떡밥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07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서버 점검 공지
|
개인정보 처리방침 개정 안내
프랑스 침공
(r1 문단 편집)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 그 외 == * 프랑스의 항복 직후 수많은 아프리카 출신 흑인 병사들이 포로로 잡혔고 독일군이 이들에게 야만적 행동을 강요하며 선전 활동을 한 후 전부 총살했다는 풍문이 있다.[* 이 내용은 내셔널 지오그래픽의 다큐멘터리 [[https://www.youtube.com/watch?v=LzLuCyrK4gw|제2 차 세계대전, 2부 프랑스의 참패]]에서 나온 내용을 그대로 옮겨적은 것이다.] 실제로 프랑스 침공 기간의 독일 주간 뉴스 510~512호를 보면 흑인 프랑스군 포로들을 보도하며 '이것이 자칭 유럽의 자존심이라는 대육군의 현실이다'라고 조롱하는 장면이 잦았다.[[https://www.youtube.com/watch?v=s2Pi8reTezU|독일 주간 뉴스 512호]] 프랑스 작가 자크 타르디가 당시 프랑스군 [[르노 R-35/40|전차병]]이었다가 전쟁포로가 된 아버지[* 이 사람이 윗 문단에서 "군복무 해보면 알 것"이라 아들에게 일갈한 르네 타르디이다.]의 경험을 그린 [[https://book.naver.com/bookdb/book_detail.nhn?bid=8191072|포로수용소]]라는 만화를 보면 당시 프랑스 식민지였던 [[세네갈]] 출신 흑인 병사들이 독일군에게 잡힌 지 얼마 후 집단으로 총살당하는 일이 비일비재했다고 한다.[* 흑인에 대해 딱히 증오심이나 차별의식이 없고 굳이 찝찝한 기억을 만들고 싶지 않던 병사들은 개인적인 차원에서는 이런 흑인 포로들을 잘 대할 때도 있었으나 유럽 전체와 나치 독일에 만연한 인종주의, 특히 루르 지역을 자신들이 열등하다 말할 가치조차 없게 여긴 흑인으로 구성된 외인부대에게 점령된 것을 굉장한 치욕 중의 하나로 여겼기 때문에 상부에서는 이들을 좀 더 거칠게 다룰 것을 지시하였다. 이에 프랑스 장교는 그들을 다른 병사들과 동일하게 대해줄 것을 요구하였으나 저것들은 인간이 아닙니다. 라는 정중한 대답을 들었다고 한다.] 게다가 살아남은 흑인 포로들은 다른 프랑스군 포로들과는 달리 유색인종을 독일땅에 들일 수 없다는 이유로 독일의 수용소로 이송하지 않고 프랑스에다가 따로 전용 수용소를 만들어 거기에 가두었다.[* 물론 프랑스도 파리 탈환을 앞두고 흑인부대는 빼고 백인부대만 파리 행진을 시키며 식민지군의 충성심을 날려버렸다. 다만 이 문제는 미국이 파리 행진에서 유색 인종을 빼달라는 요청을 프랑스 측에 전달하면서 시작됐다. 이에 프랑스는 흑인 부대를 빼고 북아프리카인 부대를 배치했다.[[http://news.bbc.co.uk/2/hi/europe/7984436.stm|#]]] * 영국과 프랑스가 방어 대신 공세를 펼쳤다면 [[제2차 세계 대전]]이라는 말은 존재하지도 않았을 것이라는 주장도 많다. 그 정도로 전간기부터 영국과 프랑스도 엄청난 삽질을 해댄 것이다. 물론 전술했듯 독일은 라인란트 재무장 시기부터 영국과 프랑스와의 전쟁을 피하기 위해 엄청난 외교전을 벌였고 전쟁을 피할수 없게되자 영국과 프랑스가 공세에 나서지 못하도록 철저하게 기만작전을 펼쳤다. 여기에 폴란드군이 너무 빨리 무너졌고 프랑스군의 자르 공세에 맞선 독일 제 1군은 기대 이상의 선전을 하자 영불 연합군은 오히려 자신들이 더 많이 죽어나갈 것이라고 생각하게 된 것도 크게 작동했다. 또한 독일이 프랑스를 점령하자 동맹인 [[일본 제국]]은 프랑스의 식민지인 [[프랑스령 인도차이나|인도차이나]](베트남, 캄보디아, 라오스)를 손쉽게 점령했고[* 정확히 말하면 인도차이나의 프랑스 식민지 총독부를 위협해서 주둔권 등의 권리를 얻은 것이지만 실질적으로는 점령과 마찬가지였다. 이후 비시 프랑스가 항복하고 나치 독일도 멸망 직전에 이르자 일본은 1945년 3월 총독부를 아예 해체시키고 괴뢰국들을 세워 잠시마나 인도차이나를 지배했다.] 프랑스가 무너지면서 영국이 유럽에서 홀로 고립되자 대다수가 영국의 영향력 아래에 있던[* 동남아시아 자체가 1940년을 기점으로 일본의 위협에 처하게 됐다. 