떡밥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07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개인정보 처리방침 개정 안내
한화생명e스포츠/리그 오브 레전드/2019 시즌
(r1 문단 편집)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 [[2019 우리은행 LoL Champions Korea Summer]] == ||<-7><tablebordercolor=#ff6b01><bgcolor=#ff6b01><tablealign=center><tablewidth=750><tablebgcolor=#fff,#191919> '''{{{#fff Hanwha Life Esports}}}''' || ||<-7><nopad> [[파일:2019 LCK Summer HLE.png|width=100%]] || ||<bgcolor=#ff6b01> '''{{{#fff 감독}}}''' ||<-6>[[강현종|강현종 {{{#!wiki style="display:inline;padding:1px 2px;border-radius:3px;background:#ff6b01;font-size:.9em" {{{#fff OnAir}}}}}}]]|| ||<bgcolor=#ff6b01> '''{{{#fff 코치}}}''' ||<-6>[[호진석|호진석 {{{#!wiki style="display:inline;padding:1px 2px;border-radius:3px;background:#ff6b01;font-size:.9em" {{{#fff LinLan}}}}}}]]|| ||<-7><width=22%><bgcolor=#959a9d> '''{{{#24282b 로스터}}}''' || ||<bgcolor=#ff6b01> [[파일:롤아이콘-포지션-탑-White.svg|width=25]][br]'''{{{#fff TOP}}}''' ||<-3><width=39%>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9. [[김준영(1996)|김준영[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6b01; font-size: 1.0em" {{{#fff SoHwan}}}}}}]] ||<-3><width=39%>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10. [[박권혁|박권혁[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6b01; font-size: 1.0em" {{{#fff Thal}}}}}}]] || ||<bgcolor=#ff6b01> [[파일:롤아이콘-포지션-정글-White.svg|width=25]][br]'''{{{#fff JGL}}}''' ||<-3>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2. [[김기범(프로게이머)|김기범[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6b01; font-size: 1.0em" {{{#fff bonO}}}}}}]] ||<-3>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1. [[김무진|김무진[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6b01; font-size: 1.0em" {{{#fff Moojin}}}}}}]] || ||<bgcolor=#ff6b01> [[파일:롤아이콘-포지션-미드-White.svg|width=25]][br]'''{{{#fff MID}}}''' ||<-3>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3. [[강명구(프로게이머)|강명구[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6b01; font-size: 