떡밥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07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개인정보 처리방침 개정 안내
포뮬러 1
(r4 문단 편집)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 토요일 - 프랙티스(FP3) 및 퀄리파잉 === ||<tablealign=center><tablewidth=600><tablebordercolor=#f00,#f00><nopad> [[파일:캐나다 그랑프리 동타.png|width=100%]] || ||<bgcolor=#f00><color=#fff> '''퀄리파잉 (Qualifying)'''[* 2024 캐나다 그랑프리 Q3 中. 1,2위의 기록이 같기 때문에 먼저 1:12.000의 기록을 세운 러셀이 더 높은 순위를 갖는다.] || * FP3 토요일 오전엔 60분 동안 FP3가 진행된다. 금요일 FP2까지의 주행을 통해 셋업의 대부분이 완성되었고, 드라이버들은 한계주행을 하며 차량의 한계를 찾는 작업을 한다. 다만, 금요일까지 제대로 레이스 카 셋업이 잡히지 않은 팀들의 경우 완전히 셋업을 변경하는 작업을 하기도 한다. [* 금요일날에 비가 오고, 토요일날 비가 오지 않는 경우 같은 특수상황에서는 셋업을 새로 설정하는 작업을 주로 진행한다. ] * 퀄리파잉 토요일 오후에는 퀄리파잉이 진행된다. 2025 시즌부터 시행되는 규정을 기준으로는 악천후 등을 이유로 취소될 경우 스타팅 그리드는 드라이버 챔피언십 순위에 따라 결정된다.[* 다만, 드라이버 챔피언십 순위로 그리드를 결정하기 어려운 경우 레이스 디렉터에 의해 그리드 결정 방식이 융통성 있게 정해질 수 있다.] 퀄리파잉 결과에 따라 서킷 맨 앞부터 차례대로 그리드를 배정받기 때문에 퀄리파잉 또한 매우 중요하다.[* 특히나 추월이 어려운 서킷일수록 그 중요도가 올라간다. 대표적인 예시가 [[모나코 서킷]]으로, 대체로 서킷의 폭이 좁고 직선 주로가 짧고 어려운 코너가 많은 서킷이 이러한 범주에 포함된다. 추월하려면 레이싱 라인을 벗어나서 추월하는 경우가 대부분인데 그러면 너무 느려져서 정상적인 추월이 거의 안 되기 때문. 하지만 반대로 이런 부류의 서킷들은 어려운 난이도의 특성 때문에 레이스를 처음 연다거나, 비가 쏟아진다거나 하는 경우에는 말 그대로 데스매치 서바이벌 레이스가 펼쳐져서 의외의 꿀잼 레이스가 되는 경우도 있다. 오직 단 3명만 완주한 1996시즌 [[모나코 그랑프리]], 2020시즌에 F1이 처음으로 개최된 중고속 코너가 많은 클래식한 서킷인 [[무젤로 국제 자동차 경주장|2020 투스카니 그랑프리]] 등이 그 예시이다. 고저차가 심한 경우에도 추월이 어려워질 수 있다.] [[포뮬러 1/2006시즌|2006년]]부터 총 1시간 동안 Q1, Q2, Q3로 진행되고[* 2005년까지는 Q1, Q2, 전체 세션으로만 진행되었으며 Q1과 Q2에서 퀄리파잉 탈락은 없었다. 6랩을 돌면서 최고 기록을 세우는 방식이었으나 이후 폐지되었다.], 각 세션은 18분, 15분, 12분으로 도합 45분 동안 진행된다. [* Q1과 Q2 사이에 8분, Q2와 Q3 사이에는 7분의 쉬는시간 및 점검시간이 있다.] 엔트리되는 레이스카 모두 정해진 시간 동안 자유롭게 서킷을 돌아 가장 빠른 랩타임을 기록하면 그걸 기준으로 한다. 도전 횟수는 제한 시간 내라면 몇 번이 되든 상관이 없다. 