떡밥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07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서버 점검 공지
|
개인정보 처리방침 개정 안내
픽셀네트워크
(r1 문단 편집)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 여담 == * 설립자인 김진우는 회사를 만든 이유가 자신의 지인들이나 친구들이 정산이나 세금 문제로 등쳐 먹히는걸 너무 많이 봐와서라고 밝혔다. * 쫀득의 방송에서 픽셀은 소속 스트리머한테 투명하게 모두 공개한다는 이야기가 나왔었고, 이후 12월 22일 아구이뽀의 픽셀 입단 발표 방송에서 아구이뽀는 픽셀 측의 계약서가 스트리머에게 많은 배려를 해주는 계약서라는 평을 했다.[* 계약서를 달라고 하자 픽셀 측에서는 계약서를 주면서 3줄 요약을 해줬고 그 사이 계약서를 다 읽은 아구이뽀는 망설임 없이 바로 계약했다고... 이때 든 예시가 웃긴데, 흔한 계약서가 독거노인들에게 가서 옥장판을 파는 다단계 같다면 픽셀의 계약서는 [[소나기(소설)|소나기]]에서 남자 주인공이 품에서 감자를 주섬주섬 꺼내 '이..이거 먹을래..?' 하고 건네주는 순수한 마음으로 느껴졌다고. 그리고 굳이 얘기하자면 사실 감자는 소나기가 아니라 [[동백꽃(소설)|동백꽃]]의 여자주인공이 준다. 아마도 말하는 중에 헷갈린듯. 감자를 [[무]]로 바꾸면 대강 맞는 얘기긴 하다.] 대부분의 계약서에 흔히 있는 독소조항이 픽셀의 경우는 없었다는 듯 하다. 이렇게 운영하는 것은 지누의 방침이라고 한다. 설립자 지누부터가 스트리머인 만큼 스트리머 친화적으로 운영하는 듯. 이외 공통적으로 INFP도 쉽게 거절할 수 있는 매우 프리한 분위기를 소속 스트리머들은 장점으로 꼽는다. * 소속 스트리머 대부분이 노캠스트리머[* 대부분이 얼굴 공개를 안 한 것은 물론, 캠을 키는 경우도 보통 삐부나 임나은처럼 마스크캠/반캠이고, 얼굴이 알려졌거나 과거엔 캠방을 했던 감블러, 김뿡, 실프, 이초홍 등도 현재는 일절 하지 않고 있다. 때문에 아구이뽀와 푸린의 경우 캠방이 필요한 광고를 본인들이 대부분 몰아 받는다고 언급한 적이 있다. 2025년 기준 픽셀에서 '지속적으로 혹은 비정기적으로 캠방을 한다'라고 불릴만한 스트리머는 아구이뽀와 채현찌, 루다, 너불 정도밖에 없다. 4명 중에 아구이뽀를 제외하면 공파리파, 푸린, 쫀득, 마젠타 등 과거 캠방 인물들이 탈퇴하고 나서 들어온 인물들이라, 일부러 캠방 인원을 충원하기 위해 영입했다는 썰도 있다.][* 캠방을 하지 않지만 광고나 행사 대회등등으로 얼굴을 비추는것에 대해서 딱히 신경안쓰는 멤버엔 남봉, 실프, 삐부, 눈꽃까지 4명이있다.]에다 집순이, 집돌이들이다. 그래서 그런지 현실 만남의 수는 손에 꼽는 편이다. 그래도 2023년 말부터 김뿡의 주도하에 픽셀 스트리머 파티가 종종 열리는 중이다. 지금까지 열린 스트리머 파티는 2023 픽셀 연말 파티, 2024픽셀 꽃놀이가 있다. * 원래 친한 스트리머들끼리 합동으로 굿즈를 만들어 판매할 목적으로 간단하게 차려진 회사였다고 한다. 그래서 그런지 소속 스트리머들끼리 서로 어느 정도 친한 사이이다. 아예 너불이 픽셀네트워크와 계약한 이후 아구이뽀, 악녀, 김똘복과의 디스코드 대화에서 픽셀네트워크 구조자체가 서로 친한 스트리머들끼리 추천을 해주어서 들어오는 시스템이라고 말을 했다. 때문에 MCN이지만 방송인들 크루처럼 교류 및 합방이 활발하다는 것이 픽셀네트워크의 특징이다. * 방송 플랫폼은 지누가 트위치 스트리머였고 다른 MCN과 달리 추천제로 입사하는만큼, 소속 스트리머 전원이 [[트위치 대한민국 사업 철수 사건|트위치 철수]] 전까지는 [[트위치]]를 메인 플랫폼으로 활용하고 있었다.[* 이는 트위치 철수 이후 들어온 스트리머들에게도 해당되는 얘기다. 트위치 철수 이후에 들어온 7명의 스트리머 모두 지누처럼 트위치에서 치지직으로 이적했기 때문.] 