떡밥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07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서버 점검 공지
|
개인정보 처리방침 개정 안내
폴아웃: 뉴 베가스
(r3 문단 편집)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 평가 == ||<-3><table align=center><table width=420px><bgcolor=#333333><tablebordercolor=#333333><tablebgcolor=#ffffff> '''[[메타크리틱|[[파일:메타크리틱 로고.svg|width=100]]]]''' || ||<width=25%><rowbgcolor=#333333> {{{#fff '''플랫폼'''}}} ||<width=37.5%> {{{#fff '''메타스코어'''}}} ||<width=37.5%> {{{#ffffff '''유저 평점'''}}} ||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107c11; font-size: 0.75em" [[엑스박스 360|{{{#white X360}}}]]}}} || [include(틀:평가/메타크리틱/점수입력, platform=xbox-360, code=fallout-new-vegas, g=, score=84)] || [include(틀:평가/메타크리틱/점수입력, platform=xbox-360, code=fallout-new-vegas/user-reviews, g=, score=8.6)] ||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13791; font-size: 0.75em" [[플레이스테이션 3|{{{#white PS3}}}]]}}} || [include(틀:평가/메타크리틱/점수입력, platform=playstation-3, code=fallout-new-vegas, g=, score=82)] || [include(틀:평가/메타크리틱/점수입력, platform=playstation-3, code=fallout-new-vegas/user-reviews, g=, score=8.4)] ||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53535; font-size: 0.75em" [[PC|{{{#white PC}}}]]}}} || [include(틀:평가/메타크리틱/점수입력, platform=pc, code=fallout-new-vegas, g=, score=84)] || [include(틀:평가/메타크리틱/점수입력, platform=pc, code=fallout-new-vegas/user-reviews, g=, score=8.8)] || [include(틀:평가/Steam, date=2023-09-02, code=22380, rating=압도적으로 긍정적, percent=96, count=147\,128, rating2=압도적으로 긍정적, percent2=95, count2=1\,773)] 출시 직후, 폴아웃: 뉴 베가스는 대다수의 웹진들로부터 고르게 좋은 평가를 받았다. 많은 웹진들이 뉴 베가스의 넓은 맵과 탐험 요소들, 복합적인 팩션 시스템, 그리고 풍부한 사이드 퀘스트를 칭찬했으며 기존의 폴아웃 3를 즐긴 팬이라면 뉴 베가스를 좋아할 것이라 평가했다. 게임에 대한 부정적인 평가는 기술적인 문제, 즉 게임 속에 산재해있는 수많은 '''버그'''들에 대한 지적이 대다수였다. 또한 폴아웃 3에서 크게 변한게 없는 비슷한 게임이라는 점 역시 높은 점수를 받지 못하는 요인이었다. [[게임스팟]]은 폴아웃: 뉴 베가스의 "거대한 세계, 광대한 퀘스트, 숨겨진 기쁨들이 또다른 어떤 즐거움이 발견하게 될지 기대하게 만들 것"이라며 호평했다. 메인 스토리에 대해서는 복합적인 평가를 내렸는데, "메인 스토리는 그다지 기억에 남을만한 순간들이 부족"하며, "대규모 전투 시나리오는 덜 서사적(epic)이고 폴아웃 3가 보여준 환상보다 덜 극적(dramatic)"이라고 평가했다. 그러나 퀘스트의 만족할만한 길이와 풍부한 다이얼로그와 성우들의 훌륭한 연기를 칭찬하며, "폴아웃 3와 마찬가지로 훌륭함은 중심 스토리가 아닌 그 주변부(periphery)에 있다."며 총평했다. [[IGN]]은 폴아웃 3의 장점에 더하여 개선된 전투와 훌륭한 퀄리티의 사이드 미션들, 그리고 게임 속 세계 구성을 칭찬하며 뉴 베가스를 호평했다. 