즉 한 번만 시도해도 되고 아예 시도하지 않아도 된다. Q1에서 '''5명''', Q2에서 '''5명'''을 탈락시키며, 탈락된 참가자는 그 세션의 기록 순서대로 그리드를 배정받게 된다. 남은 10대의 경주차들이 Q3를 치르게 되며, 여기서 탑 10의 출발 순서가 정해진다. 한 랩의 랩타임을 기준으로 하기 때문에, 대부분 소프트 타이어를 사용해 퀄리파잉을 치른다. * Q1 - 전체 20명중 15위 안에 들어야 Q2 참가 가능. * Q2 - Q1을 통과한 15명 중에서 10위 안에 들어야 Q3 참가 가능. * Q3 - Q2을 통과한 10명 중에서 빠른 순서대로 그리드 배정. 가끔 퀄리파잉 1위와 폴 포지션을 혼용하는 경우가 있는데, 폴 포지션은 '''레이스'''의 맨 앞 그리드를 뜻하며, 퀄리파잉에서 받은 페널티로 인해 퀄리파잉 1위가 폴 포지션이 아닐 수도 있다. 각 세션이 끝날 때마다 체커드 플래그가 등장하며, 체커드 플래그를 받기 전에 시작된 랩 측정은 유효하다.[* 즉 세션 제한 시간 이내에 피니시 라인을 통과해 랩을 시작하기만 하면 된다.] 맨 앞쪽 그리드가 왼쪽에 있을지 오른쪽에 있을지는 서킷에 따라 다르다. 이후 나머지 차량들이 지그재그 형태로 배치된다. 방송화면에는 프랙티스 때와 마찬가지로, 드라이버의 기록이 표시된다. 드라이버 이름 우측에 현재 드라이버가 사용 중인 타이어의 종류(소프트, 미디엄, 하드, 인터미디어트[* 중간을 의미한다.], 웻[* 인터미디어트와 웻타이어는 우천시 사용.])를 표시하며, 이름 하단 좌측에는 해당 드라이버의 측정 중인 랩타임을, 우측에는 비교 대상인 드라이버[* 일반적으로 세션 1위 기록을 띄우지만, 드라이버가 탈락 위기인 경우 다음 세션에 진출 가능한 드라이버 중 최하위 기록, 즉 커트라인 기록을 띄워준다.]의 섹터 기록을 띄워준다. 그 아래에는 각 섹터에서의 기록이 빠른지 느린지를 색상으로 표시하는데, 각 색상의 의미는 다음과 같다. ||<tablebordercolor=#f00,#f00><width=150><bgcolor=#F5D648> '''노란색''' || 세션 내 자기 최고 기록보다 느림 || ||<bgcolor=#71D657> '''초록색''' || 세션 내 자기 최고 기록보다 빠름 || ||<bgcolor=#ca50e0><color=#ffffff> '''보라색''' || 세션 내 전체 최고 기록보다 빠름 || 퀄리파잉이 종료되면 결과를 보고 추가적인 셋업을 맞추는 걸 방지하기 위해 모든 경주차들은 대개 피트 레인에 위치한 파크 페르메(Parc fermé) 안에 보관되어 검차를 받게 된다. 검차 결과에서 규정에 맞지 않거나 규정에서 정하는 범위에서 벗어나는 부분이 발견되면 퀄리파잉 결과는 무효(DSQ) 처리된다. 또한 퀄리파잉 이전이나 이후 부품을 교체하는 경우엔 파츠 규정에 따라 그리드가 뒤로 밀리거나 피트 레인 스타트[* 피트 레인 출구에 서 있다가 스타트 이후 모든 차들이 스타트 라인을 통과하면 출발할 수 있는 것. 그리드 페널티 중에서 가장 강한 페널티이다. 일반적으로 여러 파츠를 한 번에 교환하여 그다지 퀄리파잉이 의미가 없게 된 드라이버들이 선택하는 경우이다.]를 하게 된다.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또는
기타 라이선스 (문서에 명시된 경우)
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07)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107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