1.0em" {{{#fff Tempt}}}}}}]] ||<-3>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4. [[김태훈(1999년 7월)|김태훈[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6b01; font-size: 1.0em" {{{#fff Lava}}}}}}]] || ||<bgcolor=#ff6b01> [[파일:롤아이콘-포지션-원거리-White.svg|width=25]][br]'''{{{#fff BOT}}}''' ||<-3> [[파일:crwn.png|width=15]]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7. [[권상윤|권상윤[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6b01; font-size: 1.0em" {{{#fff Sangyoon}}}}}}]] ||<-3> || ||<bgcolor=#ff6b01> [[파일:롤아이콘-포지션-서포터-White.svg|width=25]][br]'''{{{#fff SPT}}}''' ||<-3>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5. [[김한기|김한기[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6b01; font-size: 1.0em" {{{#fff Key}}}}}}]] ||<-3> || ||<-21><table width=100%><table bordercolor=#ff6b01><bgcolor=#ff6b01><tablebgcolor=#fff,#191919> [[파일:LCK white.png|width=32]] '''{{{#white 2019 League of Legends Champions Korea Summer Split 경기 결과표}}}''' || ||<bgcolor=#ff8b01> {{{#white '''라[br]운[br]드'''}}} ||<-9><bgcolor=#959a9d> '''1라운드''' ||<|5><bgcolor=#ff8b01> {{{#white '''1[br]라[br]운[br]드[br]최[br]종[br]순[br]위'''}}} ||<-9><bgcolor=#959a9d> '''2라운드''' ||<|5><bgcolor=#ff8b01> {{{#white '''2[br]라[br]운[br]드[br]최[br]종[br]순[br]위'''}}} || ||<bgcolor=#ff8b01> {{{#white '''팀'''}}} || [[SANDBOX Gaming/리그 오브 레전드|S[br]B]] || [[kt 롤스터/리그 오브 레전드|K[br]T]] || [[Afreeca Freecs/리그 오브 레전드|A[br]F]] || [[Griffin/리그 오브 레전드|G[br]R[br]F]] || [[Gen.G/리그 오브 레전드|G[br]E[br]N]] || [[진에어 그린윙스/리그 오브 레전드|J[br]A[br]G]] || [[KING-ZONE DragonX/리그 오브 레전드|K[br]Z]] || [[DAMWON Gaming/리그 오브 레전드|D[br]W[br]G]] || [[SK텔레콤 T1/리그 오브 레전드|S[br]K[br]T]] || [[Gen.G/리그 오브 레전드|G[br]E[br]N]] || [[KING-ZONE DragonX/리그 오브 레전드|K[br]Z]] || [[SANDBOX Gaming/리그 오브 레전드|S[br]B]] || [[진에어 그린윙스/리그 오브 레전드|J[br]A[br]G]] || [[kt 롤스터/리그 오브 레전드|K[br]T]] || [[DAMWON Gaming/리그 오브 레전드|D[br]W[br]G]] || [[SK텔레콤 T1/리그 오브 레전드|S[br]K[br]T]] || [[Afreeca Freecs/리그 오브 