떡밥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07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개인정보 처리방침 개정 안내
한화생명e스포츠/리그 오브 레전드/2019 시즌
(r1 문단 편집)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 [[2019 스무살우리 LoL Champions Korea Spring]] == ||<-7><tablebordercolor=#ff6b01><bgcolor=#ff6b01><tablealign=center><tablewidth=750><tablebgcolor=#fff,#191919> '''{{{#fff Hanwha Life Esports}}}''' || ||<-7><nopad> [[파일:2019 LCK Spring HLE.png|width=100%]] || ||<bgcolor=#ff6b01> '''{{{#fff 감독}}}''' ||<-6>[[강현종|강현종 {{{#!wiki style="display:inline;padding:1px 2px;border-radius:3px;background:#ff6b01;font-size:.9em" {{{#fff OnAir}}}}}}]]|| ||<bgcolor=#ff6b01> '''{{{#fff 코치}}}''' ||<-6>[[호진석|호진석 {{{#!wiki style="display:inline;padding:1px 2px;border-radius:3px;background:#ff6b01;font-size:.9em" {{{#fff LinLan}}}}}}]]|[[장건웅|장건웅 {{{#!wiki style="display:inline;padding:1px 2px;border-radius:3px;background:#ff6b01;font-size:.9em" {{{#fff Woong}}}}}}]]|| ||<-7><width=22%><bgcolor=#959a9d> '''{{{#24282b 로스터}}}''' || ||<bgcolor=#ff6b01> [[파일:롤아이콘-포지션-탑-White.svg|width=25]][br]'''{{{#fff TOP}}}''' ||<-3><width=39%>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10. [[박권혁|박권혁[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6b01; font-size: 1.0em" {{{#fff Thal}}}}}}]] ||<-3><width=39%>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9. [[김준영(1996)|김준영[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6b01; font-size: 1.0em" {{{#fff SoHwan}}}}}}]] || ||<bgcolor=#ff6b01> [[파일:롤아이콘-포지션-정글-White.svg|width=25]][br]'''{{{#fff JGL}}}''' ||<-3>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2. [[김기범(프로게이머)|김기범[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6b01; font-size: 1.0em" {{{#fff bonO}}}}}}]] ||<-3>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1. [[김무진|김무진[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6b01; font-size: 1.0em" {{{#fff Moojin}}}}}}]] || ||<bgcolor=#ff6b01> [[파일:롤아이콘-포지션-미드-White.svg|width=25]][br]'''{{{#fff