트위치 철수 이후에는 [[윤이샘]], [[견자희]], [[공파리파]][* 방송의 방향성 및 새로운 시도를 위해 간 윤이샘, 견자희와는 다르게 공파리파는 치지직 방송 시 해외계좌 환전이 불가능해서 SOOP 밖에 선택지가 없었다.]가 [[SOOP]]으로 이적한 것 외에는 모두 [[치지직]]에서 이적했다가[* 본래 픽셀 멤버들이 다 같이 치지직으로 이적한다는 루머가 돌았는데, 해당 유튜브 댓글에 지누가 "내가 언제"라는 댓글로 이를 일축했다.], 이후 [[감블러]]와 [[망개]]도 SOOP으로 이적해 2025년 현재 픽셀네트워크 내에 치지직 스트리머 22명, SOOP 스트리머 3명이 활동하고 있다.[* 견자희와 공파리파는 SOOP 이적 후 얼마 지나지 않아 픽셀네트워크와 계약을 종료했다.] * 쫀득의 입단 방송에서 언급된 바에 의하면 [[산돌커뮤니케이션]]과 폰트 사용 계약을 맺은 것으로 보인다. * 하도 픽셀코인에 시달렸는지 플러스친구 공식 메뉴에 <☆픽셀코인은 저희가 아닙니다☆>라는 안내사항이 올라와 있다. 이와는 별개로 지누는 픽셀코인을 보고 픽셀네트워크의 미래를 점친다고 한다.[* 하지만 픽셀 코인은 업비트 상장폐지되었다.] * 픽셀 소속으로 발표난 스트리머 외에도 여러 스트리머들에게 지원을 해주고 있다. * [[코렛트]]의 경우 픽셀네트워크 소속은 아니나, 픽셀스토어에서 머그컵과 하드케이스를 낸 적이 있다. 게다가 픽셀네트워크에 가입된 사람들과 고루고루 친하기도 하고 평소에도 합방을 많이 하다보니 많이들 헷갈린다.[* [[이춘향]], [[꽃핀]], [[마뫄]], [[램램]], [[백곰파]] 등도 코렛트와 비슷한 이유로 픽셀 아니냐는 오해를 받는다. 물론 이들은 픽셀 관련 굿즈가 나온 적이 없긴 하지만... 합방이나 교류가 굉장히 활발하기 때문에 이러한 오해가 생긴다. 소속 스트리머들도 가끔 헷갈리는 경우가 있다. [[https://youtu.be/ghK2rY-4x2k?t=394|나나양이 이춘향의 소속을 헷갈려하는 영상]] 애석하게도 모두 [[샌드박스 네트워크]] 소속이며, 이의 연장선으로 픽셀 멤버가 요상한 일을 저지를 때 샌첩(샌박+간첩) 드립이 가끔 쓰인다.] 그래서 가끔 스트리머들이 픽셀 관련으로 이야기하거나 팬영상이 제작될 때 같이 등장하는 경우가 있으나 본인이 픽셀 소속은 아니라고 부정한 상태. 본인 입장 뿐만 아니라 픽셀 공식 사이트에도 코렛트는 등록되어 있지 않고, [[이터널 리턴]] 픽셀 내전 후 일부 참가자들이 2부로 진행한 [[리그 오브 레전드]] 내전에 코렛트가 참가 의사를 보이자 스트리머들이 '그러면 이젠 픽셀 내전인 척하는 내전'이라는 반응을 보이는 등 픽셀 소속이 아니라는 증거는 꽤 많이 보인다. 아예 [[던전앤파이터]] 스트리머 매치에서는 픽셀팀에 용병으로 참여하게 되었는데, 용병임에도 픽셀팀 팀장까지 맡게 되면서 트수들은 명예픽셀, 유사픽셀 정도로 취급하는 중이다만, 2023년 9월 1일 부로 [[샌드박스 네트워크]] 소속이 되었다. * 늪지대와의 콜라보로 [[리타(인터넷 방송인)|리타]], [[멋사]], [[수닝]]의 굿즈가 출시되었다.[* 후에 늪지대 소속인 너불과 남봉이 합류했다.] * 그 외에도 여러 무소속 스트리머들이 픽셀 소속 스트리머들과 비슷한 시기에 같은 광고를 한다거나, 어디라고 특정하지는 않았지만 '우리 소속이라고 밝히지 않고 광고만 받아도 된다'고 컨택한 회사가 있었다고 밝히는 스트리머도 있었다. * [[네클릿]]의 말에 따르면 [[인챈트 엔터테인먼트]]의 롤모델로 삼고 있다고. 인챈트는 이후 픽셀 출신 견자희를 영입한다. * 2024년 4월 탬탬버린이 현 대표인 지누형과 이야기한 썰에 따르면, 지누가 일을 벌리고 형이 수습하던 것이 언제나 좋게 해결되었는데 픽셀의 설립도 이러한 흐름이었다고 한다. 지누도 일을 벌이면 형이 다 해결해줄 거라 믿고 일단 일을 벌인다고. 