떡밥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07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개인정보 처리방침 개정 안내
포뮬러 1
(r4 문단 편집)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 레이싱 깃발 === ||<bgcolor=#000000> '''{{{#ffffff 깃발}}}''' ||<bgcolor=#000000> '''{{{#ffffff 이름}}}''' ||<bgcolor=#000000> '''{{{#ffffff 설명}}}''' || || [[파일:attachment/Green_flag.jpg|width=30]] || 녹색기[br]Green flag || 레이스 시작, (황색기 종료 시) 문제가 해결되었으며 정상 속도로 진행해도 좋음. || || [[파일:attachment/Yellow_flag.jpg|width=30]] || 황색기[br]Yellow flag || 트랙 주변에 문제가 발생했으니 모든 차량은 [[서행]], 추월 금지.[* 마셜 포스트별로 쪼개진 미니섹터 중 문제가 있는 곳에만 황색기를 발령하며, 그 다음 포스트에서는 별다른 문제가 없을 경우 녹색기를 제시한다. 스튜어드가 드라이버를 향해 한 번만 흔들어서 경고받았음을 통지하기도 한다.] 세이프티 카 발령(SC 보드와 함께 제시) || || [[파일:double_yellow_flag.jpg|width=30]] || 이중 황색기[br]Double Yellow flag || 트랙 위에 문제가 발생했으니 모든 차량은 서행하며 언제든지 정차할 수 있도록 준비할 것 || || [[파일:attachment/Red_and_yellow_striped_flag.jpg|width=30]] || 황적줄무늬기[br]Yellow flag with red stripes / Surface flag || 레이스 카에서 샌 오일 또는 빗물이나 고여있는 물 등으로 인해 트랙이 미끄러우므로 주의할 것[* 2012년 브라질 그랑프리에서 노란색 깃발 조명이 표시가 됐었는데, 당시 페텔이 옐로우 플랙을 어긴 것이 아니냐며 (실제로는 해당 구간은 오일 플랙 상황이었다) 아주 잠깐동안 이슈가 되기도 했다. 또한 해당 그랑프리에서의 사례에서처럼 조명보다 깃발이 더 우선 순위를 갖는다. 오늘날에는 전부 LED 전광판 방식이라 깃발 모양이 그대로 표시된다.] || || [[파일:attachment/Red_flag.jpg|width=30]] || 적색기[br]Red flag || 대형 사고나[* 대표적으로 [[아일톤 세나]]와 [[쥘 비앙키]]의 사망 사고나 [[로맹 그로장]]의 바레인 서킷에서의 충돌 및 화재사고. 다행히도 로맹 그로장은 헤일로 디바이스 덕분에 손에 화상만 입고 목숨을 건졌다.] 기상 악화, 또는 트랙 한복판에 사고 등으로 인해 차량과 파편들이 산개되어 레이스 진행이 어려운 이유 등으로 세션을 중단함 || || [[파일:attachment/White_flag.jpg|width=30]] || 백색기[br]White flag || 전방에 느린 차량 (고장 차량 혹은 트랙 구조 및 관리 차량) 이 있으니 주의할 것 || || [[파일:attachment/Per_bend_black_white_flag.jpg|width=30]] || 흑백반기[br]Black and White flag || [[반칙|비신사적 행위]]에 대한 경고(드라이버 번호와 함께 제시)[* 주로 반복적인 트랙 이탈이나 누적된 경고 횟수, 혹은 사고 발생 시 자주 발령된다. 축구의 [[옐로 카드]]에 해당한다.] || || [[파일:attachment/Black_flag.jpg|width=30]] || 흑색기[br]Black flag || 실격되었으니 피트로 복귀해 세션 참여를 중단할 것(드라이버 번호와 함께 제시)[* 축구의 [[레드 카드]]에 해당하며, 위의 흑백기를 받고도 반칙 행위를 계속하거나 기술적인 규정을 위반하면 스튜어드가 흑색기를 드라이버의 번호와 함께 발령한다. 이 경우 즉시 리타이어되고, 경기 결과에는 DSQ(Disqualified, 실격)으로 처리된다.] || || [[파일:attachment/Black_flag_with_orange_circle.jpg|width=30]] || 흑색오렌지원기[br]Black flag with an orange disc / Meatball flag || 문제가 발생한 차량은 즉시 피트로 복귀해 수리받을 것(드라이버 번호와 함께 제시)[* 영어로는 번역이 애매한 원을 빼고 black and orange flag라고 부른다. 파손 상태로 레이스를 강행하는 차량에게 발령되며 파편이 추가로 떨어지거나 더 심한 문제로 차량이 트랙 위에 서게 되면 더 큰 사고를 야기할 수 있기 때문에, 이 깃발은 수리를 강제해 위험요소를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해당 깃발을 무시한 채 주행하면 흑색기를 받아 실격될 수 있다. 2022년도에 들어 레이스 디렉터가 1명에서 2명이 번갈아 가며 맡게 되었는데, 디렉터가 이 깃발을 특정 팀(하스 등)에 남발하듯 발령하여 혼란이 많이 발생되었다.] || || [[파일:attachment/Blue_flag.jpg|width=30]] || 청색기[br]Blue flag || 후미 빠른 차량에게 양보할 것[* 연습·예선의 경우], 1랩 뒤쳐진 차량(백마커)은 접근하는 선두 차량에게 길을 양보할 것[* 하위권 차량이 심하게 뒤쳐져서 상위권 차량이 한 바퀴를 더 돌아 하위 차량의 뒤에서 다가오는 상황에 발령된다. 만일 청색기가 3번 발령됐는데도 하위 차량이 상위 차량에게 순위를 양보하지 않으면 페널티를 받게 된다.] || || [[파일:attachment/Checkered_flag.jpg|width=30]] || 흑백격자무늬기[br]Chequered flag || 해당 세션을 종료함.[* 연습, 예선에도 똑같이 사용된다. 그 상징성 때문의 레이스 종료 시 체커기를 유명인이 흔들기도 한다. ] 흔히 체커기라고도 한다. || 경기 중 트랙에서 드라이버에게 중요한 메시지를 전달하는 데 사용되는 깃발이다. 경기위원장이나 마샬 요원이 깃발을 흔들며, 깃발 조명이 갖추어져 있는 트랙의 경우 해당 조명에도 깃발 색을 띄워 드라이버에게 트랙과 자신의 상태 및 차량의 상황을 알린다. 이는 팀에도 전달되어 드라이버가 깃발을 미처 확인하지 못했을 경우 엔지니어가 무전을 통해 통지할 수 있다. 황색기는 두 가지 활용법이 있는데, 단일 황색기(single yellow flag)는 트랙 옆 또는 트랙 일부분을 가로막는 경미한 위험요소[* 예) 트랙 바깥 정차, 스핀 등] 가 있을 때 발령된다. 이중 황색기(double yellow flag)는 트랙의 대부분을 가로막는 중대한 위험이 있을 때 또는 코스에 사람이 있을 때[* 예) 작업 중인 마샬이나 탈출한 드라이버 등] 발령되며, 서행하여 섹터 타임과 랩타임을 늘려야 한다.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또는
기타 라이선스 (문서에 명시된 경우)
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07)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107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