MID}}}''' ||<-3>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3. [[강명구(프로게이머)|강명구[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6b01; font-size: 1.0em" {{{#fff Tempt}}}}}}]] ||<-3>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4. [[김태훈(1999년 7월)|김태훈[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6b01; font-size: 1.0em" {{{#fff Lava}}}}}}]] || ||<bgcolor=#ff6b01> [[파일:롤아이콘-포지션-원거리-White.svg|width=25]][br]'''{{{#fff BOT}}}''' ||<-3> [[파일:crwn.png|width=15]]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7. [[권상윤|권상윤[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6b01; font-size: 1.0em" {{{#fff Sangyoon}}}}}}]] ||<-3>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8. 문원희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6b01; font-size: 1.0em" {{{#fff Clever}}}}}} || ||<bgcolor=#ff6b01> [[파일:롤아이콘-포지션-서포터-White.svg|width=25]][br]'''{{{#fff SPT}}}''' ||<-3>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5. [[김한기|김한기[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6b01; font-size: 1.0em" {{{#fff Key}}}}}}]] ||<-3>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6. [[김태기|김태기[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6b01; font-size: 1.0em" {{{#fff Asper}}}}}}]] || ||<-21><table width=100%><table bordercolor=#ff6b01><bgcolor=#ff6b01><tablebgcolor=#fff,#191919> [[파일:LCK white.png|width=32]] '''{{{#white 2019 League of Legends Champions Korea Spring Split 경기 결과표}}}''' || ||<bgcolor=#ff8b01> {{{#white '''라[br]운[br]드'''}}} ||<-9><bgcolor=#959a9d> '''1라운드''' ||<|5><bgcolor=#ff8b01> {{{#white '''1[br]라[br]운[br]드[br]최[br]종[br]순[br]위'''}}} ||<-9><bgcolor=#959a9d> '''2라운드''' ||<|5><bgcolor=#ff8b01> {{{#white '''2[br]라[br]운[br]드[br]최[br]종[br]순[br]위'''}}} || ||<bgcolor=#ff8b01> {{{#white '''팀'''}}} || [[kt 롤스터/리그 오브 레전드|K[br]T]] || [[Afreeca Freecs/리그 오브 레전드|A[br]F]] || [[Griffin/리그 오브 레전드|G[br]R[br]F]] || [[SANDBOX Gaming/리그 오브 레전드|S[br]B]] || [[진에어 그린윙스/리그 오브 레전드|J[br]A[br]G]] || [[SK텔레콤 T1/리그 오브 레전드|S[br]K[br]T]] || [[Gen.G/리그 오브 레전드|G[br]E[br]N]] || [[KING-ZONE DragonX/리그 오브 레전드|K[br]Z]] || [[DAMWON Gaming/리그 오브 레전드|D[br]W[br]G]] || [[Afreeca Freecs/리그 오브 