떡밥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07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서버 점검 공지
|
개인정보 처리방침 개정 안내
폴아웃 2
(r2 문단 편집)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 여담 == 전반적으로 게임의 난이도가 꽤 높은 편이라 파워 아머를 얻기 전인 초반에는 많이 죽을 수가 있다.[* 그렇다고 초반에 파워 아머만 믿고 무턱대고 칸스같은 강적을 토벌하러 갔다간 레벨 차이로 인해 칸스 조직원들한테 벌집이 된다. 즉 파워 아머가 있든 말든 레벨이나 전투력을 올리지 않는 이상 게임의 난이도는 여전하다.] 더욱이 맵이 워낙 넒어 [[하이웨이맨]]을 얻기 전까지는 이동에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는데, [[랜덤 인카운터]]가 자주 발생해서 무기가 빈약한 초반에는 마을 간 이동하는 것 자체가 고역이다. 더불어 랜덤 인카운터도 문제지만 초반에 잘 따라주지 않는 화력과 그 이상 수준인 적들의 피통이나 무장 때문에 최소 턴제 전투를 수십번 넘게 해도 플레이어가 먼저 죽거나 적들을 간신히 죽이는 플레이가 반복된다. 이러한 이야기는 레벨을 꽤나 올린 이후인 중반부터는 옛말이 되기는 하다만 이것 때문에 게임을 접는 유저도 많은 편. 원도우 7이나 비스타에서 구동하면 화면이 깨지는데 구성 설정을 변경하면 제대로 플레이할 수 있다. [[http://sesna.tistory.com/entry/%ED%8F%B4%EC%95%84%EC%9B%832-%EC%9C%88%EB%8F%84%EC%9A%B07-%EC%97%90%EC%84%9C-%EC%83%89%EC%83%81-%EA%B9%A8%EC%A7%90-%ED%98%84%EC%83%81-%ED%95%B4%EA%B2%B0%EB%B2%95|##]] [[http://forums.steampowered.com/forums/showthread.php?t=948430|스팀 포럼 답변]] 특이하게도 게임에 시간제한이 있다. 게임상 시간으로 13년이 지나면 게임 오버가 되는데, 이는 의도적으로 넣은 게 아니라 프로그래밍의 한계로 어쩔 수 없었다고 한다. 다행히 게임 시간으로 13년이면 사실상 엔딩 이후에 1000시간 넘게 플레이를 해도 될까말까한 시간이라 걱정은 없다.[* 비공식 확장팩 RP에 이 시간제한을 없애는 모드도 있는데, 사실 없애나 마나 현실적으로 전혀 지장이 없다.] 게임 종반에 결국 호리건을 때려잡고 밖으로 나가면 엔클레이브 시추시설이 터지는 영상이 나오고 엔딩이 흐른다. 엔클레이브가 파멸되고 나서 십수년후의 경과들을 각 마을과 주요 인물들별로 서술해 준다. 엔딩 이후에도 플레이가 가능하지만, 엔딩 후 플레이에는 엔딩에서 서술해준 각 마을들의 행보들이 전혀 적용이 안되어 있다.[* 예를 들어 엔딩에서 아로요는 다시 번창하지만, 엔딩 후 플레이에서 직접 아로요로 가보면 여전히 다리가 끊어진 채로 주민들이 죽어있다. 또한 마이론도 살아있고 나바로는 엔클레이브가 멸망했는데도 건재하다.] 이는 설정상으로도 당연한 게, "엔딩"은 선택받은 자가 엔클레이브를 박살내고 많은 시간이 흐른 이후의 이야기들을 말해주는 것이고, "엔딩 이후 플레이"는 선택받은 자가 엔클레이브를 박살낸 직후 다시 배타고 육지로 돌아와서 황무지를 여행하게 되는 시간대이기 때문이다. 다만 엔딩 이후 플레이에도 몇가지 반영되는 부분들이 있는데 그 예로 많은 NPC들이 주인공의 업적을 찬양해 준다. 사실 크리스 아벨론은 엔딩후 플레이가 의미없다는 언급을 한 적이 있다. 엔딩후 플레이까지 정식으로 쳤을 경우 정식 엔딩에서 번영하거나 살아있는 후일담이 나온 인물이나 마을을 엔딩후 플레이에서 죽이거나 파괴해버리면 엔딩과 실제 플레이에서 서로 충돌이 일어나기 때문. 최근 버전의 윈도우에서는 실행 아이콘이 웬 남자 얼굴로 나오는 경우가 있는데 이는 일종의 [[이스터 에그]]다. 개발진 중 하나가 장난으로 게임의 큰 아이콘을 [[팀 케인(프로그래머)|팀 케인]]의 얼굴로 설정해 놓은 것인데, 이 게임 나올 당시에는 컴퓨터 모니터의 해상도가 낮아 큰 아이콘을 쓰는 경우가 별로 없어서 사람들이 잘 몰랐지만 최근 버전의 윈도우에서는 기본 설정이 큰 아이콘으로 되어 있어서 벌어지는 일. 사족으로 폴아웃 1도 마찬가지지만 지형이 6각형 타일 단위로 되어있어 6방향으로밖에 이동을 못한다.[* [[히어로즈 오브 마이트 앤 매직]] 시리즈의 전투에서의 타일구조를 생각하면 된다.] 그래서 상하방향으로는 직선으로 이동할 수 없고 대각선으로 지그재그로 움직여야 되기 때문에 꽤나 답답하고 우스꽝스럽게 느껴질 수도 있다. 2018년에는 발매 20주년 기념으로 당시 개발진들이 [[https://techraptor.net/content/fallout-2-20th-anniversary|인터뷰]]를 하였다. 개발기간은 약 14~15개월에 달해 폴아웃 시리즈 중 가장 단기간에 개발된 작품이다. 2편 제작 자체는 1997년 중반(즉, 폴아웃 1이 발매되기 전)부터 시작되었으나 1998년 초에 들어서자 인터플레이 경영진은 재정악화를 이유로 9개월만에 게임 개발을 끝내고 출시하라고 요구하였다.[[https://www.pcgamesn.com/fallout-2/fallout-2-wasteland|#]] 때문에 개발 막바지가 되어서는 작업량을 시간과 인력이 따라가지 못해 [[플레인스케이프 토먼트]]의 개발진을 데려와서 마무리를 해야 했고, 그럼에도 불구하고 작업량을 채우지 못하여 결국 엄청난 양의 컨텐츠가 잘리고 버그조차 거의 잡지 못한채로 출시되었다. 이때 잘려나간 컨텐츠는 아래의 RP 모드로 부활했다.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또는
기타 라이선스 (문서에 명시된 경우)
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07)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107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