레전드|A[br]F]] || [[Griffin/리그 오브 레전드|G[br]R[br]F]] || ||<bgcolor=#ff8b01> {{{#white '''승''' }}} || 0 || 2 || 0 || 0 || 1 || 2 || 1 || 0 || 0 || 0 || 1 || 1 || 2 || 0 || 2 || 2 || 1 || 0 || ||<bgcolor=#ff8b01> {{{#white '''패''' }}} || 2 || 0 || 2 || 2 || 2 || 0 || 2 || 2 || 2 || 2 || 2 || 2 || 0 || 2 || 0 || 1 || 2 || 2 || ||<bgcolor=#ff8b01> {{{#white '''결[br]과''' }}} ||<bgcolor=#ffaaaa> 패 ||<bgcolor=#87cefa> 승 ||<bgcolor=#ffaaaa> 패 ||<bgcolor=#ffaaaa> 패 ||<bgcolor=#ffaaaa> 패 ||<bgcolor=#87cefa> 승 ||<bgcolor=#ffaaaa> 패 ||<bgcolor=#ffaaaa> 패 ||<bgcolor=#ffaaaa> 패 ||<bgcolor=#ffaaaa> 패 ||<bgcolor=#ffaaaa> 패 ||<bgcolor=#ffaaaa> 패 ||<bgcolor=#87cefa> 승 ||<bgcolor=#ffaaaa> 패 ||<bgcolor=#87cefa> 승 ||<bgcolor=#87cefa> 승 ||<bgcolor=#ffaaaa> 패 ||<bgcolor=#ffaaaa> 패 || ||<|2><bgcolor=#ff8b01> {{{#white '''전[br]적''' }}} || 0[br]승 || 1[br]승 || 1[br]승 || 1[br]승 || 1[br]승 || 2[br]승 || 2[br]승 || 2[br]승 || 2[br]승 ||<bgcolor=#ffab01> '''2[br]승 ''' || 2[br]승 || 2[br]승 || 2[br]승 || 3[br]승 || 3[br]승 || 4[br]승 || 5[br]승 || 5[br]승 || 5[br]승 ||<bgcolor=#ffab01> '''5[br]승''' || || 1[br]패 || 1[br]패 || 2[br]패 || 3[br]패 || 4[br]패 || 4[br]패 || 5[br]패 || 6[br]패 || 7[br]패 ||<bgcolor=#ffab01> '''7[br]패''' || 8[br]패 || 9[br]패 || 10[br]패 || 10[br]패 || 11[br]패 || 11[br]패 || 11[br]패 || 12[br]패 || 13[br]패 ||<bgcolor=#ffab01> '''13[br]패''' || ||<bgcolor=#ff8b01> {{{#white '''득[br]실''' }}} || -2 || 0 || -2 || -4 || -5 || -3 || -4 || -6 || -8 ||<bgcolor=#ffab01> '''-8''' || -10 || -11 || -12 || -10 || -12 || -10 || -9 || -10 || -12 ||<bgcolor=#ffab01> '''-12''' || ||<bgcolor=#ff8b01> {{{#white '''순[br]위''' }}} || 9 || 5 || 8 || 9 || 9 || 8 || 7 || 8 || 8 ||<bgcolor=#ffab01> '''8''' || 8 || 9 || 9 || 9 || 9 || 9 || 8 || 8 || 9 ||<bgcolor=#ffab01> '''9''' || 이번 시즌에는 6위도 어려워 보인다. 아예 승강전으로 떨어져버렸다. 6을 뒤집어 9라는 우스갯소리가 있을 정도. 심지어 해당 시즌엔 같은 모기업을 둔 [[한화 이글스]]도 부진해서 '''이글스 유니폼을 입고 리그 오브 레전드 팀을 응원하는 사람도 있었다'''. 이 분들이 든 피켓에는 '''롤은 9위하면 안된다'''는 글이 써져 있었다. 팀의 가장 큰 문제인 ‘믿을맨’의 부재가 여전히 발목을 잡고 있다고 봐도 무방하다. 