레전드|A[br]F]] || [[KING-ZONE DragonX/리그 오브 레전드|K[br]Z]] || [[Gen.G/리그 오브 레전드|G[br]E[br]N]] || [[진에어 그린윙스/리그 오브 레전드|J[br]A[br]G]] || [[DAMWON Gaming/리그 오브 레전드|D[br]W[br]G]] || [[SK텔레콤 T1/리그 오브 레전드|S[br]K[br]T]] || [[Griffin/리그 오브 레전드|G[br]R[br]F]] || [[SANDBOX Gaming/리그 오브 레전드|S[br]B]] || [[kt 롤스터/리그 오브 레전드|K[br]T]] || ||<bgcolor=#ff8b01> {{{#white '''승''' }}} || 2 || 2 || 0 || 0 || 2 || 0 || 2 || 2 || 0 || 2 || 0 || 2 || 2 || 1 || 1 || 0 || 0 || 2 || ||<bgcolor=#ff8b01> {{{#white '''패''' }}} || 1 || 0 || 2 || 2 || 0 || 2 || 0 || 0 || 2 || 1 || 2 || 1 || 0 || 2 || 2 || 2 || 2 || 0 || ||<bgcolor=#ff8b01> {{{#white '''결[br]과''' }}} ||<bgcolor=#87cefa> 승 ||<bgcolor=#87cefa> 승 ||<bgcolor=#ffaaaa> 패 ||<bgcolor=#ffaaaa> 패 ||<bgcolor=#87cefa> 승 ||<bgcolor=#ffaaaa> 패 ||<bgcolor=#87cefa> 승 ||<bgcolor=#87cefa> 승 ||<bgcolor=#ffaaaa> 패 ||<bgcolor=#87cefa> 승 ||<bgcolor=#ffaaaa> 패 ||<bgcolor=#87cefa> 승 ||<bgcolor=#87cefa> 승 ||<bgcolor=#ffaaaa> 패 ||<bgcolor=#ffaaaa> 패 ||<bgcolor=#ffaaaa> 패 ||<bgcolor=#ffaaaa> 패 ||<bgcolor=#87cefa> 승 || ||<|2><bgcolor=#ff8b01> {{{#white '''전[br]적''' }}} || 1[br]승 || 2[br]승 || 2[br]승 || 2[br]승 || 3[br]승 || 3[br]승 || 4[br]승 || 5[br]승 || 5[br]승 ||<bgcolor=#ffab01> '''5[br]승 ''' || 6[br]승 || 6[br]승 || 7[br]승 || 8[br]승 || 8[br]승 || 8[br]승 || 8[br]승 || 8[br]승 || 9[br]승 ||<bgcolor=#ffab01> '''9[br]승''' || || 0[br]패 || 0[br]패 || 1[br]패 || 2[br]패 || 2[br]패 || 3[br]패 || 3[br]패 || 3[br]패 || 4[br]패 ||<bgcolor=#ffab01> '''4[br]패''' || 4[br]패 || 5[br]패 || 5[br]패 || 5[br]패 || 6[br]패 || 7[br]패 || 8[br]패 || 9[br]패 || 9[br]패 ||<bgcolor=#ffab01> '''9[br]패''' || ||<bgcolor=#ff8b01> {{{#white '''득[br]실''' }}} || +1 || +3 || +1 || -1 || +1 || -1 || +1 || +3 || +1 ||<bgcolor=#ffab01> '''+1''' || +2 || 0 || +1 || +3 || +2 || +1 || -1 || -3 || -1 ||<bgcolor=#ffab01> '''-1''' || ||<bgcolor=#ff8b01> {{{#white '''순[br]위''' }}} ||<bgcolor=#bb8644> 3 || 5 || 5 || 6 || 5 || 5 || 5 || 4 || 6 ||<bgcolor=#ffab01> '''6''' || 6 || 6 || 6 || 5 || 6 || 6 || 6 || 6 || 6 ||<bgcolor=#ffab01> '''6''' || 클템의 예상 분석에서 평균 10점 만점에 4.8점이라는 저조한 점수를 필두로 다양한 분석에서도 "이젠 못 믿겠다."