜고 오더를 내리는 모습을 보여주었으며, 단순 그 뿐만 아니라 강타 싸움과 스킬 활용 등 피지컬 적인 면에서도 최고의 성장형 정글 중 하나인 상대 정글을 압도하며 본인의 7번 째 우승이자, 팀의 8년 만의 우승을 견인했다. 제카는 자신을 시기하고 질투하는 이들의 말을 비웃듯이 라인전, 합류, 한타 모든 방면에서 상대 미드를 짓누르고 솔로킬까지 따내며 상대의 가장 강력한 우승 플랜을 꺾어버렸다. 이미 23년 서머에도 라인전이 천외천 수준이라는 평가를 들었는데 팀이 필요한 적재적소의 상황에 모두 합류하면서도 성장을 전혀 밀리지 않는 모습으로 그 평가가 틀리지 않았음을 증명했다. 이 성장을 바탕으로 자신이 강한 타이밍을 놓치지 않은 제카는 결승전이라는 큰 무대에서 타워 다이브까지 해가며 솔로킬을 따냈고, 한타에서도 상대방의 빈틈과 실수, 킬캐치를 절대 놓치지 않는 절정에 이른 기량을 뽐내며 파이널 MVP에 선정 됐다. 바이퍼 역시 제카와 마찬가지로 바이퍼를 향한 악의적인 프레임과 선동을 1세트 애쉬의 피지컬, 4세트 이즈리얼의 메이킹, 5세트 직스의 운영으로 침묵시켰다. 결승전 5세트 내내 단 3데스만을 기록한 바이퍼는 강한 라인전과 폭발적인 딜링, 안정적인 포지션과 공격적인 메이킹까지 원딜이 할 수 있는 거의 모든 플레이를 해내면서 그가 왜 원딜의 신이라는 별명을 얻게 되었고, 그 전에 '비원딜의 신'이라는 별명을 가지고 있었는 지 다시 한 번 일깨워줬다. 딜라이트는 레오나와 본인의 상징과도 같은 렐로 환상적인 이니시에이팅을 선보이는 것은 물론, 바드라는 픽을 상대가 밴픽에서 신경 쓸 수밖에 없을 정도로 숙련도를 깎아왔으며 상대방의 상징적인 픽인 블리츠크랭크라는 픽을 뺏어오며 정글과 더불어 상대방의 밴픽 플랜을 망가뜨리는데 일조했다. 딜라이트의 사기적인 장점은 최고의 이니시에이터라는 평가와 별개로 압도적인 시야 장악을 바탕으로 팀이 판을 짤 수 있는 기반을 만들어준다는 점인데 이는 상대방의 숨을 끊는 결정적인 요점이 됐다. 도란, 피넛, 딜라이트는 [[2023 LoL Champions Korea Summer|2023 서머]] 이후 2시즌만에 우승이며 특히 피넛은 락스 시절 자신의 첫 우승 그리고 팀 리브랜딩 이후 첫 우승을 자신의 손으로 이끌어냈으며 '''정글러 최다 우승, LCK 우승 횟수 통산 2위(7회)'''에 올랐다. 바이퍼는 그리핀 시절에 이루지 못했던 LCK 첫 우승이자, 20년 한화생명에서 EDG로 떠났다가 세계 최고의 원딜이 되어 돌아올 때 언급했듯 이 팀에서 이루지 못했던 '''우승'''을 이루게 되었으며[* 결승전 트래시토크에서 그리핀 시절, 도란이 당시 한솥밥을 먹던 바이퍼에게 자신이 잘 못해서 우승을 못한거 같아서 미안하고 이번에 잘해서 꼭 우승하자라고 언급을 했다. 아이러니하게도 이 당시 멤버 중 現 젠지 멤버인 쵸비와 리헨즈도 한 팀이었다.] 제카 역시 첫 LCK 결승 진출에 우승까지 차지하게 되었다. 그리고 2025년 시즌 구조 개편에 따라 반년 시즌 마지막 우승팀이 되었고, 앞선 팀들과 달리 1년 동안 디펜딩 챔피언으로[* 스플릿 1 기간의 컵대회는 골든 로드를 걸으려면 우승해야 하나 LCK 우승 기록과는 별개이고, LCK는 2스플릿분 단일 시즌으로 바뀌면서 MSI 직전에 1등을 놓쳐도 계속 디펜딩 챔피언으로 남는다.] 리그를 호령하게 되었다. 한편 한화생명이 결승전에 진출하자 구단주인 [[김승연]] 한화그룹 회장과 [[김동원(기업인)|김동원]] 한화생명 사장이 직관을 오면서 세간의 이목이 집중되었는데, 한화생명이 보란듯이 오너들 앞에서 리그 우승을 해내자 3년 만에 신문 1면에 광고를 내버리는 등 한화그룹에서도 각종 파격적인 대우를 보여줬고[* 특히 김승연 회장 입장에서는 1999년 한화 이글스의 한국시리즈 우승 이후 25년만에 한화 스포츠단이 우승을 해낸 것이기도 해서 더욱 값진 우승을 해낸 셈이기도 하다.] 이에 한화생명 마이너 갤러리에서는 김승연 회장과 김동원 사장의 프로필 사진으로 갤을 도배해버리는 것으로 화답하며 훈훈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또는
기타 라이선스 (문서에 명시된 경우)
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07)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107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