탑 트할은 한타 캐리력은 뛰어나지만 반대로 라인전이 너무 절망적이라 그 한타를 보여주지도 못한채로 박살나버리고, 소환은 장점이라던 라인전은 그냥 평범한 수준인데 나머지 스탯이 너무 저질이다. 그나마 현재 주전으로 나오는 정글인 보노가 팀내에선 그나마 가장 좋은 플레이를 보여주고 있기는 하나, 타잔, 커즈, 온플릭같은 탑급 정글러에게는 미치지 못한다. LCK 시작전 본인 경기력에 호언장담하던 무진은 애초에 출전자체를 잘 하지도 못하며, 나오더라도 왜 본인이 주전이 아닌지만을 증명하고 있는 상태. 더 심각한 문제는 2018 시즌에 그 '믿을맨' 역할을 충실히 해줬던 라바/상윤/키마저 폼이 무너져버렸다. 상윤/키는 막말로 팀 전체 승리가 있어서 망정이지 대놓고 전패중인 진에어조차도 뛰어넘는 LCK 최악의 바텀이 되어버렸고 라바는 그래도 진에어의 그레이스 정도는 무난히 이겨주지만 딱 거기까지일 뿐이라 미드/바텀조차 라인전에서 털리기 일쑤. 하필 바텀은 바꿔줄 서브 멤버도 없어서 더 문제. 물론 서브있는 상체도 무진/소환/템트로 큰재미는 못봤지만 그래도 분위기라도 바꿀 수 있는건데 2라운드 로스터도 이미 제출돼서 그런 희망조차 사라졌다. 그리고 선수의 문제도 분명히 있지만, 감독의 문제도 분명히 있다. 소나 바텀을 상대로 카이사를 픽하는 브실골 방구석 롤 시청자도 안할 발밴픽은 기본이요, 이니시 수단도 부족한 애매한 라인전 스노우볼링 조합을 고집하는데 한화 선수들의 부족한 기량과 맞물려 환상적인 역시너지를 이룬다. 밴픽에 관해선 말을 최대한 우호적으로 하는 공식 해설진조차 한화의 밴픽에는 직접적으로 비판한 적이 있으며, 그 유명한 소나 상대로 조이 - 카이사 뽑는 발밴픽때는 개인 방송에서 중계하던 강퀴가 ‘뭘 하려는지 하나도 이해가 안간다’며 까는 수준이니 옹호할 여지가 없다. 8월 2일 본인들과 함께 승강전 후보였던 KT를 상대로도 0:2 셧아웃을 당하며 더욱 암울한 상황에 놓이고 말았다. LCK 최악의 바텀이라던 프레이 - 눈꽃 듀오에게 상윤 - 키 듀오가 시종일관 압도당하는 모습을 보인건 덤. 근데 템트의 각성과 함께 1등인 담원은 이겼다.역시 1등만 패는 팀이다. 8월 10일, 마찬가지로 1등인데다 9연승 중인 SKT마저 꺾어냈다. 마지막 매치가 그리핀인데 여기서 또 그리핀마저 잡아내면 진정한 킹 슬레이어가 될 수 있다. 그러나 10주차 아프리카한테 이기던 걸 역전패하고, 그리핀한테 완패하면서 결국 그리핀 우승을 밀어준 꼴이 되어버렸다. 비밀번호가 676669로 갱신됨과 동시에 승강전행은 덤. 전반적인 결산은 S급없는 B급 로스터의 한계 + 무능한 감코진이 맞물려 이런 결과가 만들어졌다고 볼 수 있다. 지난 스프링 때도 늘 지적되었던 '''S급 프로게이머'''이라는 카드가 없어서 막판 포스트시즌을 놓쳤는데도 그리핀과는 다른 의미로 '우린 틀리지 않았어'를 외치고 서머를 임했다가 역대급 순위 경쟁에 휘말려 경쟁력이 나머지 7팀[* SKT, 그리핀, 담원, 샌드박스, 아프리카, 젠지, 킹존. KT는 서로 승강전을 놓고 싸웠고, 진에어는 아예 논외.]에 두세단계 아래에 있었고, 스프링 때 아프리카와 젠지를 더블한 그 기세는 운이었다는 듯 승강전에 가게 되었다. S급 프로게이머는 단순히 실력이나 명성이 있는게 아니라 '''사령관''' 역할을 하게 되는데, 2015 시즌 때 삼성이 폭망하자 2016 시즌 때 영입한 '''앰비션 [[강찬용]]'''을 보면 알 수 있다. 당해 롤드컵 결승까지 올라갔고, 다음 시즌은 롤드컵을 차지하면서 선수도 팀도 모두 성공을 거머쥐었다. S급 크랙의 중요도를 당연히 알고 있는 강현종 감독은 신 ROX 때 샤이를 영입하면서 이를 해결하려 했지만, 샤이의 폼이 썩 좋지 않았을 뿐만 아니라 린다랑과 로테이션을 거치다보니 앰비션과 다르게 사령관 역할을 수행할 수 없었고, 결국엔 2018 시즌부터는 참여하지 못했다. 