는 반응이 많았다. 2018 LoL KeSPA CUP에서 LCK팀 중 최초 탈락과 아마추어팀(KeG 서울) 상대 패배라는, 가장 걱정스러운 성적표를 받아드는 바람에 이 팀에 불안감을 가진 사람들이 상당히 많았다. 이후 개인 방송까지 중지시키며 연습에만 몰두하는 시간을 보냈다. >케스파컵은 과거다! 숙취라고 생각하면 돼요! >1월 17일 경기 중계진 1월 17일에 열렸던 개막전에서 바로 전 시즌 디펜딩 챔피언인 KT를 2:1로 잡아냈다! 1세트에선 예상대로 상윤 혼자서만 고통받다가 패배했지만, 2세트부터 트할 - 보노가 각성하면서 그대로 몰아붙여 이기는 저력을 발휘했다. MVP도 트할 - 보노가 번갈아 차지. >[[김동준(게임 해설가)|김동준]] 해설: 진짜 케스파컵 때, 아니 이건 이제 의미가 없어요. 1월 20일에 열린 시즌 2차전, [[아프리카 프릭스]]와의 대결에서 2:0 낙승을 거뒀다. 트할은 그야말로 진정한 상남자가 됐고, 상윤은 카이사를 2연픽하며 지난 해 14킬 카이사의 향기를 제대로 냈다. 라바는 2세트 르블랑으로 초반부터 상대를 반 죽여놨고 키 또한 중요한 순간마다 희생 플레이와 슈퍼 세이브를 번갈아 보여주며 리드를 놓치지 않고 게임을 끝내버렸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기인은 '''아무것도 못했다'''. 이런 경기력을 꾸준히 유지하면 지난 해 아쉽게 놓친 포스트시즌 진출은 물론 그 위를 바라볼 수 있는 강팀 대열에 합류하고도 남는다. 케스파컵 때의 안 좋았던 기억을 단 4세트로 날려버리며 2세트 모두 라바의 MVP 수상. 하지만 그리핀, 샌드박스에게 연패하며 기세가 죽었다. 그리핀전에서 특유의 무한 스노우볼 전략으로 1세트땐 글로벌 골드 8천 이상 차이로 벼랑 끝까지 끌고 가는데 성공했지만 바이퍼의 카이사 펜타킬로 수식되는 그리핀의 기적과 같은 한타로 뒤집었고, 결국 역전패한 이후 중, 장기전을 주효로 하는 밴픽을 했지만 무기력하게 졌다. 샌드박스전에서도 정글 차이를 이기지 못하고 전 라인이 압도당하는 어려움을 해결하지 못하고 첫 연패를 했다. 진에어전에는 1세트 초반 스노우볼이 진에어에게 굴러가며 첫 세트 패배가 한화에 의해 생기나 했지만, 진에어의 의아한 운영과 실수들로 한화가 승리를 거두어갔고 멘탈이 터진 진에어는 그대로 2세트를 꼴아박았다. 3위 결정이 걸린 SKT전에는 정글 클리드의 운영에 시종일관 시달리며 게임 내내 주도권을 내줬다. 이후 잘 큰 테디가 한타를 터뜨리며 3위 진입에 실패했다. 더구나 킹존의 4연승으로 4위로 올라서며 5위로 떨어졌다. 연휴가 끝나고 첫 경기인 젠지전에선 바론 쪽에 시야가 없던 것을 확인하고 그대로 바론 트라이를 감행하고 바론도 먹고 한타 대승으로 에이스를 띄운다. 트할의 블라디미르는 한타를 쓸어내면서 초반 흔들렸던 경기를 뒤집는 일등공신으로 MVP를 받았으며[* MVP 인터뷰에서 "블라디 잡으면 질 각이 안보인다."는 자신감을 내비쳤다.] 다음 세트에선 2028일 만에 요릭을 픽하며 리메이크 후 사기챔이 된 요릭의 모습을 유감없이 보여주었다. 아직 챔피언에 대한 높은 이해도까진 아니지만 트런들 장인 출신다운 뛰어난 벽세우기와 숨막히는 라인 압박으로 '단식 메타'를 제대로 카운터치며 존재감을 과시했다. 이 경기로 주장이자 원거리 딜러인 상윤은 LCK 8번째로 1000킬을 달성한 선수가 되었다. 킹존과의 경기에선 1경기엔 템트의 야스오와 트할의 블라디미르가 대활약했다. 초반부터 폰의 리신드라를 솔킬내더니 한타에선 블라디가 1:2, 1:3으로 묶어 버려 전장에서 이탈시키면 야스오와 애쉬가 그대로 쓸어버렸다. 2경기엔 내현의 야스오를 템트가 르블랑으로 맞서 노데스를 기록하며 제대로 캐리했다. 1라운드 마지막 경기, 담원에게 0:2로 패배하면서 6위로 순위가 떨어졌다. 경기 1세트 도중 보노가 전령을 잡고도 먹지 않는 어이없는 실수가 나왔다. 1라운드의 좋은 분위기와는 반대로 2라운드에 들어서 분위기가 점점 다운되더니 샌드박스와의 0:2 석패를 당하며 포스트 시즌 진출에 '''또''' 실패했다. 특히 이 날 2세트에서는 선수들 대부분이 멘탈이 나간 듯 던지기를 반복하며 무력하게 패배했다. 2세트의 상윤과 키는 상대팀의 탈리야가 뚜벅 뚜벅 걸어오는 것을 보고도도 계속 포탑을 치다가 스킬샷을 명치에 얻어맞고 둘 다 죽었다. 