다만 산재해있는 버그와 팩션 시스템에 대해서는 부정적인 평가를 내렸는데, 게임 속 양대 팩션인 카이사르의 군단, NCR은 각각의 장단을 가지고 있는 것 같으나 전자를 죽이면 카르마가 내리고 후자를 죽이면 카르마가 오르는 시스템이 유저의 팩션 선택을 일방향적으로 만들어 실망스럽다고 평가했다. [[폴아웃 2]]를 플레이한 적이 있는 고전 게이머들은 폴아웃 2와 개발진을 공유하는 폴아웃: 뉴 베가스를 고평가하고 [[베데스다 게임 스튜디오]]의 폴아웃 시리즈들을 평가절하하고는 한다. 고전 팬들이 게임 간 평가가 엇갈리는 것은 옵시디언과 베데스다의 게임 철학의 차이에서 기인한 두 게임의 차이 때문인데, 옵시디언이 스토리와 선택지를 중요시하는 반면, 베데스다는 디테일하게 짜여진 세계속의 '체험'을 중요시한다. 이러한 차이에서 기인하여, 기존의 폴아웃 2의 요소를 많이 차용하여 본 시리즈와 차별화되는 폴아웃: 뉴 베가스는 고전 팬들에게 더 큰 어필이 되었다. [[나무위키]]에서도 [[폴아웃 3]], [[폴아웃 4]]와 관련된 항목들보다는 뉴 베가스와 관련된 항목들의 내용이 훨씬 더 풍부한데 이는 그만큼 각 항목들에 대하여 깊숙히 고찰할 스토리들이 더 많다는 뜻이기도 하다. 실제로 뉴 베가스에 사용된 대사는 약 65,000줄로 당대의 모든 RPG 게임들 중 1위에 해당하는 수치이다.[* 여담으로 이후 나온 베데스다의 [[엘더스크롤 5: 스카이림]]의 경우는 약 60,000줄로 2위. 이것도 대단한 편이긴 하지만, 옵시디언이 뉴 베가스에 얼마나 많은 '깊이'를 넣으려고 시도했는지를 알 수 있는 대목이다. 사실 개발 비하인드 스토리중에서는 작가인 크리스 아벨론은 사실 이것보다 훨씬 더 많은 대사를 줄줄 써내려버려서 이걸 걸러내고 삭제하는 등 온갖 삽질을 다 했는데 그럼에도 이만큼이나 남은 것이다. 크리스 아벨론이 구상했던 것들을 전부 다 구현했더라면 무슨 작품이 탄생했을지 짐작도 어렵다.] 10여년의 시간이 흐른 지금, [[폴아웃 시리즈]] 중에서도 손꼽히는 명작이자 21세기 최고의 RPG 중 하나라는 평가를 받는다. 2022년 4월 기준으로 [[스팀]] 사용자 평가에서 '''압도적으로 긍정적'''을 유지하고 있으며, 웹진 [[IGN]] 선정 [[https://www.ign.com/lists/top-100-games|역대 최고의 게임 38위]], [[https://www.ign.com/lists/top-100-rpgs/28|역대 최고의 RPG 28위]], [[https://www.pcgamer.com/best-rpgs-of-all-time/|PC Gamer 선정 역대 최고의 RPG 목록 42선]], [[https://www.gamesradar.com/best-rpg-games/|GamesRadar 선정 최고의 RPG 25선]], [[https://rpgcodex.net/content.php?id=11193|RPG Codex 선정 역대 최고의 RPG 7위]], [[https://glitchwave.com/charts/|메타데이터 웹사이트 Glitchwave 전체 게임 차트 16위]]를 기록하고 있다. 전술한대로 이런 호평에도 불구하고 안타깝게도 뉴 베가스는 GOTY수상을 얻지 못했다. 다른 경쟁작들이 완성도 면에서 뉴 베가스보다 더 뛰어났기 때문이다. 보다 정확히는 다른 경쟁작들은 뉴 베가스와 완전히 똑같은 장르가 아니라 일부 장르가 겹치는 작품들이였지만 대신 그 일부의 완성도가 뉴 베가스보다 더 훌륭했기 때문에 뉴 베가스보다 더 고평가를 받을 수 있었던 것이다. 만약 출시 년도가 한 해만 더 빨랐어도 무난하게 GOTY를 받을 수도 있었을 것이다.[* 더 늦추는게 아니라 더 빨랐으면 가능했었을 이유는 뉴 베가스 출시 다음해에 나온게 그 [[엘더스크롤 5: 스카이림]]이기 때문이다. 늦춰서 나왔다간 스카이림에게 팀킬 당하는 더 끔찍한 결과가 나왔을 가능성이 높다.] 게임의 출시에는 출시 기간도 의외로 꽤나 중요하다는걸 보여주는 사례. 때문에 뉴 베가스는 팬덤에서 그야말로 '비운의 명작'으로 통하는 작품이기도 하다.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또는
기타 라이선스 (문서에 명시된 경우)
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07)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107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