픽셀 설립도 전술한 대로 스트리머에게 불리한 정산 구조 때문에 만들었는데, 만드는 과정도 갑자기 탬탬버린에게 전화해서 픽셀을 만들겠다고 했고 탬탬버린이 취지는 좋은데 우리가 그걸 어떻게 하냐고 하자 할 줄 아는 사람을 데리고 하면 된다고 말하며 시작한 것이라고 한다. 그러다 지누가 사회복무를 시작하게 되자 현 대표인 형에게 SOS를 쳤고 형이 그것을 이어받아 오늘날에 이르고 있다고 한다. * 2024년 전까지는 픽셀네트워크의 위치가 굿즈 및 광고 대행사 역할만 하는지 MCN 역할을 하는지 혼동이 많았는데, 2024년 5월 27일 [[지누(인터넷 방송인)|지누]]가 개인 방송에서 픽셀네트워크는 MCN이라기에는 애매했다는 기존의 입장을 번복하고 픽셀네트워크는 MCN이 맞다고 언급하였다. * 2025년 8월 [[지누(인터넷 방송인)|지누]]가 개인방송에서 픽셀네트워크는 처음 설립되었을때부터 MCN 이였으며 시청자가 오해 한것은 "픽셀은 다른 MCN과 다르게 CMS(Content Management System)가 없다" 에서 비롯된 오해였다는것을 다시 한번 설명 하였다. * 스트리머 대부분이 성덕이다. 금사향, 설백, 윤이샘은 지누의 팬이고, 감블러는 탬탬버린의 팬, 나나양은 실프[* 정확히는 [[포엔트로]]의 팬.]의 팬이다. 이외에도 탈퇴한 애덕은 금사향의 팬이다. * 회사 내에 본명이 '진우'인 사람이 [[지누(인터넷 방송인)|두]] [[감블러|명]] 존재한다. 단, 성은 다르다. * 영입 방식이 추천제라는 특성상 공통된 크루에 소속되어 있는 경우가 많다. 탬탬버린, 김뚜띠, 나나양은 [[공포게임 동호회]], 탬탬버린과 삐부는 [[힐링캠프(인터넷 방송인 모임)|힐링캠프]], 루다와 채현찌는 [[애니멀즈(인터넷 방송인 모임)|애니멀즈]], 너불과 남봉은 [[악어크루|늪지대]] 소속이다. 김뚜띠, 김뿡, 감블러, 삐부, 前 멤버 쫀득은 [[램램]]TV 출신이다. 그리고 前 멤버 견자희, 삐부, 금사향은 과거 버츄얼 그룹 [[버츄얼 유튜버/목록/한국/버츄얼 그룹#s-5.4.5|세컨드 라이프]] 소속이었다. 그외에도 김진우, 탬탬버린, 루다 등은 거의 10년 가까이 알고 지냈고, 탬탬버린, 악녀, 강지는 픽셀 이전부터 신호등 자매로 묶이는 등 대부분의 멤버들이 오랜 시간 서로 알고 지내온 사이들이다. * 2024년 10월 경 김똘복이 군기를 잡으려는 드립을 치자 너불이 처음으로 ㅈ소 발언을 쳤고, 2025년 자주 갈굼당하던 막내[* 사실 마지막으로 들어온 건 남봉이지만, 알고 지낸 기간으로나 이미지로나 채현찌가 막내 취급을 받고 있다. 남봉 본인도 낙하산이라는 드립을 치며, 선배 행세를 하려는 채현찌를 누르고 동기 관계라고 밀고 있다. 나이로도 채현찌가 막내가 아니며, 이 역시 두 번째로 어리다. 제일 막내는 망개지만, SOOP 이적으로 교류 자체가 줄어든 편이라 채현찌가 갈굼당하는 장면이 많아진 것의 영향도 있다. 실제로 오버워치 픽셀컵 전까지 채현찌와 망개는 서로 마주한 적이 없다.] 채현찌가 ㅈ소 드립을 활발히 쓰면서 '픽셀 = ㅈ소기업' 밈이 본격적으로 활성화 되었다. 물론 이건 WWE일 뿐이고, 실제로는 채현찌가 사인회 당시 픽셀의 지원을 받았을 때 절대 ㅈ소가 아님을 느꼈다고 한다. [[https://youtu.be/y_XAYrbDbIs?si=bUBmdlGwaZ7Uwqpz&t=222|#]] [include(틀:문서 가져옴/나무위키, title=픽셀네트워크, version=1229, uuid=93e8ca13-3346-4ca4-87e7-621aaa0f6bab)]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또는
기타 라이선스 (문서에 명시된 경우)
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07)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107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