그래서 그 사령관 역할을 '''[[상윤]]'''에게 맡겼는데, 상윤 자체는 경력도 꽤 긴데다[* 2015 시즌 서머 아나키 시절부터.] 1000킬 명단에 있어 자격에는 크게 제약이 없지만, 문제는 상윤이 다른 팀들의 '사령관'들에 비해 그 무게감이 덜한 건 분명하다. SKT의 페이커, 그리핀의 타잔, 킹존의 데프트, KT의 스코어, 아프리카의 기인&스피릿 등 S급 프로게이머들에 비해 상윤은 확실히 경력도 임팩트도 부족하다. 특히 LCK 역사상 최대의 스폰서 지원을 받는 상윤 입장에서도 그 부담감이 다른 팀들에 비해 몇 배는 더 했을 것이고, 결국 그 부담감을 이기지 못하고 팀과 함께 무너졌다. 진에어는 미드가 망해서 꼴찌를 했다면[* 아무리 메타가 변한들 롤은 '''미드가 망하면 그 게임은 질 확률이 탑 바텀에 비해 높다'''. 미드에서 고속도로가 뚫리는 순간 스플릿 운영이 불가능해지고, 정글 또한 장악력이 줄어들어 스노우볼이 한꺼번에 굴러간다.], 한화생명은 탑의 부진이 팀의 발목을 잡았다고 볼 수 있다. 트할과 소환은 확실히 다른 탑 라이너들에 비해 피지컬이나 운영 모두 부족했고, 심지어 진에어의 린다랑과 타나에게 밀리기까지 했다. 상체 스노우볼이 판도를 좌우했던 이번 메타에서 탑의 부진은 상당히 뼈아팠다. 트할은 무장점 탑솔러로 낙인이 찍혔고, 소환은 그나마 라인전은 분발해 주전으로 자리잡았지만 한타에서 무기력한 모습을 보이면서 트할보다 조금 나은 정도에 불과했다. 정글 미드는 현재 메타에서 탑보다 더 중요한 핵심인데, 탑과 마찬가지로 흔들리는 모습을 보여 패배를 제공했다. 정글 보노는 그나마 평균은 했지만, 상술했듯이 라이너들의 부진으로 확실하게 갱을 갈 곳이 없었고, 미드는 주전조차 제대로 자리잡지 못했다. 라바와 템트를 계속 번갈아썼는데, 둘 다 비슷한 성격의 플레이를 하기 때문에 크게 효과를 보지 못했고, 오히려 호흡이 몇번씩 어긋나기도 해 게임을 지는 모습을 여러번 보여줬다. 무엇보다 진에어를 제외하고 미드라이너들에게 라인전을 계속 지는등 애초에 불리하게 시작해 역전할 여지를 못 찾는 단초가 되기도 했다. 서폿 키도 상윤을 제대로 보좌하지 못했다. 키는 보통 순간적인 이니시를 열어서 상윤을 키워주는 역할을 자주 했는데, 이번 시즌은 원딜이 멱살잡고 하드 캐리하는 메타가 아니었고, 상체의 보노에게 운영권이 달려있었지만, 탑 미드의 기량 차이가 워낙 현저했고, 그렇다고 바텀을 가자니 상대가 이를 비집어 탑 미드를 역공할 가능성이 높아 초반 라인전이 이기고 시작하는 플레이가 별로 나오지 못했고, 이니시를 여는 역할도 못하면 쓰로잉이 되어버리는데 결국 쓰로잉으로 되돌아왔다. 결국 선수들의 전반적인 부진은 '''경험 부족과 사령관 부재'''라는 답으로 모아지게 된다. 단순히 커리어가 길다고 해서 경험이 쌓이는게 아니고, 포스트시즌에 진출해서 임팩트를 보여주고, 국제대회에서 활약을 하면서 명성을 쌓아야 비로소 진정한 경험이 된다. 문제는 상윤[* 2016 스프링, 서머 5위.]과 트할[* 2018 스프링 4위.]을 제외하면 포스트시즌 경험은 다들 없고, 국제 대회는 무진[* 2018 MSI 준결승, 2018 롤드컵.], 좀 양보한다면 ESC Ever 시절에 지금은 사라진 [[IEM]] 정도를 갔다온 키와 템트가 있지만 이것도 벌써 3년전 얘기라는게 함정. 결국 커리어는 결국 선수들 스스로가 쟁취해야 하지만, 그 커리어를 쟁취하기 위해 구심점이 될 사령관은 지금 상윤으로는 명백한 한계가 있다. 따라서 2020 시즌 한화생명이 원하는 우승과 롤드컵을 가기 위해서는 리빌딩이 거의 필수가 되어야 하며, 특히 작년부터 꾸준히 지적된 S급 크랙은 반드시 확보되어야 할 것이다.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또는
기타 라이선스 (문서에 명시된 경우)
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07)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107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