이로서 한화는 2017 시즌 신 ROX부터 이번 2019 스프링까지 '''5시즌 연속''' 포스트 시즌 진출에 실패하고, '''3시즌 연속''' 6위라는 성적을 받게 됐다. 매번 다음 시즌만을 기약하지만 팬들의 입장에서는 속이 시꺼멓게 타들어간다. 야구가 비밀번호 끊으니 롤에서 또 비밀번호를 갱신 중이다. 2라운드 마지막 경기인 KT전에서 무진이 선발 출전했다. 초반 위쪽 레드 교전에서 제이스를 이용한 좋은 교전으로 무진이 이득을 많이 보았고, 바론 둥지의 전투에서 2:3 교환으로 템트의 코르키가 3킬을 쓸어담았다. 이후 무진의 자르반이 자연스레 전령을 취하고 봇에서 상대 팀 루시안을 갈리오의 갱 호응을 통해 잡아냈다. 이후 전령으로 포탑 방패도 뜯어내고, 용 앞 전투에서는 무진의 자르반이 대지용도 스틸하는 등 좋은 모습을 보여줬고 무난하게 KT를 압도하면서 1세트를 끝냈다. 2세트 또한, 무진이 상대팀의 잘 큰 케일을 깃창으로 띄우면서 궁도 못쓰고 삭제하는 좋은 모습을 보였다. 물론 템트는 탈리야 궁 활용으로 마지막 바론 전투에서 키의 갈리오를 가둬버리는 악수를 두었지만 소환의 케넨과 상윤의 빠른 텔포 판단으로 상대팀 넥서스를 백도어로 뚫어버렸다. 지난 무진의 첫 출전은 단순한 해프닝이라는 듯이 무진은 경기 내내 좋은 모습을 보여줬지만, 분명 1, 2세트에서 탑 미드의 불안정한 폼이 꽤 보였으므로 서머 포스트 시즌 진출을 위해서는 지금보다 확실히 보완해야 할 문제이다. 이번 시즌까지 망한 시점에서 팬들과 전문가들이 입을 모아 [[ROX Tigers/2017년 이후#s-2.1.4|미키 방출 후의 ROX 시절]]부터 시작된 현 한화생명의 최대 문제점으로 지적하는 점은 '''A+급 슈퍼 크랙의 부재'''다. 심각한 구멍이 한 명 이상 있어서 팀이 굴러가지 않는 하위권 팀들과 달리 전체적으로 봤을 때 구멍급 선수는 없어서 팀이 어느 정도 잘 굴러가지만, 판을 쥐고 흔들 수 있는 슈퍼 크랙의 부재 때문에 일정 수준 이상으로 치고 올라가는게 불가능하다는 것. 이번 시즌만 봐도 포스트시즌에 올라간 다섯 팀은 담원의 너구리, 샌드박스의 온플릭, 킹존의 데프트와 커즈, SKT의 클리드와 칸, 그리핀의 쵸비와 타잔처럼 슈퍼 크랙이라고 할 수 있는 선수가 최소 한명은 있었다. 이러한 슈퍼 크랙의 부재를 채워줄 것으로 예상됐던 무진마저 방치되다못해 사라졌다고 봐도 무방한 존재감이 되어버린 가운데 과연 서머에는 어떤 해결책을 들고 나올지가 중요해졌다. 또 유연한듯 경직된 라인업과 밴픽 및 전략도 문제로 떠올랐다. 시즌 내내 탑, 미드 주전도 제대로 못 정한 하위권 팀과 비교하면 안정적이나 주전인 트할, 보노, 템트가 부진해도 기용 가치가 있는 소환, 무진, 라바가 계속 벤치에만 앉아 있었고, 보노의 초반 3버프 정글링과 기습적인 바론 트라이라는 플랜 A로 재미를 많이 봤지만 시즌이 갈수록 다 파훼되는데도 다른 전략이 없었다. 다만 승강전으로 떨어진 KT 상대였지만 소환 - 무진을 선발로 기용하고 이들에게 캐리형 챔프를 쥐어주며 큰 승리를 거두는 등 조금씩 개선되는 모습을 보여주곤 있다. 4월 15일, 서브 봇 듀오인 클리버 - 에스퍼와 장건웅 코치와의 상호 계약 해지를 발표했다. 봇 듀오에겐 출전 기회를 위해, 장건웅 코치는 건강상의 문제로 휴식이 필요하다는 의견을 존중해 계약을 종료했다고 한다.[* 절친한 고용준 기자의 말에 따르면 '말할 수 없는 일'이 있었다고 한다.] 특히 장건웅 코치는 스프링 동안 인게임 전략을 전담하고 시즌 마지막 경기에선 직접 밴픽도 나서는등 장기적으로 키워볼 생각이었던 강현종 감독에겐 꽤 아픈 일이 되었다.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또는
기타 라이선스 (문서에 명시된 경우)
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07)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107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