인도네시아와 인도차이나를 식민지로 삼았던 네덜란드와 프랑스의 본토가 독일에게 점령당했고 영국은 본토가 점령당하지 않았지만 그동안의 삽질로 인한 손실과 본토방어에 바빠 동남아시아를 지원할 여력이 없었다. 미국이 유일하게 건재했는데 일본이 워낙 기습적으로 공격해서 필리핀을 방어할 수 없었다.] 나머지 동남아시아 지역을 꿀꺽 삼키려 하고 이는 [[태평양 전쟁]]의 원인이 된다. 그리고 동시에 프랑스 침공 당시에는 중립을 표방하며 나서지 않아왔던 [[미국]]이 연합국으로 참전하게 된다.[* 미국은 당시 세계 대공황과 뉴딜 정책 등으로 인해서 국내 분위기도 혼란스러웠던 시기였을 뿐 아니라 유럽 내에서 일어난 일이라 비유럽권 국가인 본국이 나설 일도 아니었기 때문에 굳이 프랑스 침공에 개입하지 않았다.] * 이 당시까지만 해도 [[일본 제국]] 치하의 일본열도와 식민지 조선, 대만, [[만주국]] 등에서는 전쟁을 유럽에서 일어난 난리 정도로만 여기고 있었다. 상기한 일제의 동남아 침공은 1942년, 즉 1941년 12월 [[진주만 공습]] 이후에나 이루어졌고 일본 본토의 국민들이 전쟁을 체감하는 것은 아무리 빨리 잡아도 [[둘리틀 특공대]]의 도쿄 폭격 이후로, 실제로는 사이판 섬을 미군이 점령한 이후 [[B-29]] 폭격기가 일본 본토를 마구 폭격하기 시작하면서였다. 그래서 프랑스 침공 당시 일본이나 조선의 식자들이 남긴 여러 기록을 보면 전쟁을 남의 일로 여기는 듯한 서술이 상당히 많이 보인다. 물론 이 시점에도 일본군이 침공한 중국 대륙에서는 [[충칭 대공습]], [[난징 대학살]] 등 일본군에 의하여 처참한 전쟁이 진행되고 있었다. 단지 일본 제국 권역의 사람들이 남의 동네 일로 여기고 있었을 뿐이다. * 프랑스 침공과 점령기는 라디오 방송에도 영향을 주었다. 당시 굴러가고 있던 프랑스의 라디오 방송이 폐국되고 새로 개국되었다가 프랑스가 해방된 뒤 다시 폐국되고 전부 새로 개국됐다. 그래서 [[라디오 프랑스]]에 있는 전국구 라디오 방송의 역사가 주변국에 비해 짧고 프랑스 블뢰의 일부 지역국의 역사가 훨씬 더 오래되었다. * 침공 당시의 독일군이 작전 기간 동안 계속해서 사기와 컨디션을 유지하게 만든 약물이 페르비틴(pervitin)인데, 필로폰으로 악명이 높은 [[메스암페타민#군용으로 활용]]이다. * 프랑스 전차들이 삽질하는 동안 의외로 [[https://tank-afv.com/ww2/france/Laffly_S15_W15.php|라플리 W15 TCC]]라는 대전차차량들은 엄청난 활약을 펼쳤다. 6륜 포병 트랙터에 47mm SA37 대전차포를 올린 게 전부였는데,[* 초기 프로토타입은 그나마 장갑화라도 했지만 개전 직후 생산분은 그마저도 없었다.] 이들 중 브뤼소(Brussaux) 대위의 54대전차중대는 불과 일주일(6월 5일~12일) 만에 독일 전차와 장갑차를 33대나 박살냈다.[* 브뤼소 본인도 6월 7일 독일군에게 포위당한 상황에서 4호 전차 3대, 장갑차 5대를 격파하고 퇴각했다.] * 1939년까지 히틀러 유겐트 단장으로 지냈던 [[발두어 폰 시라흐]]는 그로스도이칠란트 차량화보병연대 1대대 4중화기 중대 연락병으로 스당 전투를 비롯한 프랑스 침공 기간 여러 전투에 참전했다고 한다. 이때의 공을 인정받아 2급 [[철십자 훈장]]을 수여받았고 소위로 진급했다.[* 2급 철십자 훈장은 당시 가장 낮은 등급의 철십자 훈장이라 표창장 성격이 강했지만 독일 전군 통틀어 80여만명만 수여받은 만큼 아무렇게나 뿌린 훈장은 아니었다.]다만 시라흐는 프랑스 침공이 종료된지 2개월만인 8월, 전역 후 빈 관구 총독으로 부임했다.[* Helmuth Spaeter, The History of the Panzerkorps Grossdeutschland]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프랑스 침공/진행 과정, version=96, uuid=0b7d0057-69ce-4faa-81d4-79362d070a22)]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또는
기타 라이선스 (문서에 명시된 경우)
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07)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107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